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위없는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청정한 승가에 귀의합니다.(3번)
백장암 청정화합승가 청규
부처님(Buddha)은 2600년전에 열반하셨지만 인류를 위하여 당신의 가르침(Damma)과 제자들의 모임인 승가(Saṅgha)를 남겼습니다. 승가는 불법(佛法)을 전승하고 해탈을 실현하는 공동체요 인류사에 가장 오래된 민주주의 공동체입니다. 승가의 청정과 화합은 정기적인 포살(布薩)과 자자(自恣) 그리고 대중갈마로 유지되며 화합승가는 뭇삶들의 귀의처가 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승가의 화합의 원리’(M48)와 ‘불법이 쇠퇴하지 않는 가르침’(D16)을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①‘몸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행동한다.’ ② ‘입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말한다.’ ③‘마음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사유한다.’ 이상 3가지는 승가의 구성원들끼리 따듯한 마음과 눈빛으로 화합하며 지내는 것입니다. ④ ‘동료들과 균등하게 나눈다’는 것은 모든 사찰의 수입은 공유물이기에 누구나 평등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발우안에든 것일지라도 균등하게 나누어야 한다고 강조하십니다. ⑤ ‘계를 구족하여 머문다’는 것은 정기적으로 포살과 자자를 통해 자정(自淨)하고 화합(和合)는 승가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⑥ ‘바른견해를 구족하여 머문다’는 것은 도반(道伴)들끼리 법담(法談)을 나누어 바른견해를 갖추고 사회에 바른법을 펼치라는 것입니다. 바른견해가 있어야 비로서 ‘불자’라고 불려지며 발심(發心) 수행을 할 수 있고 승가에 귀의(歸依) 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은 바른견해야 말로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총체적인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백장암에서는 2016년부터 ‘원융살림’과 ‘법담탁마’와 ‘포살’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1.원융(圓融)살림
소임자는 대소사를 결정할 때 충분히 논의하여 집단지성을 발휘하여 결정합니다. 항상 객실(客室)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객스님이 편히 머물 수 있도록 하며 재가자들을 위하여 정기적인 법회(法會)를 엽니다. 대중의 살림을 매달초에 공개하고 대중이 아플 때 대중의 결의에 따라 백장암에서 ‘의료비’와 ‘연수비’를 지급합니다. 사찰에서 지급하는 고정된 해제비는 없지만 공양금이 부족할 때는 사찰에서 공양금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대중스님들이 공양금에 대한 부담을 갖고 살지 않도록 공양금 발표를 하지 않습니다.
●사시예불: 매일 오전 11시
●재가자법회: 매월 2째 4째 토요일 오후2시
2.포살(布薩)
부처님은 대중의 화합과 안락을 위하고 정법을 영구히 보전하기 위해서 계율을 제정하였습니다. 결제와 해제 상관없이 보름마다 비구계본과 보살계본을 번갈아 포살합니다. 포살전에 스님들은 1:1로 청정의식을 합니다. 지키기 어려운 소소한 조항은 대중의 뜻에 따라 청규로 만들어 지킵니다. 포살(布薩)과 자자(自恣)는 대중의 힘으로 청정을 회복하는 시간이며 승가가 대중의 공의(公義)로 운영되는 단체라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입니다.
●포살: 매달 보름과 그믐 오후3시 큰방
●1:1 참회는 포살시작 20분전까지 마칩니다.
●산철에는 오전에 1:1청정의식으로 포살을 대신 할 수 있다.
3.법담탁마(法談琢磨)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사이좋게 화합하여 물과 우유가 잘 섞이듯이 서로를 우정 어린 눈으로 보면서 지냅니다. 저희들은 닷새마다 밤을 지새워 법담으로 탁마하며 방일하지 않고 지냅니다.”(M31) 법담탁마는 부처님 당시부터 바른견해를 세우는 시간이자 대중들이 허심탄회하게 소통하는 시간입니다. 대중은 돌아가면서 논주(論主)를 맡고 논주는 활발한 토론이 되도록 진행합니다. 결제기간에는 대중이 모시고 싶은 선지식(善友)을 초청하여 질의문답하는 탁마의 시간을 갖습니다.
●법담탁마: 매주 목요일 오전8시 육화당
●첫 시간은 청규를 낭독하며 ‘청규’와 ‘승가’에 대한 이해를 공유합니다.
위 청규는 부처님이 이미 만들어 놓은 옛길을 따라 걷고자 하는 노력이지 없던 것을 새롭게 만든 것이 아닙니다. 승가는 해탈로 나아가는 ‘수행공동체’이고 진리를 전하는 ‘전법공동체’입니다. 이러한 승가에 귀의하고 보시하면 큰 공덕이 있습니다. 승가에 귀의한다는 것은 사심(私心)을 내려놓고 공심(公心)으로 살겠다는 약속이며 불법(佛法)을 세세생생 전하겠다는 다짐입니다. 백장암은 수행자들에게는 편안한 보금자리가 되고 지치고 힘든 뭇 삶들에게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승가가 되겠습니다.
기타.
1. 10일마다(음력4일,14일,24일) 삭발목욕하고 일주일마다 울력한다.
2. 오후불식과 백장암 경내에서의 공부소모임 활동을 권장한다. (코로나 정부지침을 준수한다.)
3. 결제시 큰방에서 후원식구와 상견례하고 해제시에도 함께 회향한다.
4. 다음철 방부자는 공개적으로 대중이 결정한다.
5. 매철마다 포살과 범담탁마하는 사진을 찍어 기록으로 남긴다.(서기스님)
6. 사중에서 요리하거나 신도 가정에서 직접 요리한 경우에는 안거기간 중에도 갈 수 있습니다.(단 1시간 이내거리) 외부식당에서의 공양청은 죽비 놓기 1주일 전부터 가능합니다.
7. 해제때 3일 이상 외출하는 사람은 객들이 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정돈 후 외출한다. 7일 초과 외출시에는 공용방으로 쓰기 위해서 짐을 정리합니다.
8. 다음철 탁마 주제와 청규에 대한 수정은 매안거 마지막 범담탁마 시간에 논의 한다.
9. 회주스님은 매철 1회이상 탁마시간에 모셔서 참관하도록 한다.
10. 포살법사는 지원자를 우선으로하되 지원자가 없을시 법랍순으로한다.
11. 안거중 시급한 불사 등은 첫 번째 법담탁마 시간에 정한다. 시급하지 않은 사중의 일은 해제 직전 1주일 이내에 논의한다.
탁마시간에 공부한 내용:
부처님생애(교육원), 범망경(D1), 뽓타빠다경(D9), 대념처경(D22), 사문과경(D2),무아의 특징 경(S22:59),외도의 주장 경(A3:61),꼬삼비 경(M48),배우지 못한자 경(S12:61),모든 번뇌 경(M2) 소공경(M122),반야심경, 씨앗경(A10:104), 사견정견경(잡28권: 37), 깟짜나곳따경(S12:15), 보름밤경(S22:82), 야마까경(S22:85), 찬나경(S22:90), 위대한 마흔가지경(M117), 광설팔성도경(잡28: 35), 바른견해경(M9), 절관론
백장암 안거시 초청한 법사
각묵스님, 도현스님, 혜능스님, 혜주스님(니), 도법스님, 신상환교수, 법산스님,종묵스님, 흥선스님, 학담스님, 백도수교수등
육화경(六和敬) 다시보기
1. “비구들이여, 이것 이외에 다른 어떤 법에 의해서도 아직 일어나지 않은 불선법이 일어나고, 또 이미 일어난 불선법은 증장하고 드세어지는 것을 나는 보지 못하나니, 그것은 바로 삿된 견해[邪見]이다."
2. “비구들이여, 이것 이외에 다른 어떤 법에 의해서도 아직 일어나지 않은 선법들이 일어나고, 또 이미 일어난 선법들은 증장하고 충만해지는 것을 나는 보지 못하나니, 그것은 바로 바른 견해[正見]이다."(A:1:17:1~2)
승가에 대한 7가지 질문과 답변
첫째 삼귀의 때 승가에 귀의하는 것인가 승보에 귀의하는 것인가?
둘째 승가 혹은 승보에 재가자도 포함되는가?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입장에서 각각 설명한다면)
셋째 대한불교조계종은 현전승가인가? 사방승가인가?
넷째 경장에서 설명하는 승가와 율장에서 설명하는 승가는 같은가?
다섯째 현전승가에서는 어떤 일을 다수결로 결정할 수 있는가?
여섯째 붓다, 승가, 백명의 아라한,백명의 아나함, 한명의 벽지불, 한명의 무심도인중에서 보시공덕이 큰 대상을 순서대로 적어 보셔요.
일곱째 승가의 화합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정신은 무엇인가?
백장암 살림 정리-
1.대중이 공양금에 대한 부담을 갖고 살지 않도록 공양금 발표를 하지 않는다.- 전통이라는 미명하에 제선방에서 아직도 고쳐지지 않는 악습을 타파함.
2.육화경을 제대로 해석, ①‘몸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행동한다.’ ② ‘입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말한다.’ ③‘마음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사유한다.④ ‘동료들과 균등하게 나눈다. ⑤ ‘계를 구족하여 머문다.⑥ ‘바른견해를 구족하여 머문다.-육화경의 순서를 제대로 알지 못하여 화합하는 목적을 강조하지 못하고 같은 건물에서 모여사는 것으로 착각하여 왔음.
3. 법담탁마(法談)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사이좋게 화합하여 물과 우유가 잘 섞이듯이 서로를 우정 어린 눈으로 보면서 지냅니다. 저희들은 닷새마다 밤을 지새워 법담으로 탁마하며 방일하지 않고 지냅니다.”(M31)- 오래 앉는 좌선위주의 전통에서 말하기 듣기, 행선을 조화롭게 함. 토론으로 상대방을 이해하여 도반애가 깊어지고 바른견해를 세워 설법능력을 갖춤.
4. 보름마다 포살(布薩). 아만과 교만을 물리치고 참회로 청정을 회복하는 시간. 승가의 일원이라는 자부심을 갖게함.
5.소임자는 대소사를 결정할 때 충분히 논의하여 집단지성을 발휘하여 결정한다. -현전승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모두를 주인으로 대접하고, 모두가 주인으로 사는 승가를 체험케 함. 승가에 대한 이해가 확고해짐.
이상 5가지는 여러선사들의 결사정신과 청매선사 십무익송의 교훈을 계승하고 있으며 오히려 십무익송이 놓치고 있는 주인정신, 평등정신, 대중공의 정신까지 포함하고 있음.
靑梅禪師의 十無益頌
一. 心不返照면 看經無益
마음을 돌이켜 비춰보지 않으면
경전을 보아도 이익이 없음이요.
二. 不達性空이면 坐禪無益
성품이 공한 자리에 사무치지 못하면
좌선을 하더라도 이익이 없음이요.
三. 不信正法이면 苦行無益
정법을 믿지 아니하면
고행을 하더라도 이익이 없음이요.
四. 不折我慢이면 學法無益
아만을 꺽지 못하면
법을 배워도 이익이 없음이요.
五. 欠人師德이면 濟衆無益
타인의 스승 노릇할 덕이 없으면
중생제도하는데 이익이 없음이요.
六. 內無實德이면 外儀無益
안으로 실다운 덕이 없으면
밖으로 위의를 다투어도 이익이 없음이요.
七. 心非信實이면 巧言無益
마음을 실답게 믿지 아니하면
총명변재 하더라도 이익이 없음이요.
八. 輕因望果이면 求道無益
원인을 가벼이 여기고 결과를 중히 여기면
도를 구하여도 이익이 없음이요.
九. 滿腹無識이면 驕慢無益
뱃속에 무식만 가득하면
교만하여 이익이 없음이요.
十. 一生乖角이면 處衆無益
일생동안 자기의 고집을 버리지 못하면
대중과 함께 하더라도 이익이 없음이요
***7월 14일 실상사대중과 백장암 대중의 월례차다에서 제가 ‘승가의 의미’에 대하여 발표를 하였습니다. 백장암11명, 실상사9명등 20여명이 참석하였는데 대중스님들께 질문을 하고 손을 들어 답변한 숫자를 기록하였습니다. 각 질문에 답변하지 못한분이 더 많았습니다. 스님들도 승가에 대한 이해가 이렇게 어려운데 재가자들이야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붓다와 붓다가 되는 길에 대한 이야기가 경장’이라면 ‘승가와 승가의 운영방법에 대한 이야기가 율장’입니다. 그러기에 율장의 갈마방법(대중공사)과 현전승가 구성, 포살,자자 방법을 모르면 승가에 대해서 자신있는 이해가 어렵습니다.
승가에 대한 6가지 질문에 답변 현황
첫째, 삼귀의 때 승가에 귀의하는 것인가 승보에 귀의하는 것인가?
=승가9 : 승보4
둘째, 승가 혹은 승보에 재가자도 포함되는가?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입장에서 각각 설명한다면)
=포함 1 : 미포함 10
셋째, 대한불교조계종은 현전승가인가? 사방승가인가?
=현전승가4 : 사방승가6
넷째, 경장에서 설명하는 승가와 율장에서 설명하는 승가는 같은가?
=같다4 : 다르다5
다섯째, 현전승가에서는 어떤 일을 다수결로 결정할 수 있는가?
=있다3 : 없다5
여섯째, 붓다, 승가, 백 명의 아라한, 백 명의 아나함, 한 명의 벽지불, 한 명의 무심도인 중에서 보시 공덕이 큰 대상을 순서대로 적어 보셔요.
=승가가 붓다보다 공덕이 크다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는 분이 있었음
일곱째, 승가의 화합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 정신은 무엇인가?
(평등정신에 바탕한 주인정신이라고 내가 먼저 말해버림)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위없는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청정한 승 가 에 귀의합니다.
백장암 청규(안)
부처님(Buddha)은 2600년전에 열반하셨지만 인류를 위하여 당신의 가르침(Damma)과 제자들의 모임인 승가(Saṅgha)를 남겼습니다. 승가는 불법(佛法)을 전승하고 해탈을 실현하는 공동체요 인류사에 가장 오래된 민주주의 공동체입니다. 승가의 청정과 화합은 정기적인 포살(布薩)과 자자(自恣) 그리고 대중갈마로 유지되며 화합승가는 뭇삶들의 귀의처가 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승가의 화합의 원리(M48)와 불법이 쇠퇴하지 않는 가르침(D16)을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①‘몸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행동한다.’ ② ‘입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말한다.’ ③‘마음으로 동료에게 자애롭게 사유한다.’ 이상 3가지는 승가의 구성원들끼리 따듯한 마음과 눈빛으로 화합하며 지내는 것입니다. ④ ‘동료들과 균등하게 나눈다’는 것은 모든 사찰의 수입은 공유물이기에 누구나 평등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발우안에든 것일지라도 균등하게 나누어야 한다고 강조하십니다. ⑤ ‘계를 구족하여 머문다’는 것은 정기적으로 포살과 자자를 통해 자정(自淨)하고 화합(和合)는 승가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⑥ ‘바른견해를 구족하여 머문다’는 것은 도반(道伴)들끼리 법담(法談)을 나누어 바른견해를 갖추고 사회에 바른법을 펼치라는 것입니다. 바른견해가 있어야 비로서 ‘불자’라고 불려지며 발심(發心) 수행을 할 수 있고 승가에 귀의(歸依) 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은 바른견해야 말로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총체적인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백장암에서는 2016년부터 ‘원융살림’과 ‘법담탁마’와 ‘포살’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1.원융(圓融)살림
소임자는 대소사를 결정할 때 충분히 논의하여 집단지성을 발휘하여 결정합니다. 항상 객실(客室)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객스님이 편히 머물 수 있도록 하며 재가자들을 위하여 정기적인 법회(法會)를 엽니다. 대중의 살림을 매달초에 공개하고 대중이 아플 때 대중의 결의에 따라 백장암에서 의료비를 지급합니다. 사찰에서 지급하는 해제비는 없지만 사찰운영비가 넉넉하고 공양금이 부족할 때는 운영비에서 공양금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옛 선사는 ‘원인을 가벼이 여기고 결과를 바란다면 도를 구하여도 이익이 없고 일생 동안 괴팍하면 대중에 처하여도 이익이 없다’했습니다.
●사시예불: 매일 오전 11시
●계정혜법회: 매월 2째 4째 토요일 오후2시
2.포살(布薩)
부처님은 대중의 화합과 안락을 위하고 정법을 영구히 보전하기 위해서 계율을 제정하였습니다. 결제와 해제 상관없이 보름마다 비구계본과 보살계본을 번갈아 포살합니다. 포살전에 스님들은 1:1로 청정의식을 합니다. 지키기 어려운 소소한 계목은 조항은 대중의 뜻에 따라 청규로 만들어 지킵니다. 포살은 수행자가 어느 곳에 사는지를 확인하거나 법계품수를 받기 위한 것이 아니라 대중의 힘으로 청정을 회복하는 시간이며 승가가 대중의 공의(公義)로 운영되는 단체라는 것을 확인하는 자리입니다. 옛 선사는 ‘아만을 꺾지 못하면 법을 배워도 이익이 없고 안으로 실다운 덕이 없으면 밖의 위의도 이익이 없다’ 했습니다.
●포살: 매달 보름과 그믐 오후7시 큰방(시간은 조정될 수 있음)
●1:1 참회는 포살시작 20분전까지 마칩니다.
●산철에 대중이 3인 이하일 때는 1:1청정의식으로 포살을 대신 할 수 있다.
3.법담탁마(法談琢磨)
법담탁마는 바른견해를 세우는 시간이자 대중들이 허심탄회하게 소통하는 시간입니다. 대중은 돌아가면서 논주(論主)를 맡고 논주는 활발한 토론이 되도록 진행합니다. 옛 선사는 ‘마음을 반조하지 않으면 경(經)을 보아도 이익이 없고 자성(自性)이 공한 줄 알지 못하면 좌선해도 이익이 없다’ 했습니다. 결제기간에는 1회 이상 선지식을 초청하여 설법을 듣습니다.
●법담탁마: 매주 목요일 오후7시 육화당(시간과 장소는 조정될 수 있음)
●첫 시간은 ‘청규’와 ‘승가’에 대한 이해를 공유합니다.
위 청규는 부처님이 이미 만들어 놓은 옛길을 따라 걷고자 하는 노력이지 없던 것을 새롭게 만든 것이 아닙니다. 승가는 해탈로 나아가는 수행공동체이고 감로수 같은 법을 전해주는 전법공동체입니다. 이러한 승가에 귀의하고 보시하면 큰 공덕이 있습니다. 승가에 귀의한다는 것은 사심(私心)을 내려놓고 공심(公心)으로 살겠다는 약속이며 불법을 세세생생 전승(傳承)하겠다는 다짐입니다. 백장암은 수행자들에게는 편안한 보금자리가 되고 지치고 괴로워하는 뭇 삶들에게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승가가 되겠습니다.
4.울력과 도량 가꾸기
옛부터 선원에서는 자립을 위해서 농사를 짓는등 울력을 많이 해왔다. 그러나 원융살림을 목표로하는 백장암의 울력은 육화경(六和敬)을 바탕으로 소통과 화합을 위한 울력이 되어야한다. 지리산자락에 안겨있는 백장암은 국보10호, 보물40호등 여러가지 문화재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보존해야 하는 책무가 있다.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도량을 아름답게 가꾸어서 누구나 찾고 싶은 도량, 편안하게 머물다 갈 수 있는 도량을 만드는 것도 울력의 중요한 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풀뽑기, 진입로청소. 도량청소, 스님용 지대방 다각실 확장, 신도들을 위한 다각실 짓기, 물탱크, 사찰소식 알림판, 행선(行禪)을 위한 경행대 만들기등...
기타.
1. 10일마다 삭발목욕하고 일주일마다 울력한다.
2. 오후불식과 공부소모임 활동을 권장한다.
3. 결제시 큰방에서 후원식구와 상견례하고 해제시에도 함께 회향한다.
4. 다음철 방부자는 공개적으로 대중이 결정한다.
5. 법담탁마 논주와 포살법사의 순서는 법랍순으로 정한다.
6. 매철마다 포살과 범담탁마하는 사진을 찍어 기록으로 남긴다.
7. 기존 청규에 대한 다른 제안이나 수정사항이 있으면 매안거 마지막 범담탁마 시간에 논의 할 수 있다.
(탁마시간에 이제까지 공부한 경은 부처님생애, 범망경(D1), 뽓타빠다경(D9), 대념처경(D22), 사문과경(D2)등이다)
'백장선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장암 국보 삼층석탑 탁본 2023년 달력 만들기 (0) | 2022.12.02 |
---|---|
실상사 백장암 대중 월례 차담 (0) | 2022.07.13 |
자애경(2022년 5월 27일 백장암선원 대중 윤문) (0) | 2022.05.27 |
국보 남원 백장암 삼층석탑 설명 (0) | 2022.05.07 |
사대천왕(Cātu mahārāja)에 대하여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