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183)
[스크랩] 16)신과의 합일을 원하는 종교와 불교는 어떤 차이가 날까...?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한때 세존께서 꼬살라 국에 있는 어느 총림에 계셨다. 2. 그런데 그때 바라드와자 가문의 바라문의 많은 제자들이 땔감을 가지러 총림으로 찾아왔다. 3. 가까이 다가와서 세존께서 그 총림에서 결과부좌를 한 채 몸을 곧게 세우고 주의를 기울여 마음을 새기고 앉아 계신 것을 ..
[스크랩] 15) 무례한 말로 모욕을 당했을 때에 어떻게 해야할까..... 1,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한때 세존께서 라자가하의 벨루바나에 있는 깔란다까니바빠에 계셨다. 2,그때 바라문 아쑤린다까 바라드와자가 이와 같이 들었다.'바라드와자 가문의 한 바라문이 집에서 집 없는 곳으로 수핼자 고따마의 앞에 출가했다' 3,그는 화가 나서 불만스럽게 세존께서 계신 곳으로 찾..
[스크랩] 14) 종교가 달라 적대감이 일어날 때 어떻게 해야할까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 라자가하의 벨루바나에 있는 깔란다까니바빠에 계셨다. 2. 그런데 그때 바라드와자 가문의 바라문녀인 다난자니가 부처님과 가르침과 참 모임을 신뢰하고 있었다. 3. 그래서 바라문녀 다난자니는 바라드와자 가문의 바라문들에게 식사를 들고 가서 세번이나 ..
[스크랩] 13) 깨달음을 이룬 뒤 말씀하시길 주저한 까닭은 무엇일까 오늘의 내용은 좀 깁니다. 13) 깨달음을 이룬 뒤 말씀하시길 주저한 까닭은 무엇일까 1. 이와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 우루벨라의 네란자라 강 언덕에 있는 아자빨라라는 니그로다 나무에서 비로소 완전한 깨달음에 도달했다. 2.그때 세존께서 홀로 고요히 앉아서 명상하는데 마음에 이와 같은 ..
[스크랩] 12) 이 세계는 내가 만든 것인가 남이 만든 것인가 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 싸밧티의 제따바나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계셨다. 그때 수행녀 쎌라가 아침 일찍 옷을 입고 발우와 가사를 들고 탁발을 하기 위해 싸밧티로 들어갔다. 싸밧티에서 탁발을 하고 식사를 마친 뒤 발우를 물리고 나서 대낮을 보내려고 안다 숲으로 갔다. 안..
[스크랩] 11) 지옥으로 이끌지 않는 천국은 있을까 없을까 1. 이와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 싸밧티의 제따바나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계셨다. 2. 그때 수행녀 우빠짤라가 아침 일찍 옷을 입고 발우와 가사를 들고 탁발을 하기 위해 싸밧티로 들어갔다. 싸밧티에서 탁발을 하고 식사를 마친 뒤 발우를 물리고 나서 대낮을 보내려고 안다 숲으로 갔..
진리를 받아들이는 기준 -상세설명 그대 칼라마인들이여, 스스로 `이들은 좋은 것이고,(고통을 일으키지 않는 사상 이어야 하고) 이들은 비난받지 않을 것이고,(교리적으로 결함이 없는 사상 이어야 하고) 이들은 지혜로운 이에 의해 칭찬받을 일이고,(그 시대의 지성인들에게 인정받고 칭찬받는 가르침 이어야 하고) 이들이 행해져 그대..
관념적이지 않은 불교 관념적이지 않은 불교 일반적으로 불교는 종교라고 부르는것이 상식이지만 고타마 붓다라는 사람 그분의 가르침을 고스란히 전하고 있는 초기불교(5부니까야)를 탐구해보면 "불교는 종교가 아니다"라는 것이 명백해집니다.초기불교를 근거로 불교가 관념이 아닌 이유 와 종교가 아닌 이유를 적어보..
[스크랩] [茶禪一味, 한국의 차 .13] 율사 차인 성우스님 [茶禪一味, 한국의 차 .13] 율사 차인 성우스님 "茶禪이 뭐냐고? 마음에 낀 때 씻는거지" 題字 : 一思 石龍鎭 /변성석기자 ssbyun@yeongnam.com 구남진 대구대 교수(한국화)가 성우 스님 방 툇마루에서 그려낸 파계사 전경. 마당에 쌓인 흰눈이 차의 깨끗한 품성을 연상시킨다. 1970년대말 효당 스님과 응송 스님..
[스크랩] 삼법인과 삼특상 삼법인의 구성요소 변화근거과 의미는? 엄밀히 말하면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을 삼법인이라 불러야하고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는 삼특상(三特相)이라 구분해 불러야합니다. 삼법인은 설일체유부로 대표되는 북방불교에 나타나며 삼특상은 상좌부로 대표되는 남..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차’(현암사) [잠깐!이 저자] “茶를 나누는 건… 인연을 맺는다는 것” [조선일보 김한수기자] “최근 웰빙 바람을 타고 차(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오해도 생겼습니다. 차는 차인(茶人)들의 전유물에 돈도 많이 들고, 예법도 거창하다는 거죠. 절대 그게 전부가 아닙니다. 저도 혼자 마실 때는 격식 따지지 ..
뿌네pune 불교 공부모임 안내 저희는 2005년 부터 뿌네에서 불교공부 모임을 진행해 왔습니다. 여름 방학때(3월~6월)는 쉬게 됩니다. 이제 다시 [일요불교공부모임]을 시작합니다. 주제: 초기불교(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일시: 7월 23일 부터 매주 일요일 9시~10시 장소: 뿌네대학 본관 건물앞 잔디밭 불교에 관심이 있는분은 누구나 ..
진리를 받아들이는 기준 진리를 받아 들이는 기준 10."그대 칼라마인들이여, 거듭 들어서 얻어진 지식이라 해서, 전통이 그러하다고 해서, 소문에 그렇다고 해서, 성전에 써 있다고 해서, 추측이 그렇다고 해서, 일반적 원칙에 의한 것이라 해서, 그럴싸한 추리에 의한 것이라 해서, 곰곰이 궁리해낸 견해이기에 그것에 대해 갖..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여행을 하다가 문득 발견한 이 글귀가 맘에 들어 제목으로 삼기로 하다. 수행에 있어서 빨리 얻으려는마음, 기다리는 마음,끼어마추려는 마음등등 목적을 향하는 마음을 일시에 내려 놓게 하는 한마디라 생각한다. 삶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생각하는 잘사는 방법,바른수행을 한마디로 말하..
다람살라 불교공부모임을 마치고... 아래와 같은 공부모임을 24일간 마치고 마날리와 레를 거쳐 이제 뿌네로 돌아갑니다.맥글로드 간지에서 만났던 20여분께 고맙다는 인사를 드리며 안부를 전합니다.(혹시 공부모임을 사진 찍으신 분들은 저에게 보내주세요. whoami555@hanmail.net) 저희는 뿌네로 돌아 가서도 매주 일요일 9시에 뿌네대학 잔..
불교 공부모임 안내(다람살라) 뿌네에서 공부하던 [ 불교 공부 모임 ] 팀이 방학을 맞아 다람살라로 피서를 와서 공부모임을 계속 할려고 합니다. 기간: 5월6일 부터 30일까지 1달 언제: 매일 오후 2시 ~3시 어디서: 쑤글라캉(달라이 라마템플) 1층 마당 잔디밭에서 공부내용 1.둑카(DUKKHA,고(苦))란 무엇인가? 고가 왜 성스러운 진리인가? 2..
불교는 종교가 아니다? 불교는 종교가 아니다. 왜? 사전을 찾아 보라. 철학이 아니다. 왜? 14가지 형이상학적인 문제들은 무시한다. 붓다는 생각해야 할것과 생각하지 말아야할 것들을 제안한다. 그럼 뭔가? 에이스 침대처럼 불교는 과학이다. 왜그런가? 있는 그대로의 사실- 연기(공)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보는 지혜- 반야 있..
어느날 나는 [이해한다는 것은 돌아오지 못할 강을 건너는것..]이라 말했다. 맘에 든다.
어려운일 힘든일들이 있다. 나에게 힘든일이라면 어떤게 있을까? 독일어,영어,힌디어로 소설을 쓰는일. 50일 단식하는일. 희말라야의 동굴속에서 죽을때까지 사는일. 탐진치를 버리는일. ....... 내가 할수 있는 일들은 무엇이 있나? 웃기. 울기. 시무룩하기. 법에대한 토론. 조크. 욕심 줄이기. 글쓰기. 노래하기. ..
창살밖으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내내 누워서 지냈는데 바람기운으로 인한 몸의 부조화 때문이였지요. 그걸 우리가 잘아는 말로는 [몸살]이라고. 밥생각이 없어서 과일과 죽만먹었더니 몸매관리는 제대로 되고... 쌔액쌔액 하는 자신의 숨소리를 들으며 살아있는것을 많이 느꼈지요. 아픈사람들은 시를 잘쓸거..
12연기의 해석과 명색의 뜻 상응부 느낌상응에서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이여, (법을) 배우지 못한 범부도 즐거운 느낌을 느끼며, 괴로운 느낌을 느끼며,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낀다. 마찬가지로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도 즐거운 느낌, 괴로운 느낌,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낀다. 그러면 잘 배운 성스러운 제..
[스크랩] Re:[indriya]와 [aayatana]六根-十二處 아래는 각묵스님의 글입니다. 긑에 저의 의견도 달았습니다. ------------------------------------------------------------------------------------------------------- [질문1]: 먼저 12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이비설신과 색성향미촉의 5근과 5경은 이해하겠으나, 마지막 '의'와 그 대상인 '법'이 확실히 무엇을 말하고 ..
[스크랩] [도올의 대국민 호소문] 새만금 방조제 1인시위 나서며 나의 양심은 새만금 파괴 용납 못해고로, 오늘 포크레인 아래에 눕는다[도올의 대국민 호소문] 새만금 방조제 1인시위 나서며   오마이뉴스(news)    14년에 걸쳐 '새만금' 논란이 계속 되고 있는 가운데 도올 김용옥 순천대 석좌교수가 최종 물막이 공사를 20여일 앞둔 방조제 공사현장에서 1인시위를 벌입니다. 지난 2003년 노무현 대통령 취임 직후 인터뷰에서 새만금 방조제가 막히게 되면 포크레인 앞에 드러눕겠다고 했던 도올. 그는 사상가의 양심으로 당시 약속을 지키겠다고 합니다. 는 1인시위에 나서며 국민 여러분에게 드리는 도올의 호소문을 싣습니다. ▲ 환경비상시국회의가 지난 2004년 12월 서울 종로구 누하동 환경운동연합 옥상에서 청와대를 향해 '골프장 새만금 핵폐기장 반대' 대형 현수막을 띄웠..
하하하 사는 동안....이라고 말하는 마음은?
― 칼라마경 ― 구도의 마음, 자유 ― 칼라마경 ― (부처님께서 자유로운 탐구를 권하신 헌장) 케사푸타의 칼라마인들, 부처님을 뵈러가다. 1.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세존께서는 큰 비구 승단과 함께 코살라(Kosala)에서 유행(流行)을 하시면서 칼라마인들(Kaalaamas)이 사는 케사푸타(Kesaputta)라고 하는 마을에 들..
정리학파의 철학 제9장 정리학파의 철학 1 정리철학의 전통 정리 Nyaya학파의 철학체계는 전통적으로 가우타마 Gautama 혹은 안족 Aksapada이라는 사람에 의해 성립되었다고 한다. 그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대략 서력기원전 1-2세기의 사람으로 추정되며, 현재의 '정리경 Nyaya-sutra'은 기원후 2세기경에 편찬된 것으로 ..
인도철학[印度哲學, Indian philosophy] 인도철학[印度哲學, Indian philosophy] 본문 목차 개요 | 일반적 고찰 | 일반적 특성 | 정통학파 | 불교 | 현대철학 인도철학--> 인도에서 성립·발전한 철학·종교 사상의 총칭 및 그것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 [개요] 인도철학은 니아야·바이셰시카·상키야·요가·푸르바미망사·베단타 학파의 정통..
고통(dukkha)이란 무엇인가? [둑카의 소멸이 열반입니다.] 쌍웃따 니까야에서 dukkha는 3가지로 설명합니다. 1.dukkha-duhkkha 고고(苦苦) 2.viparinama-duhkka 괴고(壞苦) 3.samkhara-dukkha 행고(行苦) 1.dukkha-duhkkha 고고(苦苦)란 생 ·노 ·병 ·사(生老病死)의 4고와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愛別離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야 하는 괴로움..
[스크랩] 연기(緣起)는 무엇인가? 부처가 무엇을 깨달았는가? 라는 대답은 緣起연기 라고 말 할수 있다. 그렇다면 연기는 무엇인가? 붓다는 가전연경에서 이렇게 자세하게 緣起를 설했습니다. ["참으로 올바른 지혜로써 있는 그대로 세상의 발생(고집)을 관찰하면 세상에 비존재라는 것은 사라진다. 참으로 올바른 지혜로써 세상의 ..
[스크랩] 부처님의 오도송(悟道頌) 부처님의 오도송(悟道頌) 차례 - 부처님의 오도송 - 법정스님 번역 - 부처님의 오도송 - 각묵스님이 팔리어에서 직접번역 - 부처님이 깨달으신 순간 부처님이 깨달으신 순간에 읊은 게송이 법구경 153. 154.의 게송이라고 합니다. 법정스님의 번역과 각묵스님의 번역을 함께 실어봅니다.  1.부처님의 오도송 - 법정스님 번역  153. 나는 이집(육체)을 지은 자를 구하여 찾지 못 한채 여러생을 보냈으나 생존은 다 고통이었다.  154. 집을 지은 이여! 이제 당신을 알게 되었다. 당신은 다시 집을 짓지 않으리라. 기둥은 부러지고 서까래는 내려 앉았다. 마음은 만물을 떠나, 애욕을 다 면할 수 있었다.  -법구경 (법정 스님의 번역) 2. 부처님의 오도송 - 각묵스님이 팔리어에서 직접번역 “많은 생을 윤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