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183)
[스크랩] 붓다 위대한 종교(주1)인 붓교의 창시자 붓다는 2,500여 년 전 북인도에서 살았고, 그의 이름은 싯닷타 (Siddhattha, Skt. Siddhartha.목적을 성취한 사람이라는 의미)였다. 성은 고타마(Gotama, Skt. Gautama)였다. 그의 아버지는 숫도다나(Suddhodana)는 오늘날 네팔의 국경 지역에 있었던 카필라밧투에서 사캬족의 영토를 통..
[스크랩] 불교의 기본 입장 붓다와 다른 종교의 지도자들을 구별짓는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붓다는 신(神)이라든가 어떤 초자연적인 존재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한 인간이었다는 점이다. 그는 신도, 신의 화신(化身)도, 신화적인 인물도 아니었다. 단지 그는 보통 사람들보다 뛰어난 인간이었을 뿐이다. 그는 외적으로 인..
[스크랩] 성서러운 고의 진리(苦聖諦. 고성제. Dukkha Ariya Sacca) 붓다는 가야에 있는 보리수 아래 앉아서 명상하는 동안 사성제(四聖諦)를 깨달았다. 그리고 바라나시 부근에 있는 이시파타나(현재의 사르나트)의 사슴동산(녹야원)에서 한 첫 설법에서 그의 옛 동료들인 다섯 고행자들에게 이것을 설했다. 이 사성제가 불교의 중심 개념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스크랩] 성스러운 집(集)의 진리 환자를 치료하려면 그에 앞서 우선 그가 앓고 있는 병의 원인을 밝혀 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치료의 효과는 병의원인을 제거하는 데 달려 있다. 붓다는 괴로움만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한 걸음 나아가 병의 원인을 지적하여 효과적인 치료를 해 준다. 그러므로 성급한 비평가들이 붓다를 염세주의자라..
[스크랩] 성스러운 멸(滅)의 진리 앞에서 우리는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제 열반(nibbana, Skt. nirvana)이라고 하는, '괴로움의 소멸'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자. 열반의 어원을 살펴보면 ni+vana 즉 욕망으로부터의 자유, 욕망을 떠남, 또는 nir+va 즉 (불이) 꺼지다라는 의미이다.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의 어원적 의..
[스크랩] 八正道(팔정도)의 세가지 측면 열반에 즈음하여 붓다는 제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설했다. "내가 죽은 뒤에는 내가 너희들을 위해서 설하고 정해 놓은 법과 계율을 스승으로 삼아라." (장부 16. Mahaparinibbana-sutta) 이것으로 볼 때 붓다의 생활 방식과 종교 체계는 법과 계율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실하다. 계율은 말과 육체적인 행위를 잘 ..
[스크랩] 올바른 견해 (正見.정견) "이 대양(大洋)이 오직 한 가지 맛, 짠맛만 지니듯이 이 법도 오직 한가지 맛, 자유의 맛만 가지고 있다. (Udana p.56) 붓다의 가르침은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다시는 거기에 얽매이지 않을 것(중부 26)을 분명하게 전해 준다. 붓다는 바로 이 자유를 향한 길을 가르쳐 준다. 갈림길에서 나그네는 어느 ..
[스크랩] 올바른 생각 (正思惟. 정사유) 팔정도의 두 번째 요소인 '올바른 생각'은 '올바른 견해'의 결과이다. 이 두가지는 팔정도를 삼학으로 분류할 때 지혜 즉 혜학(慧學)을 구성한다. 올바른 생각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본 결과로 생긴다. 생각은 대단히 중요하다. 인간의 말과 행위는 생각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생각이 바로 말과 행동으..
[스크랩] 올바른 말(正語.정어) 모든 종교와 철학은 인간 자신들의 안녕과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의 이익을 위해서 어떤 형태의 도덕이나 윤리를 내세운다. 이러한 윤리적 규칙들은 그 수준이나 범주가 동일하지 않고 다양하다. 어떤 사라들에게는 도덕적인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한 사람은 비도덕적인 것이라..
[스크랩] 올바른 행위(正業. 정업) '올바른 행위'는 불교도들의 행위 규범인 계학(戒學)을 구성하는 두 번째 요소이다. 이것은 세 가지 잘못된 행위인 살생, 도둑질, 부정한 성행위를 경계하는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것은 모든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한 자비, 자신에게 주어진 것만 갖는 것, 그리고 순수하고 성숙한 삶을 살아가는 ..
[스크랩] 올바른 생활 (正命, 정명) 팔정도 가운데 계학에 속하는 세 번째 것이자 마지막 항목은 '올바른 생활'이다. 이것은 무기 거래, 도살용 동물의 거래, 사람 거래(노예, 인신 매매등), 술 거래, 마약 거래를 하지 않는 것이다. 비록 붓다는 단지 이 다섯 가지만 언급했지만 사실 생계를 꾸려 가는데는 다른 많은 잘못된 방법들이 있다...
[스크랩] 올바른 노력 (正精進.정정진) 현대인들은 과거보다 훨씬 더 바쁘고 긴장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그들의 말과 행동은 평온한 모습을 거의 보여 주지 못한다. 분주한 길거리의 한 모퉁이에 서서 급하게 지나가는 사람들의 얼굴을 쳐다보면 많은 사람들이 들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은 긴장된 환경 속에서 살아가며 정신적인 불안으..
[스크랩] 올바른 주시 (正念. 정념) 이 세상에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면에 생물이든 무생물이든 자신 이외에 어떤 다른 것을 소중하게 여긴다면 그것은 바로 마음 때문이다. 인간에게 가장 불가사의하고 중요한 것은 인간의 마음 즉 의식이다. 인간을 자석에 비유사자면 인간의 마음은 ..
[스크랩] 올바른 집중(正定. 정정) 붓다의 옛길 - 올바른 집중(正定. 정정) 모든 종교는 인간의 내적인 계발을 위해 어떤 명상 즉 정신적인 수행을 가르친다. 그것은 조용한 기도의 형태일 수도 있고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어떤 신성한 경전을 선택해서 읽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어떤 신성한 대상, 인물, 관념에 집중하는 경우도 ..
[스크랩] 결론 이제 사성제가 불교의 중심 개념이라는 것이 확실해졌다. 45년간의 포교 기간을 통해 붓다가 가르친 것은 모두 사성제 즉 괴로움, 괴로움의 원인, 괴로움의 소멸, 괴로움을 소멸하는 길 이었다. 생각이 깊은 사람은 이 사성제를 자신의 목표인 최종적인 해탈로 받아들일 것이다. 궁극적인 의미에서 본..
깔라마경(Kālāma Sutta) 소마 스님 영역 현음 스님 옮김 (The Whee Publication No.8)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머 리 말 부처님께서 칼라마인들(Kaalaamas)에게 주신 교훈인 칼라마경(Kaalaama Sutta) 주1 은 의문이 일어날 때는 자유롭게 탐구해보도록 권장하신 경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경의 참뜻은 광신, 완고함, 독단, 편협함..
인디안 썸머 한동안 글을 안 썼다. (얼마 만인가?) 왜냐하면... 글을 쓰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글을 써야할 의무도 없고 필요도 없었으므로... 당연히 글을 쓰지 않았던 것이다. 절박하거나 고뇌하지 않았다고 .... 한마디로 말한다 해도 지나치지는 않으리라. 그러나 그렇게 말하지 않는 것은 생각 없이 지내는 사..
욕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조중동의 논리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의 국민의 '한 사람'되기 [2477] CF 번호 1516569 | 2008.07.01 조회 67164 오늘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의 촛불 참여는 국민의 '한 사람'되기.. 이명박 정권 앞에 놓여진 수많은 촛불은 상처받기 쉽고, 가녀린 촛불이라고, 사제단 총무 신부님이 말씀하셨습니다. 그 촛불은 단지 '지금'의 현상..
「육조단경의 반야․중관 사상」을 읽고 「육조단경의 반야․중관 사상」을 읽고 각 묵(초기불전연구원 지도법사) 이중표 교수님의 내공이 가득 담긴 글을 잘 읽었다. 전체적으로 이 교수님(이하 발제자라 칭함)은 육조단경은 반야사상을 표방하고 그것을 천명하고 있으며(1쪽) 이러한 반야의 가르침은 초기불교→반야/중관→육조단경..
부처님, 그분 부처님, 그분 생애와 가르침 THE BUDDHA HIS LIFE AND TEACHING 피야다시 스님 지음 정원 스님 옮김 (The Wheel Publication No. 5 A/B)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Kandy, Sri Lanka 범례 1. 원주(註로 표시)는 아랫단에, 역주(*로 표시)는 본문 끝난 뒤에 실었음. 2. 주에 표기된 경 다음 로마숫자와 아라비아숫자는 영국 팔리 성전 협..
책상은 괴로워하지 않는다. 책상은 괴로워하지 않는다. 비구 서림 글 순서 1.들어가는 말 2.사성제의 dukkha 3.학자들의 dukkha에 대한 오해 4.삼특상의 의미 5.三苦의 의미 6.결론 1.들어가는 말 불교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둑카(dukkha)에 대한 이해는 필수라고 할만하다. 그런데 이 둑카(dukkha)라는 단어를 가지고 이야기 하다보면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논의로 흐르기 쉽다. 그래서 이 글은 데바닷따가 붓다에게 상처를 입힌 구체적인 일화를 먼저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미 아는바와 같이 데바닷따는 승단의 지도자가 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계략을 꾸민다. 그의 계략은 모두 실패로 끝나고 말았지만 라지기르의 산에서 붓다에게 바위를 굴린 사건은 돌의 파편이 붓다의 발에 떨어져 붓다의 발에 상처를 입혔다. 붓다를 죽이려 하였던..
조선일보 꿇리면 쇠고기 투쟁 이긴다 ★조선일보 꿇리면 쇠고기 투쟁 이긴다. .(전국회의원님말) [97] . 저는 17대 국회에서 문광위 활동만 4년을 꼬박했습니다. 언론의 횡포와 폐해 그리고 그들의 속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습니다. 신문사가 제일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신문사 특히 ‘조중동문’은 대통령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
[스크랩] CNN... 한국 정부는 평화행진을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http://www.ireport.com/docs/DOC-26261 Korean government suppressed peaceful march by power 한국 정부는 평화행진을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37 people taken to the police and some wounded- 37명이 경찰에 연행되었고 몇몇은 다침 On May 24, about 40,000 koreans were marching with candles in their hand on Sejong street of Seoul. They were women with their children, student..
학교를 선교의 장으로 이용 하지말라 종교자유를 위해 학교와 교육청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냈던 강의석군이 패소하였습니다. 이것은 국민의 자유를 짓밟고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일입니다. 학교를 선교의 장으로 이용하는 하도록 하는 판결이 난 것입니다. 아래는 그 신문기사의 일부이며 제 나름대로 그 기사를 논박해 보았습..
쇠고기 수입 파동 우리에게 주는 3가지 희망 쇠고기 수입 파동 우리에게 주는 3가지 희망 이명박 대통령이 미 쇠고기 수입 파동으로 많은 국민들의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다. 불과 몇 달 사이에 높은 지지율로 대통령에 당선된 사람인데 대통령을 잘못 뽑았다고 야단이다. daum사이트의 [이명박 대통령을 탄핵하자]는 서명운동은 120만명이 넘었다. ..
국회에 이명박 대통령 탄핵을요구합니다 461256명 Daum 미디어다음 - 아고라 국회 [1천만명서명]국회에 이명박 대통령 탄핵을요구합니다: 안단테. 발의: 2008년 04월 06일; 마감: 2008년 12월 31일; 서명목표 10000000명; 현재 서명인원 461256명. 관련이미지1 관련이미지2. 국민들이 이명박 대통령 탄핵서를 제출합니다 ... http://agora.media.daum.net/petition/view?id=40221 [1천..
美쇠고기 사건 에 대한 조중동의 침묵 4월 30일 네이버와 다음의 기사 중에서 'PD수첩', 美쇠고기광우병의혹제기에'후폭풍' 등등의 美쇠고기 수입에 대한 기사를 읽으려고 하니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는 이 사건에 철저히 침묵하고 있었다. 혹시나 이전에라도 조선일보 신문이 이 美쇠고기 사건을 다룬 것이 없나 하고 찾아보았..
[스크랩] ★ 현직 의사가 쓴 광우병 -21세기 대한민국은 광우병 마루타 실험 현장이 될것입니다.-널리 알려주세요 길어도 꼭 읽어보세요 !!! 현직 의사가 쓴 글입니다. 광우병 생각보다 훨씬 더 무서운 병이네요. 소의 심막(bovine pericardium)으로 가공하여 만든 인조뇌막과 관련한 논문을 쓰면서 알게 된 사실(2002년도 기준)은 광우병의 원인물질인 프리온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현재 유일하게 그러나 그 것이 100 % 프리온 ..
인도불교사-Etienne Lammotte- 인도불교사의 종합적 고찰 -호진스님의 「인도불교사」를 읽고 이병욱 (고려대학교 강사·본지 편집위원) 언젠가 후배가 유럽에 유학을 가고 싶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아마도 한국에 많이 소개된 미국과 일본의 불교학과는 다른 그 무엇이 유럽에 있을 것이라는 기대 속에 그런 말을 했을 것이라고 ..
각묵스님의 교리문답(불교신문 연재) 각묵스님의 교리문답(불교신문 연재) 글쓴이: 인연살이 조회수 : 236 05.05.29 11:26 http://cafe.daum.net/chobul/19wJ/65 1.초기경전은 깨달음을 어떻게 정의합니까? - 사성제 자각 팔정도 실천하는 것 2.초기경에서 팔정도를 어떻게 설하는지? - 다른 종교와 불교 구분짓는 핵심 3.마군(魔軍)의 의미에 대해서 4. 바른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