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기불교

(32)
대반열반경 제6권 대반열반경 제6권 大般涅槃經卷第六 북량 천축삼장 담무참 한역 北涼天竺三藏曇無讖譯 4. 여래성품③ 如來性品第四之三 “선남자야, 이 미묘한 대반열반 가운데 네 종류 사람이 바른 법을 수호하고 바른 법을 세우며 바른 법을 생각하며, 세상 사람들을 이익 되게 하고 불쌍히 여겨, 세간의 의지가 되고 천상과 세간 사람을 안락하게 할 것이다. “善男子!是『大涅槃』微妙經中,有四種人能護正法、建立正法、憶念正法,能多利益憐愍世閒,爲世閒依,安樂人天。 무엇을 네 종류라 하는가? 어떤 사람은 세상을 벗어나고도 번뇌의 성품을 구족하였으니 이것이 첫째이며, 수다원(須陀洹)을 얻은 사람과 사다함(斯陀含)을 얻은 사람은 둘째이며, 아나함을 얻은 사람이 셋째이며, 아라한을 얻은 사람이 넷째이다. 이 네 종류 사람이 세상에 나타나서 세간 사..
대반열반경 제7권 대승에서는 4성제도 이상하게 해석하는데 이러한 해석이 어디가 잘못되었다고 할수 있나요? 대반열반경 제7권 大般涅槃經卷第七 북량 천축삼장 담무참 한역 北涼天竺三藏曇無讖譯 4. 여래성품[邪正品]④ 如來性品第四之四 그때에 가섭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위에서 말한 네 종류 사람들에게 마땅히 의지해야 합니까?” 爾時,迦葉白佛言:“世尊!如上所說四種人等應當依耶?”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선남자야, 나의 말과 같이 의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네 가지 마군이 있는 까닭이다. 무엇이 네 가지인가? 마군이 말한 경전과 계율을 받아 가지는 것이다.” 佛言:“如是!如是!善男子!如我所說,應當依止。何以故?有四魔故。何等爲四?如魔所說諸餘經律能受持者。” 가섭보살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
高峰和尙禪要 해설 高峰和尙禪要 海印叢林講院 高峰和尙禪要序 고봉화상선요서 參禪은 雖以不立文字하며 不假修證으로 爲宗이나 然이나 旣可叅則 참선은 수이불립문자하며 불가수증으로 위종이나 연이나 기가참칙필 有要하니 要者는 何오 如ㅣ 網之有綱하여 衣之有領하야 使人一擧而 유요하니 요자는 하오 여ㅣ망지유강하여 의지유령하야 사인일거이 徑得其直遂者ㅣ 是也라 萬目이 非不網也나 遣綱擧目이면 網必不張 경득기직수자ㅣ 시야라 만목이 비불망야나 견강거목이면 망필부장이요 이요 萬縷ㅣ 非不衣也이 捨領擧縷면 衣必不振이니라 永嘉ㅣ 云호대 摘 만루ㅣ 비불의야이 사령거루면 의필부진이니라 영가ㅣ 운호대 적 葉尋枝는 我不能이라하니 枝與葉은 非要요 根本이라사 固要也어늘 學者 엽심지는 아불능이라하니 지여엽은 비요요 근본이라사 고요야어늘 학자ㅣ ㅣ 復昧其根本이로다 鵝湖ㅣ..
금강경에 대한 아쉬움 조계종의 소의 경전인 금강경은 오랫동안 수행자들의 벗이 되어왔다. 오늘날에는 종단 표준번역본 금강경이 출판되어 우리말로도 독송하고 있다. 사찰마다 금강경을 주제로한 법회가 자주 열리고 49재등 천도재에에서 금강경을 독송하는 것이 일상화 되어있다. 인도성지순례를 떠나는 사람들은 금강경의 설법지라고 알려진 사위성에서 금강경을 독송하며 감동하기도한다. 그러나 아시는 바와같이 부처님은 기원정사에서 금강경을 설한 적이 없다. 금강경은 불멸후 500년경에 대승보살들이 만들어낸 것이다. 이렇게 말 할수 있는 이유는 금강경 곳곳에서 발견된다. 그 이유를 설명하자면 첫째는 금강경은 대승초기 경전으로 산스끄리뜨로 문자화 되어 나타났다. 둘째는 금강경에서 대승(大乘), 최상승(最上乘),소법(소승법)이라는 표현이 나타난다. ..
[스크랩] 신묘장구대다리니 독경과 우리말 풀이 --신묘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陀羅尼-- 나모라,다나다라,야야,나막알약,바로기제,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마하,사다바야,마하가로,니가야,옴,살바,바예수 다라나,가라야,다사명,나막,가리다바,이맘,알야,바로기제 새바라,다바,니라간타,나막,하리나야,마발다,이사미,살발타 사다남,수반,아예염,살바..
예불문(칠정례)을 해석해보다 서산 천장사에서 주지소임을 볼 때, 열심히 백일기도를 하는 보살님이 있었는데 매일 예불을 하면서도 예불문의 뜻을 모르고 있다고 말하면서 예불문의 뜻을 해석해 주기를 청했다. 그 보살님에게 예불문의 뜻을 설명해 주면서 다른 사람들에게도 참고가 되도록 이렇게 정리해 두고자 한다.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예불문이 언제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 졌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예불문을 해석해 보면 우리나라에서 법화경이 유행하던 시기에 예불문이 만들어 졌다는 것을 짐작 수 있을 뿐이다.우리가 사용하는 한문 예불문과 그 번역은 다음과 같다.  (새벽예불 다게(茶偈))아금청정수 변위감로다 봉헌삼보전 원수애납수我今淸淨水 變爲甘露茶 奉獻三寶前 願垂哀納受(3번)저희는 지금 청정한 물로 감로차를 다려서 삼보전에 올립니다.원하..
대승불교는 부처님 친설입니다- 불교까페에서의 경험 어제 대표적인 불교까페 [나무아미타불]에 아래와 같은 글이 올라 왔길래 나름대로 댓글을 3개 달았습니다. 그런데 오늘(2009.6.15) 가서 확인해보니 꼬리말은 지워졌고 회원등급은 강등되어 있었습니다. 그 등급이란게 어떠한 게시판에도 글쓰기가 금지되고 댓글쓰기가 금지된 [열람회원]이라는 것입니..
대승적인 출가자의 의미는 무엇입 니까? [질문] 대승적인 출가자의 의미는 무엇입 니까? [답변] 대승불교권의 출가자 수행에 대해 물으셔는데 말씀하신 김에 대승불교의 출가자와 재가자 간의 관계에 대해 잠깐 설명하고 답해보겠습니다. 국내외의 불교학자들 중에 대승불교에서의 승속 관계는 소승불교의 승속 관계가 다르다고 설명하는 분..
불교역사상에 삼학의 수행법이 어떻게 변화해 왔습니까? [질문] 불교역사상에 삼학의 수행법이 어떻게 변화해 왔습니까? 안녕하세요? 삼학의 수행법이 초기불교,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밀교, 그리고 조사선까지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체적으로 어떻게 골격을 잡아가야하는지와 참고해야할 책들도 알려주실 수 있는..
법륜시리즈 천수경 다운받기 천수경-정각스님 논문.HWP 천수다라니해.hwp 법 륜 하나: 부처님 그분 - 생애와 가르침 [개정판] 빠알리 원전에 입각해서 부처님 그분의 생애를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그 근본 가르침을 요약한 단행본. 둘: 구도의 마음, 자유 - 깔라마경 외부의 권위.전통.다수의 추세 등에 따라 생각을 정하지 말고 자유로..
반야도 연기합니까? [re]반야도 연기합니까? 2009-02-08 [07:37] 글쓴이: 김성철 조회수: 11 --------------------------------------------------------- ┃교수님 또 의문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교수님의 말씀은 매번 저에게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연기란 모든 것이 상의상자(相依相資)되어 존재하는 것이라고 알고있습니다. ┃(상의상자..
‘體/用’,‘能/所’라는 개념의 시작 [re]체/용, 능/소 개념의 유래에 대해 2009-02-03 [23:08] 글쓴이: 김성철 조회수: 35 [질문] ┃김성철 선생님 안녕하세요. ┃10여 년 전부터 선생님을 사숙하고 있는 학인입니다. ┃선생님께 여쭈고 싶은 점이 있어서 이렇게 찾아뵈었습니다. ┃ ┃중국 문명권, 즉 한자 문화권에서 쓰여진 ┃한문 고전에 등장..
중아함경 제 7 권/3. 사리자상응품 제 3 ③/29) 대구치라경 중아함경 제 7 권/3. 사리자상응품 제 3 ③/29) 대구치라경 조회(106) 아함경자료 | 2007/11/28 (수) 23:01 추천하기(0) | 스크랩하기(0) 중아함경 제 7 권 3. 사리자상응품 제 3 ③ 29) 대구치라경(大拘?羅經) 제 9 [초 1일송]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을 유행하실 적에 죽림가란다원(竹林迦..
일체유심조의 설명 일체유심조의 설명 일체가 무엇인지 하는 것이 문제이다. 일체가 무엇인가에 따라 [만든다]는 것이 인식론적으로 혹은 존재론적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이 일체의 설명은 名色의 설명과 맞닿아 있다. 온 우주도 名과 色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색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서 이해가 ..
부파불교(部派佛敎)의 이해 부파불교(部派佛敎)의 이해 (eighteen schools) The cause even of a single eye in the feather of peacock cannot be understood in all its aspects by non-omniscient ones. For it is the knowledge which might be the power of the omnicient (the Buddha). - Rahura - 공작 깃털 속 작은 눈동자 하나 조차도 [깨달아] 완전히 아는 사람이 아니라면 그 원인들을 두루 ..
지눌이 쓴 글 중에 『육조단경』의 발문 <열린 공간>은 ‘불교가 좋은 것이 아니라 좋은 것이 불교’라는 『불교와 문화』의 지향점을 살려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불교 이야기를 나누는 장이다. 2008년에는 예의 번뜩이는 필체로 사람들의 마음을 훑으며 읽는 재미와 생각의 여백을 던져주는 <한형조 교수의 격외불교 한담>..
「육조단경의 반야․중관 사상」을 읽고 「육조단경의 반야․중관 사상」을 읽고 각 묵(초기불전연구원 지도법사) 이중표 교수님의 내공이 가득 담긴 글을 잘 읽었다. 전체적으로 이 교수님(이하 발제자라 칭함)은 육조단경은 반야사상을 표방하고 그것을 천명하고 있으며(1쪽) 이러한 반야의 가르침은 초기불교→반야/중관→육조단경..
[스크랩] 초기불교 대승불교의 논쟁자료(법보신문) 초기불교 지상주의를 경계한다 * 동국대 불교학과, 김용표 교수 =-=-=-=-=-=-=-= 최근 교계와 학계에서 일고 있는 대중불교의 신행 문제와 이의 교학적 배경이 되고 있는 불설의 정통성 문제에 대한 논의는 한국불교의 장래를 위해 한번은 결택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며, 이에 대한 보다 정밀한 해석학적 재..
[스크랩] 대승불교 정체성 논쟁 재검토(마성스님) 머리말 올해 봄 〈법보신문〉의 지면을 통해 전개되었던 ‘초기-대승불교의 정체성 논쟁’은 몇 가지 점에서 매우 유익한 논쟁이었다. 첫째는 불교계 내의 가장 민감한 교리적 문제를 거론함으로써 불교가 안고 있는 문제를 공론화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이를 계기로 앞으로 불교학계에서도 이 문제..
8정도와 6바라밀의 차이 8정도와 6바라밀의 차이 1.들어가는 말 불교는 크게 남방불교와 불방불교로 나누어 집니다. 오랫동안 대승 불교권에서는 남방 불교를 소승불교라고 불러 왔습니다. 대승불교는 bc1-ad1세기경에 중국에 전해졌고 다시 4세기(372)경에 한국으로 전해졌고 다시 5세기 경에 한국에에서 일본으로 전해 졌습니..
[스크랩] 공의 의미와 진제속제 이글의 순서는 중론 24장의 40개 게송을 살펴보고 거기에서 사용된 공과 불공의 의미를 살펴보고 , 전체내용에 대한 설명을 한 다음, 초기 경전에서의 공의 3가지 의미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진제와 속제의 의미를 설명할 것입니다. 어렵지 않으니 찬찬히 살펴보시길....() 24. 사제(四諦)를 관찰하는 장[..
삼법인과 삼특상 () 삼법인과 삼특상 이제 이글에서 설명 하고자 하는 일체개고의 뜻을 설명할 차례이다. 먼저 많은 사람들이 삼법인이나 삼특상의 구별을 하지 못한 체 사용하고 있는데 삼특상과 삼법인은 분명히 구별되어야 한다. 삼특상과 삼법인의 유래와 차이를 설명하는 다음과 같은 글을 인용한다. ‘제행무상’ ..
[스크랩] 여래장 사상(如來藏 思想 ) 여래장 사상(如來藏 思想) | - 불교 교리 2004.12.27 15:02 성산지기(holyhillch) http://cafe.naver.com/seereligion/81 여래장사상(V.0).hwp 여래장 사상(如來藏 思想) 목 차 여래장 사상(如來藏 思想) - 蓮海 여래장사상의 성립과 사상적 의의 여래장 사상의 형성 및 연원 여래장사상의 실천적 이해 (정호영) 여래장 사상(如..
[스크랩] 김호성님의 글을 읽고..... 김호성님의 글을 읽고 김호성님의 글은 각묵스님의 문제제기에 대한 답글이라기 보다는 이 문제에 대한 토론이 흘러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글이라고 생각한다. 글의 내용으로 봐서는 그가 자발적으로 쓴 글이라기 보다는 신문사가 기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청탁을 해서 쓴 글 같다는 인상을..
[스크랩] ‘방편’ 쓰지 말고 ‘붓다의 언어’로 말해야 - 허정스님(불교신문) # 이평래 교수의 글을 읽고 연기와 공엔 어떤 실체도 발 붙일 수 없어 ‘방편’ 쓰지 말고 ‘붓다의 언어’로 말해야 -인도 뿌네대 빠알리어학과 석사과정 허정스님 각묵스님의 ‘현양매구(懸羊賣狗)’라는 글에서 여래장 계열의 가르침은 수승한 불교라는 양 머리를 내걸었지만 존재론적 실체를 찬양..
[스크랩] Re:연기법과 여래장의 차이 여래장과 연기법의 차이 Atthattasuttaṃ(자아경) 한 때에 세존께서 싸밧티의 제따바나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계셨다. 그 때에 유행자 밧차곳따가 세존께서 계신 곳을 찾았다. 가까이 다가가서 세존께 인사를 드리고 안부를 서로 나눈 뒤에 한쪽으로 물러앉았다. 한쪽으로 물러앉은 유행자 밧..
[스크랩] 간화선비판-한 형조교수 우리 불자들이나 저나 늘 우리 불교의 주수행법인 <간화선>에 대해 부담감 (?) 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너무 어렵고 힘든 수행법이라 생각하지만 또 여러 스님/법사들이 워낙 강조를 하시니까 함부로 아니라 할 수도 없고... 2000년... 좀 묵었습니다만 원로 불교학자이신 한 형조교수 께서 <불교..
정리학파의 철학 제9장 정리학파의 철학 1 정리철학의 전통 정리 Nyaya학파의 철학체계는 전통적으로 가우타마 Gautama 혹은 안족 Aksapada이라는 사람에 의해 성립되었다고 한다. 그의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대략 서력기원전 1-2세기의 사람으로 추정되며, 현재의 '정리경 Nyaya-sutra'은 기원후 2세기경에 편찬된 것으로 ..
인도철학[印度哲學, Indian philosophy] 인도철학[印度哲學, Indian philosophy] 본문 목차 개요 | 일반적 고찰 | 일반적 특성 | 정통학파 | 불교 | 현대철학 인도철학--> 인도에서 성립·발전한 철학·종교 사상의 총칭 및 그것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 [개요] 인도철학은 니아야·바이셰시카·상키야·요가·푸르바미망사·베단타 학파의 정통..
제 一. 세주묘엄품(世主妙嚴品)2 8. 여래의 사자좌에서 나온 보살들이 부처님의 덕을 찬탄하다 (1)나온 곳을 밝히다 그때 여래의 사자좌에 있는 온갖 보배로 된 미묘한 꽃과 좌대와 기단과 섬돌과 모든 창문등 이러한 온갖 장엄구에서 낱낱이 각각 부처님 세계의 미진수와 같은 보살마하살들이 나왔다. 위 경문에서 사좌자가 의미 하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