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불자회

(106)
357-364p 3.죽음의 두려움 여부에 대한 질문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57p.3. [죽음의 두려움 여부에 대한 질문](M..
355p-357p-2.답변 되어질 수 없는 질문 5월 8일 목요일 오후 9시에 ' 답변되어질 수 없는 질문] (Abyākaraṇīyapañha) '에 대해서 경주에 사시는 기관 거사님의 사회로 토론공부가 진행됩니다. 답변되어질 수 없는 질문을 계속 답변하려고 애쓰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
352p-355p 1.작고 사소한 계율에 대한 질문 5월 1일 목요일 오후 9시에 ' 작고 사소한 계율에 대한 질문](khuddānukhuddakapañha) '에 대해서 경주에 사시는 기관 거사님의 사회로 토론공부가 진행됩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
348p-351p-10.신통력(Iddhibala)의 통찰 4월 24일 목요일 오후 9시에 신통력의 통찰'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사회를 돌아가면서 보기로 하였기에 경주에 사시는 기관거사님이 토론 사회를 봅니다. 여래는 네 가지 신통의 기초를 닦고 익히고 탈것으로 삼고 토대로 만들고 확립하고 구현시켜 훌륭하게 성취하였으므로 여래가 원한다면 일 겁이나 일 겁 남짓 머물 수 있을 것이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왜 여래는 '삼 개월후에 열반에 들겠노라고 말씀하시고 80세에 대열반에 드셨는지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그런데 설명은 싱겁게도 그 일 겁은 수명의 겁(āyukappo)을 말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
345p-348p 9.더욱 닦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 4월 17일 목요일 오후 9시에 '더욱 닦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Uttarikaraṇīyapañha)'에 대해서 경주에 사시는 기관 거사님의 사회로 토론공부가 진행됩니다. "더(Uttari) 해야 할 것이 있는가 (karaṇīya) 하는 질문(pañha)은 깨달은 부처님이 삼개월 안거(安居,paṭisallāna)에 들어가시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입니다. 부처님은 안거의 28가지 공덕, 4가지 이유를 설명하십니다. 요즘 스님들은 관습처럼 안거에 드는데 이번 단원에서 안거의 공덕과 이유를 다시 한번 살펴보는 좋은 계기가 될 것입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
336p.~345p.8.불선법(akusala)을 끊음에 대한 질문 4월 10일 목요일 오후 9시에 '불선법을 끊음에 대한 질문(Akusalacchedanapañha)'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4월부터 사회를 돌아가면서 보기로 하였기에 4월~5월은 경주에 사시는 기관거사님이 토론 사회를 봅니다. 오늘의 주제 불선법을 끊음에 대한 질문(Akusalacchedanapañha)'은 업에 대한 중요한 설명이 나옵니다. 모든 것은 업의결과라고 이해하는 밀린다왕에게 나가세나 존자는 업 이외에 7가지 조건이 더있다고 말니다.  6가지 원인은 지금여기서 발생하고 업보는 과거의 원인입니다. 그러므로 업보와 다른 원인을 파악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모든 것이 업이라고 단정짓는다면 연기론의 불교가 운명론이 되어 버립니다. 지금도 업을 잘못 이해하는 불자들이 많습니다. 전생에 무슨 잘못을 했는..
'밀린다팡하' 오자(誤字)및 오역(誤譯) 수정 중... 7월 26일 수정을 시작해서 11월 14일 현재 150개, 11월 25일 241개,1월 7일 284개 ,1월 12일 324개, 1월 22일 335개. 2월8일 390개, 4월 5일 400개  수정...   전재성 번역 '밀린다팡하' 오자(誤字) 수정 방법 00p.  문제 있는 문장 인용---붉은 글씨는  오자,오역(굵은 글씨)--- 파란 글씨는 번역이 생략된 단어나 문장* 별표 표시는 설명을 덧 붙임---------------------------  12p.그리인 왕 밀린다 --- 그리스인 왕 밀린다33P. 괴거---과거 33P. 기쁨의 ---기쁨  75p.나가세나의 담론은아비담마의 의취에 뛰어들어경전의 그물에 의해 결정된비유와 방법으로 다채롭다.---나가세나의 담론은아비담마와 율장에 근거하고 경전의 그..
330p-335. 7. 정법(Saddhamma)의 사라짐에 대한 질문 4월 3일 목요일 오후 9시에 '정법의 사라짐'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사회를 돌아가면서 보기로 하였기에 4월 3일 부터는 기관거사님이 사회를 보게 되었습니다. 정법시대는 언제까지 일까요? 2025년 지금은 정법시대일까요?  "아난다여, 만약에 비구니가 출가하지 않았다면 정법은 천년을 존속할 것이지만, 이제는 아난다여, 정법은 오백년 간 존속할 것이다."라는 것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
319p-330p-6.입태에 대한 질문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19p.6. [입태에 대한 질문](Gabbhāvak..
시위 자타까(Sivi Jataka) Sivi Jataka(no.499)    ChatGPT 번역   시비 왕의 눈 기부 이야기 (Sivi Jātaka)1. 시비 왕과 바라문 거지의 만남“멀리서 바라보지 못한 채로, 장로처럼눈을 간청하러 왔습니다.우리는 한쪽 눈만을 가진 자가 될 것입니다.청하노니, 내게 눈을 주십시오.”한 바라문 거지가 멀리서 왕을 보지 못한 채로 다가와 눈을 간청한다. 그는 왕에게 한쪽 눈이라도 달라고 요청한다.“누구의 가르침을 받아 이곳에 왔는가,바라문 거지여, 눈을 간청하기 위해?너는 감내하기 어려운 것을 구하는구나,그것은 사람들이 버리기 어려운 것이라네.”왕은 바라문에게 묻는다. “너는 누구의 가르침을 받고 이곳에 왔는가?”왕은 눈을 포기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며, 그것이 사람들이 쉽게 버릴 수 없는 것이라고..
314p-319p. 5. 씨비 왕의 두 눈 보시에 대한 질문 2025년  3월 20일 목요일 오후 9시 밀린다팡하 하권 씨비(Sivi) 왕의 두 눈 보시(314p-319p)를 공부합니다. 지난번에는 대지의 진동을 배우며 Vessantara Jātaka(no.547)에서 나타난 베싼다라왕의 보시를 공부했습니다. 자신의 아들딸, 부인을 보시하는 이야기는 눈물이 나게합니다. 이번에는 Sivi Jataka(no.499)에서 씨비왕이 자신의 눈을 보시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씨비(Sivi)와 베싼따라(Vessantara)는 모두 부처님의 전생(前生)입니다. 씨비(Sivi)왕의 자발적인 눈 보시를 하기위해 눈을 파내려 외과의사를 불렀습니다. 눈을 파내려는 과정에서 그들이 나누는 대화가 눈물겹습니다. 눈 하나를 달라는 노인에게 두 개의 눈을 주겠다는 씨비(Sivi)왕, 보시하..
온라인불자회 토론 '생명과 불교' 2025년 3월 13일 목요일 9시~11시 30분간 진행되었던 공부 내용입니다.
온라인불자회 발제 '생명과 불교' 2025년 3월 13일 목요일 9시~11시 30분간 진행되었던 공부 내용입니다.
온라인 불교공부 안내 불자들의 공부모임  에서는 오는 3월 13일 목요일 오후 9시에 '생명과 불교' 라는 주제로 공부합니다. 광주과학기술원 임춘택 교수님의 30분간 발제를 듣고 1시간 30분정도 구글 미트(아래링크)를 이용하여 영상토론합니다. 아래 '생명과 불교'라는 pdf파일을 다운받아 미리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것입니다. '과학문명시대에 불교의 역활'을 생각해보는 이번 공부에는  회원이 아니어도 참석할 수 있으니 주위 아시는 분들에게 아래링크를 전달하며 공부에 함꺼하는 기회를 주시면 공덕이 될것입니다.() 목요일 공부 참석 meet.google.com/jgi-mghh-tdu  토론공부자료: 생명과 불교   *  가입을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오셔요. https://open.kakao.com/o/gYJgSxze
305p-314p 4. 대지의 진동 2025년  3월 6일 목요일 오후 9시 밀린다팡하 하권 씨비 왕의 두 눈 보시(305p-319p)를 공부합니다.사람의 원력으로 천상에 다녀오고, 땅이 진동하고, 강물이 역류하는 이야기를 펼쳐내고 있습니다. 특히 아소까왕 때 일어난 일을 언급하고 있는게 특이합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
자유 의지는 있는가? 자유 의지는 있는가?  자유 의지는 있는가? 자유 의지는 없는가?라는 질문이 요즘 많이 논의되고 있습나다. 특히 뇌과학, 양자역학 그리고 생각하는 기계 AI의 등장으로 그 논의가 더욱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유 의지를 묻기전에 우선 ‘자유’라는 단어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언어를 인간이 만들었지만 다시 언어가 인간을 지배하기 때문입니다. ‘자유’라는 용어는 이미 ‘누구의 자유’, ‘무엇으로 부터의 자유’처럼 이미 ‘주체’를 상정하고 있는 단어입니다. 이 모순을 피하기 위해서 불교에서는 ‘오염된 의지’와 ‘오염을 벗어난 의지’를 설명합니다. 부처님 당시의 인도인들은 나의 주체가 있다는 착각을 하고 그것을 아뜨만이라 불렀습니다. 그 착각으로 인해서 여러가지 심각한 죄를 짓고 있었습니다. 부처님..
296p.~305p.데바닷따의 출가에 대한 질문(Devadattapabbajjapañha) 2월 20일 목요일 오후 9시에 밀린다팡하 296p~305p에서 '데바닷따의 출가에 대한 질문'에 대한 '양도논법'을  공부하겠습니다. 데바닷따가 출가하여 승가를 분열시켰는데 부처님은 이것을 알고 출가시켰느냐 아니면 모르고 출가시켰느냐? 라고 묻습니다.  이것은 앞에서 나가세나가 부처님이 일체지자라고 말한 것에서 대해서 이어지는 질문인데, 일체지자라면 데바닷따의 미래를 알고 출가시켰느냐? 모르고 출가시켰으면 일체지자가 아니다라는 질문입니다. 본문 내용 아래에 오자, 오역 수정 첨부.  삼귀의 합송   296p. 3. [데바닷따의 출가에 대한 질문](Devadattapabbajjapañha) 1. [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데바닷따는 누구에 의해 출가했습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이 여섯 명의..
287p~296p일체지자의 존재에 대한 질문(Sabbaññubhāvapañha) 2월 13일 오후 9시에는 밀린다팡하 287p~296p에서 '일체지자의 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한 '양도논법'을  공부하겠습니다. 나가세나는 일곱가지 마음상태를 대나무 마디를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문 내용 아래에 오자, 오역 수정 첨부.  삼귀의 합송  287p2. [일체지자의 존재에 대한 질문] (Sabbaññubhāvapañha) 1. [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부처님은 일체지자 입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그렇습니다. 세존께서는 일체지자입니다. 그러나 세존께 항상 계속해서 앎과 봄이 현전하는 것은 아닙니다. “bhante nāgasena, buddho sabbaññū”ti? “āma, mahārāja, bhagavā sabbaññū, na ca bhagavato satataṃ ..
밀린다팡하 下권 273-287p 열반에든 부처님께 공양한 효력 유무 영어번역- 리즈 데이비드: https://suttacentral.net/mil?view=normal&lang=en https://www.wisdomlib.org/buddhism/book/milindapanha-questions-of-king-milinda/d/doc1460778.html -------------- 1월 23일 목요일 오후 9시에는 273p~287p에서 '열반에 든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의 유무'에 대한 '양도논법'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내용 아래에 오자, 오역을 수정한 것을 첨부했습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
260p-296p. 양도논법-일체지자(Mendakapañha)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밀린다팡하 해제 13p.밀린다팡하 해제 -2024년 7월 10일 전재성번역-  밀린다팡하는 어떠한 경전인가 밀린다팡하는 기원전 2세기 중후반에 인도의 서북부 지역을 지배하던 그리스의 왕 밀린다(pali. Milinda: grk. Menandros)와 승려 나가세나(pali.Nāga- sena:ch.那先,龍軍)사이의 대화를 기록하고 있다. '밀린다팡하는 불교역사에서 철학적 담론이라는 중차대한 의미를 지닌 것을 제외하고라도, 밀린다(그리스 이름으로 메난드로스)가 그리스 출신의 인도의 왕이라는 것만으로도 세계인의 관심을 끌어왔다. 밀린다팡하는 이 왕과 나가세나라는 영향력 있는 승려 사이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그 내용은 우파니샤드적 대화나 플라톤적 대화와 비견될 수 있을 만한 철학적 대화를 구성하고 있다. 대화의 형태는 비록..
248p-260p.7.악덕의 크고 작음- 문답을 끝내며 팔레스타인 전쟁이 종식되기를 기원하며 '자애경'을 독송합니다.   1.수행(修行)의 길을 잘 알아적정의 경지를 이루려는 이는정직하고 진솔하고 능숙하며온순하고 부드럽고 겸손해야 합니다.2.만족할 줄 알아 많은 것을 구하지 않으며분주하지 않고 생활이 간소하며감각기관이 고요하고 안정되며거만하거나 탐착하지 않아서​3. 현명한 이들이 나무랄 일은그 어떤 것도 하지 않습니다.모든 존재들이 안락하고 평화롭고 행복하기를!​4. 살아 있는 생명이면 그 어떤 것이든움직이거나 움직이지 않거나길거나 크거나 중간이거나, 짧거나 미세하거나 거칠거나5.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가깝거나 멀거나,이미 태어난 것이나 앞으로 태어날 것이나,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기를!​6. 서로 속이지 않고 얕보지 않으며,어디에서나 누구에게나분노 때문이든 ..
219p-247p-9.다시 태어남- 10월 24일  목요일 공부 주제 219p.9. [다시 태어남의 인식에 대한 질문](Uppajjātijānanapañha)1. 왕이 말했다.[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다시 태어나는 자는 그가 다시 태어날 것을 알 수 있습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다시 태어나는 자는 그가 '나는 다시 태어날 것이다.'라고 알 수 있습니다."9. rājā āha “bhante nāgasena, yo uppajjati, jānāti so ‘uppajjissāmī’”ti? “āma, mahārāja, yo uppajjati jānāti so ‘uppajjissāmī’”ti.( 존자 나가세나여, 태어나는 자는 그가 태어날 것을 알 수 있습니까?)  2 [밀린다 왕] "비유를 들어주십시오."[나가세나] "대왕이여, 농..
198-216p 제4장-1. 접촉 등의 차별-8. 업보의 유무에 대한 질문 여기서부터 제4장 열반의 품(Nibbanavagga) 이 시작되어야 한다.  198p.~200p  '제4장 나가세나의 질문에 대한 품(Nagasenapañhavagga)은 겨우 2개의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래 없는 품이다. 이 품은 뒤에 오는 제4장 열반의 품(Nibbanavagga)에 포함되어야한다.  이것은 편집의 오류다. 밀리단팡하 상권은 총 7품인데 전재성 번역본은 총 8품으로 만들어 놓았다. 뒤의 201p.  '제1장 열반의 품'은  '제4장 열반의 품'으로 수정해야하고 201p. '제3편 의혹을 끊기 위한 질문'이라는 타이틀은  삭제되어야한다. 참고로 총 7품(vagga)의 차례는아래와 같다.  제1장 대품  Mahāvagga Mil 3.1제2장 시간의 품  Addhānavagga Mi..
184-197p.제3장 6.영혼(vedagu)에 대한 질문-숙고의 특징 9월 12일 목요일 오후 9시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
Pali 밀린다팡하와 한문 나선비구경 비교 * 고따마 붓다(Gotama buddha)( 624~  544년 BC)- 80세에 반열반 * 알렉산드로스( Alexander) 왕(356 ~ 323 BC)- 33세에 죽음, 불멸 188년에 출생 * 아소까(Asoka) 왕(304~232 BC )-72세에 죽음- 273년 ~ 232년 BC (41년간 재위) 불멸 240년에 출생 * 메난드로스(Menander) 왕 재위기간  (165년- 130년 BC) 출생년도 미상이지만 약 불멸후 400년경 출생  Pali 밀린다팡하와 한문 나선비구경 비교 pāli어 밀린다팡하(Milindapañhā) 는 불멸후 400년경의 인도 간다라 지역에서 만들어진 유일한 자료이다. 부처님의 반열반이후 인도에서 불교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그것을 알려고 한다면 밀린다팡하를 읽어보면 ..
밀린다팡하 사띠(SATI)에 대한 질문 모음(Satilakkhaṇapañha) 밀린다팡하에서 SATI와 관련된 4곳(146p. 233p. 234p. 235p.)의 문답을 모아 보았습니다. 이렇게 모아보면 SATI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146p.13. [새김의 특징에 대한 질문] (Satilakkhaṇapañha) 1. 왕이 말했다.[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새김(sati)은 무엇을 특징으로 합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새김 (sati) 은 기억(apilāpana)을 특징으로 하고 파악(upaggaṇhana)을 특징으로 합니다." “bhante nāgasena, kiṁlakkhaṇā satī”ti? “Apilāpanalakkhaṇā, mahārāja, sati, upaggaṇhanalakkhaṇā cā”ti.“Mindfulness, your..
불교의 믿음(saddha)이란 무엇인가? 불교의 믿음 (saddha) 이란 무엇인가? 2024년 8월 온라인불자회>에서 밀린다팡하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믿음'에 대한 토론을 한 인연으로 다시 믿음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밀린다팡하에서 나가세나는 믿음(saddha)의 특징을 "믿음은 정화(淨化,sampasādana)와 뛰어듦(sampakkhandana)을 특징으로 한다.“라고 설명한다. 나가세나의 말을 풀어서 설명하면 누군가에게 믿음이 생겼다면 그는 ‘마음이 밝고 청정해짐’과 ‘수행을 시작하려는 용기가 생겼다’라는 의미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유일신의 종교와 불교의 믿음은 같은 것일까? 믿음이 생겼다는 측면에서는 같을 수도있겠고 믿음의 대상이 다르다는 측면에서는 다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이 차이를 알고 싶다면 "믿음은 왜 생기는가?"..
[종합]마하박가 종합정리(22년9월 ~1월 온라인불자회) 율장 마하박가 영상토론공부는 2022년 9월 ~2023년1월까지  온라인불자회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제1장 크나큰 다발 (Mahäkkhandhaka I 첫 번째 송출품보리수이야기(Bodhikathä) 한때 세존께서는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을 얻은 직후, 우루벨라지역의 네란자라 강가에 있는 보리수 아래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보리수 아래서 칠일 동안 홀로 가부좌를 하고 해탈의 지복을 누리며 앉아 있었다. 그리고 세존께서는 밤의 초야에 연기법의 순관과 역관에 대하여 정신활동을 기울였다.  [세존] '무명을 조건으로 형성이 생겨나고, 형성을 조건으로 의식이 생겨나고, 의식을 조건으로 명색이 생겨나고, 명색을 조건으로 여섯 가지 감역이 생겨나고, 여섯 가지 감역을 조건으로 접촉이 생겨나고, 접촉을 조건으로 느낌..
193-197p.제3장-8.접촉의 특징~14. 숙고의 특징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번)  제1장 대품 The Great C..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