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154)
141~151p.대품- 10.믿음에 대한 질문~16. 다양한 가르침들의 동일한 목표에 대한 질문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번)  온라인불자회 토론 규칙 1.  경..
134p~140p.밀린다빵하-대품- 5. 출가에 대한 질문~9. 계행의 특징에 대한 질문 * 고따마 붓다(Gotama buddha)( 624~  544년 BC)- 80세에 반열반 *알렉산드로스( Alexander) 왕(356 ~ 323 BC)- 33세에 죽음 불멸 188년에 출생 *아소까(Asoka) 왕(304~232 BC )72세에 죽음- 273년 ~ 232년BC (41년간 재위) 불멸 240년에 출생 * 메난드로스(Menander) 왕 재위기간  (165년- 130년 BC) 불멸후 약 400년경 출생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
122p~133p.밀린다빵하-대품- 1.이름에 대한 질문~4. 아난따까야의 질문 정리 8월 1일 목요일                                                   밀린다빵하(Milinda Pañha)-대품- 이름에 대한 질문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
75p.~121p.밀린다빵하-제1편 세속적 이야기 * 석가모니 ( 624~  544년 BC)- 80세에 죽음 *알렉산드로스( Alexander) 왕(356 ~ 323 BC)- 33세에 죽음 *아소까(Asoka) 왕(304~232 BC )72세에 죽음* 메난드로스(Menander) 왕 재위기간  (165년- 130년 BC) *아소까왕(304~232 BC)이 바위 칙령을 새긴 기간이 15년간(즉위 12년~27년)이니, 재위기간 중간에서 밀린다왕의 재위기간 (165-130 BC)  중간을 빼면 아소까와 밀린다왕의 차이는 약 (246-147 =) 99년이다. 린다빵하(Milinda Pañha) pali에서 전재성 번역   밀린다빵하 상권 제1편 세속적 이야기(Bāhirakathā)Ⅰ. 서사(序詞)(Pubbabhāgapatha) 1. '밀린다'라고 불리는 왕이 ..
64가지 문자-방광대장엄경(Lalitavistaraḥ) 제4권 부처님이 배운 64가지 문자-방광대장엄경(Lalitavistaraḥ) 제4권 atha bodhisattva uragasāracandanamayaṁ lipiphalakamādāya divyārṣasuvarṇatirakaṁ samantānmaṇiratnapratyuptaṁ viśvāmitramācāryamevamāha—katamāṁ me bho upādhyāya lipiṁ śikṣāpayasi | brāhmīkharoṣṭīpuṣkarasāriṁ aṅgalipiṁ vaṅgalipiṁ magadhalipiṁ maṅgalyalipiṁ aṅgulīyalipiṁ śakārilipiṁ brahmavalilipiṁ pāruṣyalipiṁ drāviḍalipiṁ kirātalipiṁ dākṣiṇyalipiṁ ugralip..
믿음(saddhā)의 두 가지 역활 밀린다 팡하 141p. 믿음은 마음을 깨끗하게(淨化Sampasādana)하고, 수행정진에 매진하게(sampakkhandana)한다.   1. 왕이 말했다.[밀린다 왕] "존자 나가세나여, 믿음은 어떤 특징을 지녔습니까?"[나가세나] "대왕이여, 믿음은 정화(淨化Sampasādana)의 특징과 뛰어듦(sampakkhandana)의 특징을 지녔습니다. "Rājā āha— “bhante nāgasena, kiṁlakkhaṇā saddhā”ti? “Sampasādanalakkhaṇā ca, mahārāja, saddhā, sampakkhandanalakkhaṇā cā”ti.   2 [밀린다 왕] "존자여, 어떻게 믿음이 정화의 특징을 지녔습니까?" “Kathaṁ, bhante, sampasādanalakkhaṇ..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상권 하권 "이 안반수의경(安般守意經) 의 첫머리에 나오는 서문과 경문(經文)을 살펴보면, 이 책에 착오가 있는 듯한데, 경(經)과 주석[注]이 구분이 되지 않고 이어져서 쓰여 있다. 불법의 의미에는 마디가 있어 이것을 해석하는데, 때때로 구분되지 않는 곳이 많이 있다. 그래도 함부로 마디 짓지 않았으니, 뒤에 있을 현자(賢者)에게 맡긴다.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상권佛說大安般守意經卷上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안세고(安世高) 2권  강승회(康僧會)1) 서문[序]康僧會序   안반(安般)2)이라는 것은 여러 부처님들의 큰 가르침[大乘]으로, 세속에서 표류하는 중생을 구제하는 것이다. 안반의 선법에는 여섯 가지가 있는데, 이것으로 6정[六情]을 다스린다. 정(情)에는 안[內]과 바깥[外]이 있는데,..
한역본 나선비구경(那先比丘經) 나선비구경(那先比丘經) 상권那先比丘經卷上   역자 미상동진록(東晉錄)에 부록됨이창숙 번역失譯人名附東晉錄   부처님께서는 사위국(舍衛國)의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셨다.그때 여러 비구ㆍ비구니ㆍ우바새ㆍ우바이ㆍ천신ㆍ대신ㆍ장자ㆍ백성과 96종의 외도 등 합쳐서 만 명이 넘는 이들이 어느 날 부처님 앞에서 부처님의 설법을 들었다. 부처님께서는 마음속으로 ‘오늘 사람들이 많이 모였으나 그 몸들은 평안을 얻지 못하고 있구나’ 하고 생각하고는 이 사람의 무리들로부터 떠나 한가한 피난처에 가 앉아서 도에 대하여 생각하고 싶어 하셨다.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時諸比丘僧、比丘尼、優婆塞、優婆夷、諸天、大臣、長者、人民、及事九十六種道者,凡萬餘人,日於佛前聽經。佛自念:“人衆日多,身不得安。”佛意欲捨人衆去至閑避處,坐思念道。 부처님께서는..
석제환인문경(釋提桓因問經)과 삭까의 질문 경(Sakkapañha Sutta(D21)의 비교 제석문경(Sakkapañha Sutta, D21)은 불교를 외호하는 삭까(인드라)가 세존께 질문하는 내용이다. 그는 부처님께 질투와 인색( Issāmacchariya)을 버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묻고 부처님은  좋아하고 싫어함( Piyāppiya)이 없어야 한다고 대답한다. 계속해서  질투와 인색( Issāmacchariya)-  좋아하고 싫어함( Piyāppiya) - 열의(chanda 慾) - 일으킨 생각(vitakka 尋) - 사량분의 헤아림( papañcasaññāsaṅkhā )이라는 번뇌가 생겨남을 설명한다.  사량분별의 헤아림(papañcasaññāsaṅkhā )은 세가지 느낌에서 생겨나므로 세가지 느낌에서 선법과 불선법을 잘 관찰하여 선법은 키우고 불선법은 소멸시키라고 가르친다. 삭..
사만냐팔라숫따(Sāmaññaphala suttaD2)와 사문과경(沙門果經)과 의 비교 비교요약: 사문과경에는 인도의 육사외도의 사상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귀한 경입니다. 사문과경(沙門果經D2)은 출가 사문이 되면 눈에 보이는 어떤 결실을 얻는가?라는 왕의 단도직입적인 질문에 부처님이 대답하는 내용입니다. 아자따삿뚜 왕은 부처님이 72세 때 아버지 빔비사라 왕을 시해하였기 때문에 이 문답이 이루어진 시기는 부처님의 말년이라고 보여집니다. 이 때는 율장의 비구(227계)와 비구니(311계)계가 완성되었던 시기입니다.  부처님의 독실한 후원자였던 아버지 빔비사라왕을 죽인 아자따삿뚜는 부처님을 방문하기를 꺼립니다. 그런데 아자따삿뚜 왕은 이미 육사외도의 지도자를 찾아가 궁금증을 물어 보았는데 만족하지 못하였습니다.  부처님을 찾아가서 의문을 풀고 싶은 마음과 참회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에  주치의..
머물며 흐르다 외 어제는 천은사지 호수 둘레길을 걸었다 오늘은 화엄사 연기암 길을 걷는다 스르 스르 바람처럼흘러가는 곳은 어디인가걷는다는 것은 미리 정해둔 목적지를 향해나아간다는 것이 아니다이쪽에서 저쪽으로 옮겨감도 아니다연기암에 올라 섬진강을 내려다 보기 위함이 아니다 걷는다는 것은 강물과 같이 흐르는 것 강물의 앞이든 중간이든 뒤든같은 무게로 고요히 흐르는 것흐르고 흘러서흐르는 그 자리에서머무는 것 흔적없이 머무는 것----------------------------------------------------------------- 삶은 살아가는게 아니고 삶은 살아가는게 아니고 살아지는 거야살아지는 건 견디는 거야때로는왜 이렇게 견디고 있어야 하나의문이 들거야의문이 풀리지 않아우울해질거야 그런데 견디는 것도 사는 거야..
방장선원 템플스테이 천은사에는 여로부터 동방제일선찰이라고 불려제 왔는데 그것은 천은사 안쪽에 유서깊은 방장선원(方丈禪院)이 있기때문이다. 방장선원의 대문을 밀치고 들어가면 돌다리를 지나 흐르는 물소리 너머에 고풍스런 방장선원이 나타난다. 요즘 이 방장선원이 템플스테이 용으로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다.전통선원이 템플스테이 건물로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는것은 천은사가 유일하다. 이것이 상징하는 것을 생각해 본다. 출가자가 줄어들어 선원에 수행승들이 모이지 않은 이유도 있을 것이고 템플스테이가 유행하여 규모가 있는 사찰 대부분이 템플스테이를 하고자 하는 욕망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오랫전통을 가진 전통 선원이 하루아침에 템플스테이용으로 되었다는 것은 한국불교에 큰 충격으로 받아들여진다. 좋게 말하면 수행의 장이 포교의 장이 되..
천은사 상생의 길 지리산 #천은사 앞에 저수지가 있는데 저수지 주위를 걷는 숲 길을 만들어 놓았다. 저수지를 끼고 걷는 오솔길(상생의 길이라 불리며 3.5km이다)은 사람들에게 인기 만점 이다. 천은사는 길에서 받는 문화재관람료 때문에 '봉이 김선달'이라는 오명을 가졌던 사찰인데 이렇게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사찰로 변모했다. 예전에 관람료를 받던 매표소 자리에는 여기가 관람료 시비가 생겼던 곳이라고 표시해 놓았다. 이런 것을 기억하기 위해 안내판을 만들어 놓은 것이 인상적이다. 확실히 이러한 걷는 길을 만들어 놓으니 사람들이 더 여유롭게 사찰에 머무는 것 같다.예전처럼 관람료도 받지 않고 호수를 끼고 걷는 시간을 갖으니 방문객의 만족도가 높은것 같다. 정말 잘한 일이다. 서산 #개심사 앞에 #신창저수지도 이렇게 만들면 좋..
종교인들의 토론 제안(안) 종교인들의 토론 제안(안)현대 사회에서는 AI지식등 모든 정보가 열려 있어 누구라도 쉽게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제 종교도 예외는 아닙니다. 대한민국에서 각 종교의 전문가들이 모여 토론하고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교회밖에도 구원이 있다는 천주교의 열린 입장처럼 다양한 종교인들이 만나 각 종교의 발생과 역사,교리의 특징을 토론하다보면 자신의 종교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다른 종교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도 깊어질 것입니다.매회마다 교조의 생애와 핵심사상, 믿음, 사랑, 정의,자유의지, 옳고그름,수행, 구원, 해탈등의 주제에 대한얼띤  토론을 기대합니다. 이러한 종교간 토론은 앞으로 종교를 가질 분들이 종교를 선택하는데 도움을줄 것이며 무엇보다 각 종교인들이 서로에게 여유와 포용력을..
차례대로 경(Anupadasutta M111) 초선(初禪)의 설명에서  일으킨 생각vitakka 과 지속적 고찰vicāra , 희열pīti , 행복sukha라는  4가지 심소(心所)로 설명하는데 차례대로 경(M111)에서는 아래처럼 16가지 심소(心所)로 설명하고있다. 일으킨 생각(vitakka)과 지속적 고찰(vicāra)은 무엇에 대한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 고찰인가?를 가지고 토론하였다. (명상주제에 대한 )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 고찰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불자들의 이해에 도움이 될것이다. 그리고 마음이 대상과 하나됨(cittekaggatā)이라는 상태는 1선~4선까지 공통적인 심소(心所)이다.  "그는 감각적 쾌락으로부터 멀어지고 선하지 않은 법으로부터 멀어져, 일으킨 생각(尋 savitakka)과 지속적인 고찰(伺 savicāra)을 지닌, 멀..
범망경(梵網經) 범천의 그물(D1) 창조주가 생기는 과정 범망경(梵網經. Brahmajala sutta. D1.)  1. 비방하는 스승과 칭송하는 제자  1.1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세존께서는 500명의 많은 비구 대중과 함께 라자가하와 날란다 사이에 난 대로를 따라가고 계셨다. 숩삐야 유행승도 제자인 브라흐마닷따라는 젊은 바라문과 함께 라자가하와 날란다 사이에 난 대로를 따라가고 있었다. 숩삐야 유행승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세존을 비방하고 법을 비방하고 승가를 비방했다. 그러나 숩삐야 유행승의 제자인 젊은 바라문 브라흐마닷따는 세존을 칭송하고 법을 칭송하고 승가를 칭송하였다. 이처럼 스승과 제자 두 사람은 서로 올곧거나 적대적인 말을 하면서 세존과 비구 승가의 뒤를 계속해서 따르고 있었다.  1.2 세존께서는 비구 승가와 더..
사문과경(沙門果經. Sāmaññaphala sutta. D2) 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나모 따사 바가와또 아라하또 삼마 삼붓다사(Namo tassa bhagavato arahato sammāsambuddhassa) 붓당 사라남 가차미 (Buddham Saranam Gacchami)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3번)담망 사라남 가차미 (Dhammam Saranam Gacchami)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3번) 상강 사라남 가차미 (Sangham Saranam Gacchami)  승가에 귀의합니다. (3번)  현재 '온라인불자회' 목요토론 공..
썪어가는 호수에서 시원한 바람이 붑니다 풍덩 썩어 가는 호수에사람들이 낚시를 던집니다여기서 저들이 잡은 고기라면 도저히 먹을 수 없겠는데그럼에도 그들은 왜 낚시질을 하는 것일까요 잡은 고기를 출처를 밝히지 않고 팔런지도 모르겠습니다여기서 잡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고기를 사 주는 식당 주인이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수질은 서서히 더러워졌을 겁니다 너무도 서서히 더러워져서 어느 날 문득이젠 고기를 잡지 말아야겠다 낚시질을 하지 말아야겠다라는 생각을 할 순간이 찾아오지 않았는지도서서히 더러워지고서서히 죽어가서그래서 함부로 원망할 수도 없고...갑자기 여기저기 사람이 모여듭니다가까이 가보니 엄청난 크기의 고기가 잡혔습니다 저렇게 큰 고기가 여기에 살다니,누군가는 그 고기를 먹을 겁니다고기의 운명이 여기 사람들의 운명이 되었습니다 누..
正念正知(sato sampajāno -satisampajaññā) 용례 正念正知(sati sampajaññā) 용례 온라인 불자회에서 마음챙김과 알아차림(正念正知 )에 대하여 토론이 있었습니다.사문과경에서  "대왕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마음챙김과 알아차림(正念正知,satisampajaññena)을 잘 갖춥니까?" 라고 말하는 것처럼  마음챙김과 알아차림(正念正知)이 같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열반경처럼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사띠(sato)하는가?"  “비구들이여, 비구는 어떻게 삼빠자나(sampajāno)하는가?"라고 물을때는 따로 사용하고 있기도합니다.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떻게 비구는 사띠(sato)하는가? 비구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随観] 머문다.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随観] 머문다. …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随..
진우 총무원장의 아무말 대잔치 진우 총무원장이 선명상이라는 것을 들고 나와서 선명상 아카데미를 진행하고 있다. 선명상은 화두참선, 마음챙김, 위빠사나, 기도, 염불, 주력,절등 모든 수행법을 포함하고있다. 진우스님은 단독으로 선명상 아카데미를 총 8회 진행하고 있는데 재능보시라고한다. 승려가 하는 일을  재능보시라고 말하는 것도 우습지만 그 재능보시에 참가비를 50만원 받는 것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스님들은 50% 할인해 준단다. 정말 재가자들은 50만원을 내고 이 설법을 들을 만한가? 선명상 아카데미에 참여한 비구 비구니 스님들은 대부분 종단의 소임자와 비구니회 스님들이다. 비구니 스님들이 선명상에 흥미를 느껴서 참석했을까? 아니면 비구니회장이 참석하니까 나머지 소임자들도 따라온 것일까? 진우스님은 7월 2일 '나의 미래를 내가 ..
조계종단 개혁의 목적과 방향 *조계종 '종회의원'들은 이 글을 꼭 보시기 바랍니다. 부처님이 제정하신 비구 250계나 사문과경(D2)에는 다양한 계율들을 2024년을 사는 수행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예를 들어 사문과경(D2)에서는 비구들이 지켜야 할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출가자는 생명을 죽이지 않고, 남을 해치지 않고, 주지 않은 것을 가지지 않고, 청정범행을 닦고, 거짓말을 버리고, 중상모략하지 않고, 욕하는 말을 버리고, 잡담을 멀리 여의고, 사실을 말하고, 유익한 것을 말하고, 법과 율을 말하고, 이유가 있고, 의미있고, 이익을 주는 말을 하되 시의 적절하게 합니다. 하루 한 끼 먹고 ,춤, 노래, 음악, 연극 관람을 멀리하고, 화환과 향수를 멀리 하고, 금과 은 받는 것을 멀리하고, 날곡식과 생고기, ..
머물지도 않고 애쓰지도 않고 건너셨네(S1:1) 상윳따 니까야 첫 번째 폭류경(S1:1)에는 수수께끼 같은 대화가 등장한다. 어느날 어떤 천신이 사위성을 찾아와 부처님께 묻는다. 이때 천신은 부처님을 마리사(mārisa)라고 부르는데 이 단어는 천신(天神)이 천신(天神)을 부르는 용어로 '괴로움이 없는 자'라는 뜻이다. 천신은 부처님이 어떻게 깨달았는지 비유를 사용하여 묻는다.    "마리사여, 당신은 어떻게 거센 물결을 건너셨습니까?"“kathaṁ nu tvaṁ, mārisa, oghamatarī”ti?  "벗이여, 나는 참으로 머무르지 않고 애쓰지도 않고 거센 물결을 건넜습니다.“Appatiṭṭhaṁ khvāhaṁ, āvuso, anāyūhaṁ oghamatarin”ti.  " 마리사여 , 어떻게 그렇게 머무르지 않고 애쓰지도 않고 거센 물결을 건..
사부대중이 어울리는 호치민 홍법사 Chùa Hoằng Pháp Hoang Phap Buddhist TempleChùa Hoằng Pháp절에서 우연히 만난 베트남 스님에게 홍법사를 소개 받았다. 그 절에서는 객승을 잘 재워 준다는 것이었다. 그의 말을 믿고 호텔에서 12km정도 떨어진 홍법사로 갔다. 나에게 그 절을 소개해준 스님은 지금 인도 델리대학 불교학과에 유학을 하고 있어서 외국인을 만나는 것이 자연스러운 듯 보였다. 홍법사 도착하니 재가 자들이 많이 보여서 도량이 활발하게보였다. 나중에 종무소에서 들으니 이곳은 아미타불 염불을하는 정토종 사찰이었다.승려는 80여명이라고 했다. 지객스님을 기다리면서 검색해보니 이 절이 한국 태고종 스님들과 교류한 흔적이 보였다. 지객스님은 내일 법륜 스님이 이곳에서 즉문즉설을 한다고 전했다.베트남에서 법륜스님을 뵈게되다니....
베트남 불교의 희망 'Vietnam Buddhist University' 어제 Đào Khai Minh스님의 소개로 호치민 외곽에 위치한 'Vietnam Buddhist University'를 방문하였다. 이 대학에는 800 여 명의 비구 비구니가 공부를 하고 있으며 불교철학, 포교학, 불교사학, 불교영어, 사회사업학, 유아교육학 등 11개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이 대학 승려들은 기숙사비, 수업료,교재비 등 모든 것이 무료다. 승려들에게 현대식 교육을 시키려는 베트남 불교의 웅대한 계획은 그러나 조계종에서 중앙승가대학교를 만든 시행착오를 되돌아 봐야한다.석사 박사를 많이 만들어내는 교육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또한 초기불교에서부터 시작해서 아비달마, 대승불교, 탄트라불교까지 공부하는 것이 전통의 무게에 신음하는 것은 아닌지, 탐진치를 소멸시키는 수행자의 측면에서 어떠한 이익이..
객승이 머물 수 있는 베트남 사찰들 객승이 머물 수 있는 베트남 사찰들 1. Hoang Phap Monastery Address: Tan Thoi 3 hamlet, Tan Hiep commune, Hoc Mon district, Ho Chi Minh City 2. Binh An Monastery (Chùa Bình An) Address: number 2895/1, Nguyen Cuu Phu Street, Tan Tas Wand, Binh Tan diornict, Ho Chi Minh City 명상센터 3. Long Hung Monastery (Tu viện Long Address: number 1768/ 10/8, NH-10, Tan Tao Wand, Binh Tan district, Ho Chi Minh City Hưng) 4. Giac..
윤회 윤회 여기 내가 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아거울 쪽으로 걸어간다 낯선 얼굴거기에 있다 내가 웃으면 그도 따라 웃지만평생을 쳐다 보아도정들지 않는다 그와 함께 걸어온 길부정할 수 없는데왜 나는그가 아닌가 이것이 윤회리라함께 걷지만함께 울지는 못 하는너와 나
호치민의 사찰들 1. Thiền Viện Nguyên Thủy---- 처음에 사찰은 구글에서 vipassana라는 단어로 검색했을 때 발견한 사찰이어서 수행하는 곳인 줄 알고 찾아갔다. 그런데 에꾸눈 처사가 나에게 이것저것 물어보더니 스님이 오기를 기다리라고 말했다. 조금뒤 상좌부 가사를 걸친 스님이 휠체어를 타고 나타나더니 처사에게 무엇이라고 말했다. 그 처사는 내가 이 사찰에 머물수 없다고 주지가 말했다고한다. 손님의 얼굴을 쳐다보지도 않고 재워주지 않는 그 스님이 이해가 안되었다. 그 사찰의 처사로부터 재워줄수 있는 사찰을 소개 받아 두번째 사찰을 찾아갔다.            2. Thu Viện Minh Đăng Quang--- 두 번째로 사찰은 엄청나게 규모가 큰 사찰이다. 사무실에서 스님을 만나 이스님 저스..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베트남 호치민으로 왔다 어제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베트남 호치민으로 왔다. 호치민 공항에 도착하니 내가 인도네시아 숙소에 지갑을 두고 왔다는 사실을 기억해 냈다. 물건을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항상 숙소를 떠날 때 확인을 하고 또 확인을 하는데 이번에는 그 확인이 잘 되지 않았던 것 같다. 아마 우붓의 숙소에서 숙소주인과 싸우고나서 짐을 쌀때 일어버린것 같다. 평정심을 잃으니 이런 실수가 벌어진 것이다.  물론 나는 스마트폰에 카드를 가지고 다녔고 또 달러를 속주머니에 넣어두어서 가장 큰 돈은 잃어버리지 않았다. 내가 잃어버린 지갑에는 인디아 루피아가 꽤 있었고, 베트남 돈, 라오스 돈, 현대카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국제운전면허증등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잃어버린 돈의 액수가 300달러 정도 되는거 같고 현대카드 즉시 분실 신고..
향봉스님과 윤회에 대한 토론을 하고 나서... 향봉스님과 윤회에 대한 토론을 하고 나서...(#불광미디어는 향봉 스님을 이용하여 돈벌이를 하지말라)    지난 5월 12일 일요일, 익산 사자암에 찾아가서 향봉 스님과 윤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백장선원에 머무시는 보원 스님이 사회를 보았고 지리산 백장암 불자님과 익산 사자암 불자님들이 참관대중으로 참여하였다. 2시간 가량 토론이 이어졌고 별다른 마찰 없이 토론을 마쳤다. 그 토론 내용이 유튜브 ‘야단법석TV’에 1~2부로 나누어서 올려져 있는데, 1부는 약 4만명, 2부는 약 9만 명이 시청하였다. 엉청나게 많은 토론 동영상 댓글들을 살펴보면 거의 과반수가 '윤회가 없다'는 향봉 스님의 발언을 지지하고 있다. 정말 뜻밖의 일이다. ‘야단법석TV’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은 대부분 불자인 것으로 보이..
사문과경 번역문장 비교 2019년 백장암에서 사문과경을 주제로 토론할때 정리한 작업입니다. 사문과경 번역문장 비교 (아래 사이트를 이용하면 한글 영어 일본어를 비교하여 니까야를 읽을수 있습니다)①각묵스님(2006년발행본) 사문과경.hwp②전재성(2011년발행본)③pali 원전   https://suttacentral.net/dn2/en/sujato④수자또 비구  https://suttacentral.net/dn2/en/sujato⑤보디 비구     https://suttacentral.net/dn2/en/bodhi* 일본 광명사 단어분석  https://komyojikyozo.web.fc2.com/* pali 고유명사사전   http://www.palikanon.com/english/pali_names/dic_idx.html..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