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기불교

고통(dukkha)이란 무엇인가?

[둑카의 소멸이 열반입니다.]

쌍웃따 니까야에서 dukkha는 3가지로 설명합니다.

1.dukkha-duhkkha 고고(苦苦)

2.viparinama-duhkka 괴고(壞苦)

3.samkhara-dukkha 행고(行苦)



1.dukkha-duhkkha 고고(苦苦)란
생 ·노 ·병 ·사(生老病死)의 4고와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愛別離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야 하는 괴로움(怨憎會苦), 원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 괴로움(所求不得苦)를 말합니다. 우리가 느끼는 모든 괴로움이지요.

2.viparinama-duhkka 괴고(壞苦)란
무상하기 때문에 괴로움이라는 뜻으로서 우리가 느끼는 모든 행복한 느낌과 수행할때 경험하는 모든 종류의 삼매(4선,9선)를 괴로움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어떤 줄거움도 변화하므로 괴로움이라는 설명을 하기 위한것 이지요.

경전에서 아주 자주 볼수있는 "무상하기 때문에 둑카다, 그 무상하고 괴로운 것 속에 나와 나의것과 나의자아 라고 할만한 것이 있겠느냐?" 라고 묻는 붓다의 물음에서 둑카는 이 괴고(壞苦)를 말하고 있습니다.

3.samkhara-dukkha 행고(行苦)란
인간을 설명하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다섯 가지 다발을 나와 나의것과 나의자아라고 착각하여 집착(오취온)하는 괴로움입니다.
이것이 괴로움의 근본 이유입니다. 이것이 무명이지요.




전번에 말씀드렸다시피 사성제 란 것이 모두 [고제(苦諦:dubkham ariyasaccm) 집제(集諦:dubkhasamudayam ariyasaccm) 멸제(滅諦:dubkhannirodham ariyasaccm) 도제(道諦:dubkhannirodhagamini patipada ariyasaccm) 로 설명됩니다.
즉, [둑카, 둑카의 발생, 둑카의 소멸, 둑카의 소멸에 이르는 길] 이라고 둑카를 기준으로 설해집니다.

멸제의 이름에서도 보이 듯이 둑카의 소멸(dubkhannirodham ariyasaccm)이 열반입니다.
둑카를 탐진치로 설명할때는 [탐진치의 소멸이 열반이다]라고도 하고
또한 [갈애의 소멸이 열반이다]라고 쌍윳따 니까야에서는 말합니다.

12 연기는 고제(苦諦)와 집제(集諦)로 둑카의 발생(순관)을 보여주고 멸제(滅諦)와 도제(道諦)로 둑카의 소멸(역관)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전에서는 둑카의 소멸하기 위하여 8정도를 실천하라는 가르침이 누누히 이어집니다.

그렇다면 둑카를 보는것과 둑카의 원인, 둑카의 소멸, 둑카의 소멸에 이르는길을 아는것과는 관계가 있을까요?

쌍윳따 니까야에는 이렇게 말합니다.

[괴로움을 보는자는 괴로움의 발생도 보고 괴로움의 소멸도 보고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도 본다]

그러므로 괴로움을 보는 그 자리는 괴로움이 아님(연기,무아)을 보는 그자리입니다.
그러 하기에 둑카의 성스러운 진리는 심오하다 하는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