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불자회

(92)
305p-319p 4. 대지의 진동-씨비 왕의 두 눈 보시 305p.4. [대지의 진동에 대한 질문](Pathavicalanapañha) 1. [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세존께서 '대지의 진동이 출현하는 것에 관하여 여덟 가지 원인과 여덟 가지 조건이 있다.'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이것은 완전한 말씀이고, 완벽한 말씀이고, 결정적인 말씀입니다. 대지의 진동이 출현하는 것에 관하여 다른 아홉 번째 원인은 없습니다. “bhante nāgasena, bhāsitampetaṃ bhagavatā — ‘aṭṭhime, bhikkhave , hetū aṭṭha paccayā mahato bhūmicālassa pātubhāvāyā’ti. asesavacanaṃ idaṃ, nissesavacanaṃ idaṃ, nippariyāyavacanaṃ idaṃ, natthañ..
287p~305p일체지자의 존재에 대한 질문(Sabbaññubhāvapañha) 2월 6일 목요일 오후 9시에는 '2030청년이 극우화 되는 이유?'에 대한 토론을 합니다. 그리고 2월 13일 오후 9시에는 밀린다팡하 287p~305p에서 '일체지자의 존재에 대한 질문'에 대한 '양도논법'을  공부하겠습니다. 본문 내용 아래에 오자, 오역 수정 첨부.  삼귀의 합송 287p2. [일체지자의 존재에 대한 질문] (Sabbaññubhāvapañha) 1. [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부처님은 일체지자 입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그렇습니다. 세존께서는 일체지자입니다. 그러나 세존께 항상 계속해서 앎과 봄이 현전하는 것은 아닙니다. “bhante nāgasena, buddho sabbaññū”ti? “āma, mahārāja, bhagavā sabbaññū, na ca bhag..
'밀린다팡하' 오자(吳子)및 오역(수정 중...) 7월 26일 수정을 시작해서 11월 14일 현재 150개,11월 25일 241개,1월 7일 284개 ,1월 12일 324개, 1월 22일 335개  수정...   전재성 번역 '밀린다팡하' 오자(吳子) 수정 방법 00p.  문제 있는 문장 인용---붉은 글씨는  오자,오역(굵은 글씨)--- 파란 글씨는 번역이 생략된 단어나 문장* 별표 표시는 설명을 덧 붙임---------------------------  12p.그리인 왕 밀린다 --- 그리스인 왕 밀린다33P. 괴거---과거 33P. 기쁨의 ---기쁨  75p.나가세나의 담론은아비담마의 의취에 뛰어들어경전의 그물에 의해 결정된비유와 방법으로 다채롭다.---나가세나의 담론은아비담마와 율장에 근거하고 경전의 그물로 잘 구성되었으며비유와 논리적인 설명으로..
밀린다팡하 下권 273-287p 열반에든 부처님께 공양한 효력 유무 영어번역- 리즈 데이비드: https://suttacentral.net/mil?view=normal&lang=en https://www.wisdomlib.org/buddhism/book/milindapanha-questions-of-king-milinda/d/doc1460778.html -------------- 1월 23일 목요일 오후 9시에는 273p~287p에서 '열반에 든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의 유무'에 대한 '양도논법'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내용 아래에 오자, 오역을 수정한 것을 첨부했습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
296p.~305p.데바닷따의 출가에 대한 질문(Devadattapabbajjapañha) 296p.~305p. 296p. 3. [데바닷따의 출가에 대한 질문](Devadattapabbajjapañha) 1. [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데바닷따는 누구에 의해 출가했습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이 여섯 명의 왕족 동자, 밧디야, 아누룻다, 아난다, 바구, 낌빌라,데바닷따,그리고 일곱 번째로 이발사 우빨리가 스승께서 올바로 원만히 깨달을 때 환희가 생겨나자, 싸끼야족을 떠나 세존을 따라 출가를 한 것입니다. 세존께서는 그들을 출가시켰습니다.“ “bhante nāgasena, devadatto kena pabbājito”ti? “cha yime, mahārāja, khattiyakumārā bhaddiyo ca anuruddho ca ānando ca bhagu ca kimilo ca ..
260p-296p. 양도논법-일체지자(Mendakapañha)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밀린다팡하 해제 13p.밀린다팡하 해제 -2024년 7월 10일 전재성번역-  밀린다팡하는 어떠한 경전인가 밀린다팡하는 기원전 2세기 중후반에 인도의 서북부 지역을 지배하던 그리스의 왕 밀린다(pali. Milinda: grk. Menandros)와 승려 나가세나(pali.Nāga- sena:ch.那先,龍軍)사이의 대화를 기록하고 있다. '밀린다팡하는 불교역사에서 철학적 담론이라는 중차대한 의미를 지닌 것을 제외하고라도, 밀린다(그리스 이름으로 메난드로스)가 그리스 출신의 인도의 왕이라는 것만으로도 세계인의 관심을 끌어왔다. 밀린다팡하는 이 왕과 나가세나라는 영향력 있는 승려 사이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그 내용은 우파니샤드적 대화나 플라톤적 대화와 비견될 수 있을 만한 철학적 대화를 구성하고 있다. 대화의 형태는 비록..
248p-260p.7.악덕의 크고 작음- 문답을 끝내며 팔레스타인 전쟁이 종식되기를 기원하며 '자애경'을 독송합니다.   1.수행(修行)의 길을 잘 알아적정의 경지를 이루려는 이는정직하고 진솔하고 능숙하며온순하고 부드럽고 겸손해야 합니다.2.만족할 줄 알아 많은 것을 구하지 않으며분주하지 않고 생활이 간소하며감각기관이 고요하고 안정되며거만하거나 탐착하지 않아서​3. 현명한 이들이 나무랄 일은그 어떤 것도 하지 않습니다.모든 존재들이 안락하고 평화롭고 행복하기를!​4. 살아 있는 생명이면 그 어떤 것이든움직이거나 움직이지 않거나길거나 크거나 중간이거나, 짧거나 미세하거나 거칠거나5. 보이거나 보이지 않거나 가깝거나 멀거나,이미 태어난 것이나 앞으로 태어날 것이나,모든 존재들이 행복하기를!​6. 서로 속이지 않고 얕보지 않으며,어디에서나 누구에게나분노 때문이든 ..
219p-247p-9.다시 태어남- 10월 24일  목요일 공부 주제 219p.9. [다시 태어남의 인식에 대한 질문](Uppajjātijānanapañha)1. 왕이 말했다.[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다시 태어나는 자는 그가 다시 태어날 것을 알 수 있습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다시 태어나는 자는 그가 '나는 다시 태어날 것이다.'라고 알 수 있습니다."9. rājā āha “bhante nāgasena, yo uppajjati, jānāti so ‘uppajjissāmī’”ti? “āma, mahārāja, yo uppajjati jānāti so ‘uppajjissāmī’”ti.( 존자 나가세나여, 태어나는 자는 그가 태어날 것을 알 수 있습니까?)  2 [밀린다 왕] "비유를 들어주십시오."[나가세나] "대왕이여, 농..
198-216p 제4장-1. 접촉 등의 차별-8. 업보의 유무에 대한 질문 여기서부터 제4장 열반의 품(Nibbanavagga) 이 시작되어야 한다.  198p.~200p  '제4장 나가세나의 질문에 대한 품(Nagasenapañhavagga)은 겨우 2개의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래 없는 품이다. 이 품은 뒤에 오는 제4장 열반의 품(Nibbanavagga)에 포함되어야한다.  이것은 편집의 오류다. 밀리단팡하 상권은 총 7품인데 전재성 번역본은 총 8품으로 만들어 놓았다. 뒤의 201p.  '제1장 열반의 품'은  '제4장 열반의 품'으로 수정해야하고 201p. '제3편 의혹을 끊기 위한 질문'이라는 타이틀은  삭제되어야한다. 참고로 총 7품(vagga)의 차례는아래와 같다.  제1장 대품  Mahāvagga Mil 3.1제2장 시간의 품  Addhānavagga Mi..
184-197p.제3장 6.영혼(vedagu)에 대한 질문-숙고의 특징 9월 12일 목요일 오후 9시에 공부할 내용입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
Pali 밀린다팡하와 한문 나선비구경 비교 * 고따마 붓다(Gotama buddha)( 624~  544년 BC)- 80세에 반열반 * 알렉산드로스( Alexander) 왕(356 ~ 323 BC)- 33세에 죽음, 불멸 188년에 출생 * 아소까(Asoka) 왕(304~232 BC )-72세에 죽음- 273년 ~ 232년 BC (41년간 재위) 불멸 240년에 출생 * 메난드로스(Menander) 왕 재위기간  (165년- 130년 BC) 출생년도 미상이지만 약 불멸후 400년경 출생  Pali 밀린다팡하와 한문 나선비구경 비교 pāli어 밀린다팡하(Milindapañhā) 는 불멸후 400년경의 인도 간다라 지역에서 만들어진 유일한 자료이다. 부처님의 반열반이후 인도에서 불교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그것을 알려고 한다면 밀린다팡하를 읽어보면 ..
밀린다팡하 사띠(SATI)에 대한 질문 모음(Satilakkhaṇapañha) 밀린다팡하에서 SATI와 관련된 4곳(146p. 233p. 234p. 235p.)의 문답을 모아 보았습니다. 이렇게 모아보면 SATI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146p.13. [새김의 특징에 대한 질문] (Satilakkhaṇapañha) 1. 왕이 말했다.[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새김(sati)은 무엇을 특징으로 합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새김 (sati) 은 기억(apilāpana)을 특징으로 하고 파악(upaggaṇhana)을 특징으로 합니다." “bhante nāgasena, kiṁlakkhaṇā satī”ti? “Apilāpanalakkhaṇā, mahārāja, sati, upaggaṇhanalakkhaṇā cā”ti.“Mindfulness, your..
불교의 믿음(saddha)이란 무엇인가? 불교의 믿음 (saddha) 이란 무엇인가? 2024년 8월 온라인불자회>에서 밀린다팡하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믿음'에 대한 토론을 한 인연으로 다시 믿음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밀린다팡하에서 나가세나는 믿음(saddha)의 특징을 "믿음은 정화(淨化,sampasādana)와 뛰어듦(sampakkhandana)을 특징으로 한다.“라고 설명한다. 나가세나의 말을 풀어서 설명하면 누군가에게 믿음이 생겼다면 그는 ‘마음이 밝고 청정해짐’과 ‘수행을 시작하려는 용기가 생겼다’라는 의미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유일신의 종교와 불교의 믿음은 같은 것일까? 믿음이 생겼다는 측면에서는 같을 수도있겠고 믿음의 대상이 다르다는 측면에서는 다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이 차이를 알고 싶다면 "믿음은 왜 생기는가?"..
[종합]마하박가 종합정리(9월 ~1월 온라인불자회) 율장 마하박가 영상토론공부는 2022년 9월 ~2023년1월까지  온라인불자회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제1장 크나큰 다발 (Mahäkkhandhaka I 첫 번째 송출품보리수이야기(Bodhikathä) 한때 세존께서는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을 얻은 직후, 우루벨라지역의 네란자라 강가에 있는 보리수 아래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보리수 아래서 칠일 동안 홀로 가부좌를 하고 해탈의 지복을 누리며 앉아 있었다. 그리고 세존께서는 밤의 초야에 연기법의 순관과 역관에 대하여 정신활동을 기울였다.  [세존] '무명을 조건으로 형성이 생겨나고, 형성을 조건으로 의식이 생겨나고, 의식을 조건으로 명색이 생겨나고, 명색을 조건으로 여섯 가지 감역이 생겨나고, 여섯 가지 감역을 조건으로 접촉이 생겨나고, 접촉을 조건으로 느낌..
193-197p.제3장-8.접촉의 특징~14. 숙고의 특징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번)  제1장 대품 The Great C..
165-185p-제2장- 6.명색은 같은 것인가~7. 시각의식 등에 대한 질문 * 오늘 공부하는 단원의 번역이 문제가 있어보여 미리 공유합니다. 아래 가로안에 (빨간색) 문장이 제가 다시 번역한 것입니다. 논점도 아래에 있습니다. 165p.6. [(지금의 명색과 다시 태어나는) 명색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에 대한 질문] (Nāmarūpaekattanānattapañha) 1. 왕이 말했다.[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무엇이 다시 태어납니까?"장로가 말했다.[나가세나] "대왕이여, 명색( nāmarūpaṃ 名色)이 다시 태어납니다."rājā āha “bhante nāgasena, ko paṭisandahatī”ti? thero āha “nāmarūpaṃ kho, mahārāja, paṭisandahatī”ti. “Venerable Nāgasena, what reconnect..
152-165p.제2장 시간의품-1. 상속에 대한 질문~5. 느낌에 대한 질문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번)  온라인불자회 토론 규칙 1.  경..
141~151p.대품- 10.믿음에 대한 질문~16. 다양한 가르침들의 동일한 목표에 대한 질문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번)  온라인불자회 토론 규칙 1.  경..
134p~140p.밀린다빵하-대품- 5. 출가에 대한 질문~9. 계행의 특징에 대한 질문 * 고따마 붓다(Gotama buddha)( 624~  544년 BC)- 80세에 반열반 *알렉산드로스( Alexander) 왕(356 ~ 323 BC)- 33세에 죽음 불멸 188년에 출생 *아소까(Asoka) 왕(304~232 BC )72세에 죽음- 273년 ~ 232년BC (41년간 재위) 불멸 240년에 출생 * 메난드로스(Menander) 왕 재위기간  (165년- 130년 BC) 불멸후 약 400년경 출생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
122p~133p.밀린다빵하-대품- 1.이름에 대한 질문~4. 아난따까야의 질문 정리 8월 1일 목요일                                                   밀린다빵하(Milinda Pañha)-대품- 이름에 대한 질문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
75p.~121p.밀린다빵하-제1편 세속적 이야기 * 석가모니 ( 624~  544년 BC)- 80세에 죽음 *알렉산드로스( Alexander) 왕(356 ~ 323 BC)- 33세에 죽음 *아소까(Asoka) 왕(304~232 BC )72세에 죽음* 메난드로스(Menander) 왕 재위기간  (165년- 130년 BC) *아소까왕(304~232 BC)이 바위 칙령을 새긴 기간이 15년간(즉위 12년~27년)이니, 재위기간 중간에서 밀린다왕의 재위기간 (165-130 BC)  중간을 빼면 아소까와 밀린다왕의 차이는 약 (246-147 =) 99년이다. 린다빵하(Milinda Pañha) pali에서 전재성 번역   밀린다빵하 상권 제1편 세속적 이야기(Bāhirakathā)Ⅰ. 서사(序詞)(Pubbabhāgapatha) 1. '밀린다'라고 불리는 왕이 ..
사문과경(沙門果經. Sāmaññaphala sutta. D2)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번)  현재 '온라인불자회' 목요토론 공..
사문과경 번역문장 비교 2019년 백장암에서 사문과경을 주제로 토론할때 정리한 작업입니다. 사문과경 번역문장 비교 (아래 사이트를 이용하면 한글 영어 일본어를 비교하여 니까야를 읽을수 있습니다)①각묵스님(2006년발행본) 사문과경.hwp②전재성(2011년발행본)③pali 원전   https://suttacentral.net/dn2/en/sujato④수자또 비구  https://suttacentral.net/dn2/en/sujato⑤보디 비구     https://suttacentral.net/dn2/en/bodhi* 일본 광명사 단어분석  https://komyojikyozo.web.fc2.com/* pali 고유명사사전   http://www.palikanon.com/english/pali_names/dic_idx.html..
마하나마 경1(S55:21) 기반 경(S12:23) 마하나마 경1(S55:21)-- 55:21(3-1) 마하나마의 경① [Pathamamahānāmasutta]385) Mahānama-sutta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삭까에서 까삘라왓투의 니그로다 원림에 머무셨다.그때 삭까 사람 마하나마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삭까 사람 마하나마는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 세존께서는 싸끼야 족의 까벨라밧투 시에 있는 니그로다 승원에 계셨다.그 때 싸끼야 족의 마하나마가 세존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왔다. 가까이 다가와서 세존과 함께 인사를 나누고 안부를 주고받은 뒤 한 쪽으로 물러나 앉았다. 한 쪽으로 물러나 앉아 싸끼야 족의 마하나마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씀드렸다. ..
존재 경(A6:105) 중생 경(A9:24) 존재 경(A6:105) Bhava-sutta  1. “비구들이여, 세 가지 존재를 버려야 하고 세 가지 공부를 지어야 한다. 어떤 세 가지 존재를 버려야 하는가?” 2. “욕계의 존재, 색계의 존재, 무색계의 존재이다. 이러한 세 가지 존재를 버려야 한다.” 3. “어떤 세 가지 공부지음을 해야 하는가? 높은 계를 공부지음, 높은 마음을 공부지음, 높은 통찰지를 공부지음이다. 이러한 세 가지 공부를 지어야 한다.”“Tayome, bhikkhave, bhavā pahātabbā, tīsu sikkhāsu sikkhitabbaṁ. Katame tayo bhavā pahātabbā? Kāmabhavo, rūpabhavo, arūpabhavo— ime tayo bhavā pahātabbā. Katamāsu tī..
세상?의 끝에 도달해 보리라-로히땃사 경(S2:26) 2024년  6월 6일 목요일 오후 9시, 로히땃사 경(S2:26)을 공부합니다.  오늘도 다같이 부처님께 예경하고 삼귀의를 하겠습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ā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ā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
사밋디 경(S1:20) 1 사밋디 경(S1:20)  어제 공부시간에 사밋디 경(S1:20)을 공부하였습니다. 할 이야기가 많은 경입니다. 그 중에서 앞부분에 나타나는 게송을 옮겨봅니다. 출가한지 얼마 되지 않은 사밋디스님이 온천에서 목욕을 할 때 천신이 나타나서 “젊은 스님! 젊어서 출가해 법 얻으러 다닌다고 고생하지 말고 세상의 즐거움을 먼저 즐겨보고 난 뒤에 수행하시는게 어떻소?”라고 묻습니다. 천신이 말하는 “시절이 그대를 지나쳐서는 안되네”라는 말은 “젊은 시절을 그렇게 힘들고 재미없게 보내는게 아깝지 않나”하는 하소연입니다. 사밋디 스님은 “세월이라 하는 것을 나는 아예 모르나니 세월이란 감춰져서 보이지 않는다오.”라고 대답합니다. 젊은 사밋디스님은 벌써 세월, 시간 탓을 하지 않습니다. 과거심 현재심 미래심 불가득(不可..
5월 30일 사밋디 경(S1:20) 칼 경(S1:21) 엉킴 경(S1:24) 마음의 고삐 경(S1:24) 2024년  5월 30일 목요일 오후 9시, Samiddhisutta(S1:20)' 칼경(S1:21)등을 공부합니다. 오늘도 다같이 부처님께 예경하고 삼귀의를 하겠습니다. 이 경에는 Akkhātāraṁ na maññati(말하는 자를 생각하지 마라)는 특별한 가르침이 들어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3월 21일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경(M118) 2024년 3월 14일 공부하고 오늘 3월 21일 목요일 오후 9시, ' 들숨날숨에 대한 마음챙김 경(M118) '을 공부합니다. 이 경은 부처님이 가르치신 수행법인 들숨날숨에 대한 알아차림을 설명하는 불교수행의 핵심을 설명하는 경입니다. 한 번으로 끝내기에는 긴경이라서 3월 14, 3월 21일, 4월4일 세번에 걸쳐 이 경을 공부하겠습니다.(3월 28일 목요일은 자유주제 토론날입니다.) 경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중요하기에 파란 글씨로된 주석까지 옮겨왔습니다. 온라인불자회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입니다. 이 책이 필요하신 분은 백장암 종무소(063-636-3598)에 연락하시면 받아볼수 있습니다. 오늘도 다같이 부처님께 예경하고 삼귀의를 하겠습니다.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