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기불교

[스크랩] 김호성님의 글을 읽고.....

 

호성님의 글을 읽고

 

김호성님의 글은 각묵스님의 문제제기에 대한 답글이라기 보다는 이 문제에 대한 토론이  흘러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글이라고 생각한다.

글의 내용으로 봐서는 그가 자발적으로 쓴 글이라기 보다는 신문사가 기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청탁을 해서 쓴 글 같다는 인상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글을 살펴보자면

 

그는 여래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 하며 글을 시작하고 있다.

“여래장이란 여래로 태어날 수 있는(부처가 될 수 있는) 태아를 수태(受胎)하고 있는 존재라는 뜻이다. 이때 ‘태아’라는 말 역시 하나의 비유이다. 그래서 “모든 중생은 부처이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아직은 가능태로서만 말한다.

이러한 기초적인 용어정의 후에 그는

“여래장의 개념에는 애시당초 절대불변의 실체라는 관념은 들어올 수 없다. 그렇게 되려면, 번뇌로서의 존재라고 하는 측면은 말해져서 안 되기 때문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그는 절대불변의 실체라는 관념은 들어올 수 없다고 하면서도 절대불변의 실체라는 관념이 들어온 역사를 그는 다음과 같이 인정하고 있다.

“ 실제로 여래장 사상을 실체론으로 오해했던 사례 역시 전혀 배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된 이유에 대해서도 밝히고 있다.

“문제는 여래장 사상을 설하는 경론에서는 번뇌로서의 측면보다는 부처로서의 측면에 대한 서술이 더 많은 것 같다.

그는 자신의 글에서 스스로 논지의 모순을 드러내면서도(그 모순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심판의 입장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실체론적으로 표현되거나 오해되고 있는 측면을 바로 잡으려는 노력과 동시에 연기.무아.공과 여래장이 사실은 한 목소리(一音)일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 아닐까 한다.”라고 양자를 비판하는 쪽과 비판당하는 쪽을 동시에 아우르는 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적은 매우 바람직한 것이라고 생각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말을 하기에는 지금이 너무 이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아직 이야기가 시작도 되기 전에 서둘러 마무리하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나는 그가 지적한 여래장이 실체론적으로 표현되거나 오해되고 있는 측면을 바로 잡으려는 노력이 각묵스님의 문제제기라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서 연기.무아.공과 여래장이 사실은 한 목소리(一音)일 수 있음이 밝혀 지게 되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토론에 익숙하지 않은 우리가 가진 약점 중에 하나인 믿음과 실참(이론이 아닌)이라는 이름으로 문제를 단순화 시키고 무마시키려는 태도와 언어사용을 경계 한다.

지금으로서는 근거를 가지고 자신의 이해를 분명히 밝히는 것과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의 말을 경청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토론과 치열한 논쟁 자체가 이 문제를 바로 풀어가는 과정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가 다음과 같이 설명한 부분 “왜 일까? 번뇌의 얼굴을 한 인간에 대해서는 바로 앞 시대에 유식불교 경론들에서 집요하게 설해졌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여래장사상은 불교심리학인 유식과 밀접한 관계 속에 나온다). 여래장 사상이 성립하였던 시기의 힌두교 사상으로부터 많은 표현들이 차용되었던 것 같다.”라는 주장에 깊은 공감을 보내며  그의 글이 이 부분에서 자세하고 일관되게 설명되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을 가진다.

 

나는 이 문제를 가지고 토론하면서 대승불교를 벗어나서 전체적인 불교의 역사를 이야기 하고 불교 언어의 쓰임새와 영향을 이야기 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

그것은 이제 까지 통시적인 안목으로 불교역사와 언어와 사상을 가늠해보는 작업이 우리 불교계에 부족했다고 보기 때문이고 각묵스님의 문제제기 자체가 그러한 이유에서 출발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제대로 풀어 간다면 여래장 사상이 현양구매라는 주장이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 그리고 여래장사상이 연기와 공과 어떻게 같은 것인지, 초기불교와 대승불교가 붓다의 일음성이란 것이  어떻게 이해 되는지가 밝혀 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문제를 논의 하는 자리는 초기불교와 대승불교가 만나는 자리이고 니까야와 화엄경이 만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역사적인 시간의 틈새에서 그 둘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 불교에 꼭 필요하며 올 초봄에 단행되었던 해인사강원의 초기불교와 중, 유식,화엄을 아우르는 교과과정 개편도 이러한 문제를 지금 고민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제 이러한 거시적인 안목으로 불교를 공부하는 것은 전 세계의 흐름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문제제기 자체를  불편해 하거나 실참 수행을 안 하는 사람들의 하릴없는 논쟁으로 치부 하고 있지는 않은지 하는 우려가 들기도 한다

다행히 요즘 불교 학계에는 역사와 함께 불교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많아 지고 있고 사찰에는 훌륭한 강주, 강사스님들이 많이 계시니 이런 분들이 통쾌한 반박을 펼쳐주길 기대해 본다.    

 

 

 

 

 

 

 

 

 

출처 : 차맛어때
글쓴이 : 후박나무 원글보기
메모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