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사김정희

(12)
천축국에 대하여 상고하다[天竺攷] 다산정약용. 1762-1836. 74세 죽음 추사김정희. 1786-1856. 71세 죽음. 29세에 초의를 만남 초의의순. 1786-1866. 81세 죽음. 29세에 추사를 만남 흥선대원군. 1821~ 1898. 재위기간은 1864년 1월~1873년 11월. 77세 죽음 현장법사. 602 ~ 664. 현장 이후 번역을 신역(新譯)이라고 부르고 중국 불교의 법상종,구사종(俱舍宗)의 개조 세종대왕. 1397 ~1450. 향년 52세 천축국에 대하여 상고하다[天竺攷] [DCI]ITKC_BT_0614A_0020_010_0080_2000_001_XML DCI복사 URL복사 오늘날에는 오천축(五天竺)이 서로 통하지 못하는 곳이 없다. 운남성(雲南省)으로부터 월주(越州)를 지나 동천축(東天竺)을 경유하여 중천축(中天..
추사가 초의에게 보낸편지 다산정약용. 1762-1836. 74세 죽음 추사김정희. 1786-1856. 71세 죽음. 29세에 초의를 만남 초의의순. 1786-1866. 81세 죽음. 29세에 추사를 만남 흥선대원군. 1821~ 1898. 재위기간은 1864년 1월~1873년 11월. 77세 죽음 초의의 〈해붕대사화상찬발(海鵬大師畵像贊跋)〉에서 “옛날 을유(1815)에 해붕 노화상을 모시고, 수락산 학림암에서 겨울을 보내고 있었다. 하루는 추사가 눈길을 헤치고 노스님을 찾아와, 공각(空覺)의 능소생(能所生)에 대해 깊이 토론하고, 하룻밤을 학림암에서 보내고 돌아갔다.(昔在乙酉 陪老和尙結臘於水落山 鶴林菴 一日阮堂披雪委訪 與老師大論空覺能所生 經宿臨歸)”고 하여, 이들의 첫 해후시기를 정확히 밝혔다. 초의에게 주다[與草衣] 산중에서 하..
추사김정희가 흥선대원군에게 쓴 편지 흥선대원군(1821년~ 1898년)이고 재위기간은 (1864년 1월 21일 ~ 1873년 11월)이다. 추사김정희(1786년 6월 3일 출생~1856년 10월 10일)이므로 추사는 흥선대원군이 재위하기 8년전에 죽었다. 추사의 나이가 대원군(이하응)보다 무려 35세가 더 많다. 與石坡 興宣大院君 추사김정희가 흥선대원군에게 첫번째 쓴 편지 자취가 얽매이고 형체는 떠나 있으나 매양 생각은 있었습니다. 더구나 우리 외씨(外氏)가 이렇게 몰락함으로부터 특별히 염려가 되고 금석(今昔)의 사정을 살펴보매 마음에 걸린 것이 더욱 간절하였습니다. 그런데 뜻밖에 찾아 위문해 주신 성대한 은혜가 너무도 월등히 뛰어나서, 서신을 손에 쥐고는 가슴이 뭉클하여 스스로 마음을 진정할 수 없습니다. 다만 삼가 살피건데, 숭체(崇體..
희술하여 모납에게 주다[戲述贈某衲] 희술하여 모납에게 주다[戲述贈某衲] 묘희(妙喜)가 편집한 《정법안장(正法眼藏)》과 환기(幻寄)가 각(刻)한 《지월록(指月錄)》의 이 두 서는 약간의 법칙이 되는 공안(公案)을 채취하여 후학들에게 보여준 것인데, 다만 어구(語句)가 첨신(尖新)하고 기봉(機鋒)이 민첩한 것만을 숭상하였으며 관문을 뚫는 안목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염제(拈提)한 것이 스스로 먼저 잇점을 상실하여 진종(眞宗)에 합치되지 못한 것이다. 무릇 이 불료(不了)의 언구(言句)에 대하여 역대의 명안(明眼)과 선지식(善知識)들은 그것이 제일의 의체(義諦)가 아니라는 것을 모르는 바 아니나 혹은 조ㆍ부(祖父)가 물려준 것으로서 단지 전해 내려온 가보로 삼기도 했고 혹은 제방(諸方)의 점검(點撿)으로 인하여 다투는 꼬투리를 일으킬까 해서 곡..
추사의 성운변(聲均辨) 추사 김정희의 성운변(聲均辨) 글자의 성운(聲均) 또한 악(樂)의 성운과 서로 비슷한 것이다. 대체로 성과 운이 서로 다르니, 성은 곧 글자의 소리이고 운은 글자의 소리를 고르게 하는 것이요 글자의 소리가 아니다. 육서(六書)의 형성(形聲)이 곧 글자의 소리가 있게 된 처음인데, 글자의 소리가 있는 데는 한 가지 소리에만 그칠 뿐이 아니다. 字之聲均。亦與樂之聲均相似。盖聲與均異。聲卽字之聲。均所以均字之聲。非字之聲也。六書之形聲。是字之有聲之始也。字之有聲。非止一聲而已。 일로 이름을 삼고 비유를 취하는 것이 서로 이루어진 다음에야 비로소 소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니, 글자의 소리는 다른 것과 특히 달라서 형(形)으로 소리를 겸하는 것이기 때문에 형을 떠나서 소리를 말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니 형을 떠나서 소리를 말..
백파율사비(白坡律師碑) 번역 백파율사비(白坡律師碑) 백파율사(1767~1852)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조성된 이 비석은 선운사 일주문을 들어서서 오른쪽 편백나무 숲속의 부도 밭에 세워져 있던 것을 탁본과 풍황 등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고자 원형은 박물관으로 이전하고 현재 그 자리에는 모형본이 세워져 있다. 조선 철종 9년(1858)에 건립한 것으로 비명(碑銘)은 조선시대의 대명필가인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필적이다. 조선조의 억불정책에도 불구하고 조선후기 불교의 선풍(禪風)을 일으킨 화엄종주(華嚴宗主) 백파율사의 행적을 기록한 이 비석은 네모난 받침 위에 몸통을 세우고 지붕돌이 씌워져 있다. (華嚴宗主白坡大律師) 화엄종주백파대율사 (大機大用之碑) 대기대용지비 (我東近無律師一宗惟白坡加以當之故以律師書之) 아동 근무율사일종 유백파..
백파에게 주다[與白坡] 번역 수정 수정작업에 들어가며..... 추사 김정희거사가 백파스님에게 보낸 편지 3통 백파에게 주다[與白坡] 백파 노사(白坡老師) 편안하신지요? 지난번에 숨김없이 말을 했는데 어찌 다시 반박할 도리가 있으리오? 전후 편지 사이에 털끝만큼이라도 노여움을 숨긴 바는 없었는데, 문득 보내 온 편지에 중언부언하는것은 이는 스님이 스스로 갈등을 일으킨 것이지요. 나도 모르게 웃음이 터져 밥알이 책상위에 가득하군요. 白坡老師禪安。旣與之放言不諱。寧有反之之理。前後紙楞墨角。曾無一毫近似於藏怒底意。來諭之忽此斤斤。是師自作藤葛。不覺噴筍滿案也 스님의 연세가 장차 여든입니다. 오늘날 선문(禪門)의 종장으로서 평소에 선지식(善知識)을 만나지 못했고 또 눈 밝은 사람을 만나보지 못했으니 누가 스님의 공부(機鋒)를 이끌어 주겠나요. 따라서 좁은 ..
추사 김정희거사가 백파스님에게 보낸 편지 3통 추사 김정희가 백파긍선 율사에게 보낸 편지는 지금에도 신선하고 중요한 메세지 입니다. 그런데 번역이 부실해서 그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이것을 누가 나서서 바로 잡을 수 없을까요? 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grpId=&itemId=BT&gubun=book&depth=5&cate1=Z&cate2=&dataGubun=%EC%B5%9C%EC%A2%85%EC%A0%95%EB%B3%B4&dataId=ITKC_BT_0614A_0060_010_0030&viewSync=OT 추사 김정희거사가 백파스님에게 보낸 편지 3통 백파에게 주다[與白坡] 백파 노사(白坡老師) 선안(禪安)하신지요? 이미 더불어 거리낌없이 말을 마구 했는데 어찌 체면..
추사가 백파에게 주다[與白坡]1~3 백파에게 주다[與白坡]1 백파 노사(白坡老師) 선안(禪安)하신지요? 이미 더불어 거리낌없이 말을 마구 했는데 어찌 체면을 보아 자제할 이치가 있으리오. 전후 지묵(紙墨)의 사이에 일호라도 노여움을 숨겨 둔 뜻은 없었는데 보내 온 깨우침이 갑자기 이렇게 중언부언한 것을 보면 이는 사(師)가 스스로 갈등을 일으킨 것이라 나도 몰래 웃음이 터져 머금은 밥알이 튀어나와 서안(書案)에 가득하구려. 사의 나이 장차 팔십이요, 더구나 오늘날 선문(禪門)의 종장으로서 평소에 선지식(善知識)을 만나지 못했고 또 명안(明眼)의 사람을 보지 못했으니 기봉(機鋒)을 누가 들어서 발전(撥轉)해 주리오. 정문(頂門)도 따라서 인색(湮塞)하게 되어 침침한 귀굴(鬼窟) 속에 허다한 세월을 그저 넘기고 말다가 갑자기 목놓아 말하는 사..
율장 소개 마성스님 사이트에서 가져온 게시물들입니다. ▣ 율장과 계율(49) / <법보신문> 권오영 기자▣ 율장과 계율(48) / <법보신문> 권오영 기자▣ 율장과 계율(47) / <법보신문> 권오영 기자▣ 율장과 계율(46) / <법보신문> 권오영 기자▣ 율장과 계율(45) / <법보신문> 권오영 기자▣ 율장과 ..
스님이 고기를 먹으면 안 되는 3가지 경우 특별한 고기를 먹을 경우에 님이 말한 위험이 생기게 됩니다. 율장 소품에는 코끼리 고기, 호랑이 고기, 사자고기, 개고기 등등은 신도들이 주더라도 받지 말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각각의 이유가 있습니다. 어느 해에 흉년이 들어 먹을 것이 없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스님들이 탁발을 나와도 드..
빠알리 율장과 사분율의 비교 1. 빠알리 율장 1) Mahavibhanga 大分別=比丘分別: 227 戒 (1) Parajika 波羅夷法 …… 4 戒 (2) Sanghadisesa 僧殘法 …… 13 戒 (3) Aniyata 不定法 …… 2 戒 (4) Nissaggiya pacittiya 捨墮法 …… 30 戒 (5) Pacittiya 波逸提法 …… 92 戒 (6) Patidesaniya 提舍尼法 …… 4 戒 (7) Sekhiya 衆學法 …… 75 戒 (8) Adhikaranasamatha 滅諍法 …… 7 戒 2) Bhikkhuni-vibhanga 比丘尼分別: 311 戒 (1) Parajika 波羅夷法 …… 8 戒 (2) Sanghadisesa 僧殘法 …… 17 戒 (3) Nissaggiya pacittiya 捨墮法 …… 30 戒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