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가에 대한 7가지 질문과 답변
'승가(saṅgha)'는 '모임' '무리'라는 뜻으로 부처님 당시에 '가나(gaṇa)'와 같이 사용되었던 단어이다.부처님은 물론 뿌라나 깟사빠등 육사외도들에게도 승가를 가졌고(saṅghī) 무리를 가졌다(gaṇī)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음을 알수 있다.
“ 뿌라나 깟사빠라는 분이 있는데, 그는 승가를 가졌고 무리를 가졌고 무리의 스승이며 지자요 명성을 가졌고 교단의 창시자요 많은 사람에 의해서 사두로 인정됩니다."(pūraṇo kassapo saṅghī ceva gaṇī ca gaṇācariyo ca ñāto yasassī titthakaro sādhusammato bahujanassa) 사문과경(D2)
부처님은 이 승가(saṅgha)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셨다. 그래서 승가(saṅgha)는 보다 총체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승가(saṅgha)의 어원을 분석해도 그 뜻이 정확하게 드러나지도 않는 단어가 되었다. 이것이 번역가들이 붓다(Buddha) 담마(Dhamma) 상가(Sangha)를 번역하지 않고 소리나는 대로 불타, 담마, 승가라고 음사하는 이유다. (담마는 법(法)이라고 번역되었지만 담마에는 진리,이치,현상,규칙,가르침,심리현상,사건등의 뜻이 있기에 법이라는 번역은 부족하다) 간단하게 말하면 경장(經藏)이 붓다와 담마의 주석이며 율장(律藏)이 승가의 주석이라 할 수있다.
붓다(Buddha) 담마(Dhamma) 상가(Sangha)가 단축되어 '불법승(佛法僧)'으로 불리면서 승가의 의미는 다시 변화된다. 승가(僧迦)에서 가(迦)가 떨어져 나가 승(僧)으로 단독 사용되면서 탁발승, 객승, 화주승,동자승등 승(僧)이 개인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오늘날 승가=스님 혹은 승가=스님들이라는 착각이 여기에서 비롯된다. 착각을 도운 다른 이유는 "사방승가 안에는 재가신도가 당연히 포함되어야 한다."(전재성), "귀의 대상인 승보에는 비구비구니 승가가 모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네 쌍으로 여덟이 되는 참사람(四雙八輩)을 의미한다.(전재성) “승가는 좁게는 비구 비구니, 넓게는 사부대중의 모임을 뜻한다.”(각묵)라고 해석한 초기불교 전공자들의 영향이 있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승가를 '스님들' '거룩한 스님들' '성인들'이라고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고, 재가자도 포함되는 '공동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승가라는 의미를 잘 안다고 생각하는 스님들이나 학자들도 막상 승가의 의미를 물어보면 혼란스런 경우가 많다. 스스로가 승가에 대해서 이해를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아래 질문에 대답해보시라.
첫째 삼귀의 때 승가에 귀의하는 것인가 승보에 귀의하는 것인가?
둘째 승가 혹은 승보에 재가자도 포함되는가?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입장에서 각각 설명한다면)
셋째 대한불교조계종은 현전승가인가? 사방승가인가?
넷째 경장에서 설명하는 승가와 율장에서 설명하는 승가는 같은가?
다섯째 현전승가에서는 어떤 일을 다수결로 결정할 수 있는가?
여섯째 붓다, 승가, 백명의 아라한,백명의 아나함, 한명의 벽지불, 한명의 무심도인중에서 보시공덕이 큰 대상을 순서대로 적어 보셔요.
일곱째 승가의 화합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정신은 무엇인가?
위 일곱가지 질문에 대한 자신만의 답변과 아래 설명과 비교해 보면서 무엇이 다른지 비교해보자.
승가에 대한 7가지 질문과 답변
첫째 승가에 귀의하는 것인가 승보에 귀의하는 것인가?
답: 승가에 귀의한다. 부처님이 성도후 초창기에는 승가=승보였다. 오비구와 야사의 친구들, 가섭삼형제와 천명의 제자들,사리뿟다와 출가한 250명의 도반들, 이렇게 모인 1250인의 비구승가는 모두 아라한이었다. 승수념(僧隨念)이 곧 승보수념(僧寶隨念)이었다. 시간이 흘러 승가에 범부비구가 포함되면서 승가와 승보의 구별이 필요해졌다. 보배경에서 ”승가안에야 말로 이 훌륭한 보배가 있으니“(Idampi saṅghe ratanaṃ paṇītaṃ)라는 문장처럼 '승가속의 보물' '(sanghe ratana, 僧寶)이되었다. 율장과 경장에 “비구승가에 귀의합니다.”라는 표현이 자주 나오는 것은 승보가 아니라 '승가'에 귀의하라는 뜻이다. 현실적으로는 불자들이 범부승가에는 귀의하지 않고 오로지 사쌍팔배인 승보에만 귀의 해야 한다면 누가 사쌍팔배의 성인인지 파악해야 하는데 그것은 어려운 일이다. 승가에 귀의하면 자동적으로 승보에 귀의한 것이다.
[나중에 추가]
승보에 의지 하는 것인가? 승가에 의지하는 것인가?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일반 민중이 사용하는 '단순한 의미와 승가'와 부처님이 제정하신 율에따른 '불교적 의미의 승가'로 나누어 보는 것이다.
상가는 육사외도의 무리도 상가라고 불렸고 부처님의 무리도 상가라로 불렸는데 이때의 승가를 '단순한 의미와 승가'라고 하며 '모임' '무리'라는 뜻이다. 부처님이 붓다아누사띠 담마아누사띠 상가아누사띠를 설명하며 계속해서 생각함(anussati, 隨念)을 설명할때 사쌍팔배를 상가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한 의미와 승가'이다. 이때의 승가는 사쌍팔배의 성인이 4인이상이어야 한다거나 현전승가를 구성하여 갈마와 포살을 한다거나와는 상관이 없다. 오로지 수행계위를 얻은 '모임' '무리'를 뜻한다. 삭까 경(S40:10)에는 천신들이 사쌍팔배가 승가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것을 근거로 승가는 범부승가가 아닌 사쌍팔배의 모임만이 승가라고 주장한다.
"목갈라나 존자여,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바르게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참되게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합당하게 도를 닦으니, 곧 네 쌍 의 인간들이요[四雙] 여덟 단계에 있는 사람들[八輩]이시다. 이런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공양받아 마땅하고, 선사받아 마땅하고, 보시받아 마땅하고, 합장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밭[福田]이시다.’라고 승가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 지니는 것은 참으로 장한 일입니다. 목갈라나 존자여, 승가에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을지닌 인연으로 여기 어떤 중생들은 몸이 무너져 죽은 뒤에 좋은 곳[善處], 천상에 태어납니다. " 삭까 경(S40:10)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불교에서 말하는 승가는 특별해지고 복합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율장에서 설명하는 승가는 5종류의 상가(4인승가. 5인승가,10인승가. 20인승가. 20인이상승가)이다. 각 종류에 따라 가능한 갈마와 포살등 의무와 역활이 달라진다. 이러한 '불교적 의미의 승가'는 다시 현전승가, 사방승가등으로 세분화 되었다. 이렇게 두가지 의미의 승가가를 구분하지 않으면 '승가'에 대한 이해가 혼란스러워 진다. 부처님은 '불교적 의미의 승가'를 특별히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보시의 분석 경(M142)이나 웰라마 경(A9:20)에서 '불교적 의미의 승가'에 보시하는 것이 최고의 공덕을 얻는다고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부처님과 사쌍팔배를 비교한다면 부처님께 보시하는 것이 사쌍팔배에 보시하는 것보다 공덕이크다. 그런데 사쌍팔배가 속한 승가와 부처님을 비교한다면 승가에 보시하는 것이 더 공덕이 크다. 그것은 개인(부처님)에 보시하는 것보다 승가(공동체)에 보시하는 것이 공덕이 크기때문이다. 이것이 불자들이 알아야할 놀라운 승가의 의미이다.
승가의 화합은 갈마를 함께 하고(同一羯磨), 포살을 함께 하는(同一說戒) 것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평등정신과 주인정신이 발휘되고 냉철한 이성과 따듯한 우정이 함께한다. 승가는 갈마를 통해 무엇이 율이고 비율인지 판단하는 주체이다.(2차결집) 승가는 무엇이 법이고 비법인지 판단하는 주체이다.(3차결집) 승가는 승단을 단절시키지 않게 지속적으로 출가자를 받아들여 수계를 주고 교육시키는 유일한 단체이다. 승가는 2600년전 부처님이 말씀을 암송하여 전달하여 왔고 공유재산으로서 수행처를 지켜왔다.(사방승가) 승가만이 새로운 율을 제정할 수 있고 기존의 율을 삭제할 수 있다. 수 많은 세월 동안 승가는 전법,호법,전승의 의무를 실천하였고 미래에도 실천할 것이다. 이러한 승가의 막대한 의무와 권한때문에 "백 명의 불환자를 공양하는 것보다, 백 명의 아라한, 백 명의 벽지불, 심지어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보다 '승가'에 공양하는 공덕이 크다."고 부처님은 말한다. 오죽하면 부처님이 승가를 분열시키는 자를 부모를 죽이는 것과 같은 '오역죄(五逆罪)'에 포함시켰겠는가?
비유하자면 '백명의 아라한'은 백개의 자동차 부품이 모여있는 것이고, 백명의 아라한이 속해있는 '승가'는 그 백개의 부품이 조립되어 움직이고 있는 자동차와 같다.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된 이후로 이러한 승가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았다. "집도 절도 없다" "절이 싫으면 가벼운 중이 떠나야지 무거운 절이 떠나나?" 라는 속담들은 출가자들이 승가안에서 주인으로 살 수 없었던 세월을 보여주고 있다. 지금도 사찰에 객실을 폐쇄하여 놓고 스님을 여관에서 자라고 등 떠밀면서 돈을 내는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은 환영한다. 무엇이 중한줄 모르기에 수행자가 승가의 주인이 아닌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다. 마침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 라는 잘못된 한글번역을 계기로 이렇게 승가의 의미를 되새겨 볼수 있게 되었으니 전화위복(轉禍爲福)이라 할 것이다.
그 승가가 중요하고 소중한 것처럼 그 승가를 이루는 비구 비구니 한사람 한사람은 중요하고 소중하다. 그들은 그들 자신이 주인 인 것을 알아차려야 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주인대접을 해주어야 하고, 마침내 본래 주인으로서 주인 역활을 해야한다. 나는 승가교육의 핵심이 승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시키는 것이고 그 교육의 결과는 승려들이 각자 주인의식을 갖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주인으로 사는 사람과 객으로 사는 사람은 큰 차이가 난다. 아무리 절에 오래 살아도 객으로 사는 사람은 승단에 대한 애정이 없고, 개인의 이익과 안정만을 바란다. 객은 조건이 맞지 않으면 언제든 바로 떠나는 사람들이다. 이러한 객들만이 사는 집단은 삭막하고 이기적이고 경쟁적이다. 승려들간에 빈부차이가 나고,주종관계가 된다. 종단에 발생하는 문제를 대할때도 주인의식을 가지고 개선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내가 혼자 나선들 개선되겠나?"라는 패배의식을 갖거나 자신도 그 무리들에게 동화되어 부와 명예를 얻으려 노력한다. 승가의 의미를 제대로 아는 자는 주인 의식을 갖는다. 어디서나 주인으로 살려고한다. 수처작주(隨處作主), 불교의 사상도 그것이고 승가의 내용도 그것이다.
둘째 승가 혹은 승보에 재가자도 포함되는가?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입장에서 각각 설명한다면)
답: 초기불교는 재가자가 포함되지 않는다. 대승불교는 재가자가 포함된다.
(ex. 대지문수 사리보살 대행보살....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등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 선지식(유마거사, 방거사등) 승가에 재가자가 포함되었다는 더 확실한 증거는 법망경보살계본이다. 보살계본으로 사부대중이 같이 포살한다. 보살계본이 후대에 만들어 졌다는 것을 감추기 위해 편찬자들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보리수하에서 깨닫고 나서 바로 보살계를 설했다고 썼다. 이러한 설정 때문에 수많은 모순된 문장이 뒤따르게되었다. 오비구를 만나기도 전에 비구비구니라는단어가 등장하고 대승소승, 아비담마가 등장하며, 아함과 니까야를 외도의 견해와 동급으로 취급하는등 삼보를 비방하는 보살계본이 유행하게 된것이다.
셋째 대한불교조계종은 현전승가인가? 사방승가인가?
답: 현전승가인 동시에 사방승가이다. 종헌종법이 제정되어 단일수계,단일기본교육,단일연수교육,승려대회,단일포상,단일징계가 이루어 지고 있으므로 종단 자체가 현전승가이고, 본사별로 포살 자자 산중총회 선거를 할 때는 교구본사가 현전승가이며, 동안거 하안거를 할때는 선원이나 강원이 현전승가이다.
넷째 경장에서 설명하는 승가와 율장에서 설명하는 승가는 같은가?
답: 같다. 경장이나 율장이나 동시에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자주 나타난다.
"저는 이제 고따마 존자께 귀의하옵고 법과 비구승가(bhikkhusaṅgha)에 귀의합니다. 고따마 존자께서는 저를 재가신자로 받아주소서. 오늘부터 목숨이 붙어 있는 그날까지 귀의하옵니다.”(esāhaṃ bhavantaṃ gotamaṃ saraṇaṃ gacchāmi dhammañca bhikkhusaṅghañca. upāsakaṃ maṃ bhavaṃ gotamo dhāretu ajjatagge pāṇupetaṃ saraṇaṃ gataṃ.)
율장과 경장에 자주 나오는 “비구승가에 귀의합니다.”라는 표현은 꼭 사쌍팔배의 비구를 말하는 것은 아니라 범부와 성인이 섞여있는 승가이다. 율장 대품에는 출가를 원하는 스님과 청년들이 멀리에 계신 부처님을 찾아와야 했기에 수행승들도 피곤해졌고 청년들도 피곤해져서 부처님은 각각의 나라와 지방에서 5인 승가가 구족계 주는 것을 허용하였다.경장과 율장의 차이점은 율장에는 다섯종류의 승가, 안거,포살,갈마등 승가의 운영방법이 자세히 설명되고 있는데 경장에는 이러한 설명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섯째 현전승가에서는 어떤 일을 다수결로 결정할 수 있는가?
답: 모든 일은 다수결로 결정 할 수 있다. 비쟁사 갈마는 현전승가 구성원이 모두 참석하여 한번 제안하고 한번 찬반을 묻는 백이갈마(白二羯磨)로 결정하고, 율을 고치고 불법의 진위를 결정하는 쟁사갈마는 한번 제안하고 세번 찬반을 묻는 백사갈마(白四羯磨)로 결정한다. 지도자를 선출하는 일상적인 일(비쟁사갈마)은 다수결로 결정이 되어도 승가의 분열이 되지 않으며, 결정이 되면 만장일치나 다수결이나 모두 여법(如法)이고 효력은 같다. 역사상에서 나타난 결집과 승려대회등은 모두 다수결로 결정된 것들이다. (ex. 라자가하에서 있었던 제1차결집, 웨살리 제2차결집, 1994년 조계종 승려대회, 현재 선거법에 의한 종정선출, 총무원장선출, 본사주지선출등... 초심호계원에서는 전체 7명중에 4명이 찬성하면 승려를 제적이나 멸빈처벌을 내릴 수 있다.)
여섯째 붓다 ,승가, 백명의 아라한,백명의 아나함, 벽지불,무심도인중에서 보시공덕이 큰 순서대로 적어 보셔요.
답: 승가> 붓다 > 벽지불 > 백명의 아라한 > 무심도인 > 백명의 아나함
위에서 무심도인이 아라한이라고 가정한 경우이다. 웰라마경(A9:20)에서 자세하게 보시공덕의 차이를 설명하고있다. 스님들께 귀의하는 것과 승가에 귀의하는 공덕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다. 승가라는 용어에는 부처님 제자들의 모임이라는 뜻 외에 의지처, 공유(무소유), 평등, 자율, 자발, 자율, 민주, 화합(육화),참회를 통한 청정등의 내용이 들어있다. 그래서 승가야중,귀의불법승등 음사하는 경우가 많았다.승가에 포함된 이러한 뜻을 살리려면 "스님들께 귀의합니다"는 "승가에 귀의합니다"로 수정되어야 한다.
일곱째 승가의 화합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정신은 무엇인가?
답: 전원 참석하고 모두에게 물어 결정하는 현전승가의 평등정신이다. 구성원을 차별하지 않는 이 평등정신이 바로 ‘내가 승가의 주인’이라는 주인의식을 갖게한다. 평등권이 무너지고 일부가 권리를 독점하면 승가는 화합할 수 없다. '수처작주'는 임제스님만 강조한 것이 아니라 '승가의 핵심정신'이다.
참고로 현대에서는 율장을 해석하는데 예전과 상황이 같지 않다. 예전에는 승려들이 탁발을 했지만 지금은 탁발을 못하게 종법으로 정해놓았고, 부처님 당시에는 왕권정치였지만 지금은 민주주의 체제여서 승려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선거에 참여하고 승가안에서도 투표로 지도자를 결정한다. 율장에는 사유재산을 금지하고 있지만 현재의 승려들은 개인통장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숙소, 자가용등을 가지고 있다. 율장에서는 땅을 파지 말고 초목을 손상시키지 말라했지만 백장청규의 전통은 승려들이 농사 짓고 사찰요리 하는 것을 장려한다. 이러한 변형된 상황에서 율장의 특정 조목을 지키지 않는다고 비판하기 보다는 승가의 핵심정신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선원, 각승가대학에서 "갈마를 함께 하고(同一羯磨), 포살을 함께 하는 것(同一說戒)"으로 만족해서는 안된다. 1962년 조계종단이 설립되어 종헌종법으로 종단의 모든 승려를 규율하고,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종단 전체가 현전승가의 역활을 하고있다. 이것이 조계종안에서 승려의 권리가 침해당하고, 승려의 발언의 자유가 억압당하고, 부당하게 징계 당할때 현전승가의 구성원들이 남의 일처럼 구경해서는 안되는 이유다. 현전승가에서 대중공사를 할 때 전원참석하게 하는 것은 '구성원하나하나를 주인으로 대접하는 것'이고 구성원 모두에게 찬반의 동의를 구하는 것도 '구성원 하나하나가 승가의 주인'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승려 개개인이 '주인' 대접을 받고 '주인'으로서 사는 평등정신이 화합의 핵심이다. 이토록 중요한 승가의 의미를 알지 못하기에 승려들은 빈부차이, 투표권의 차별등 각종 불평등속에서 각자도생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 승가의 문제를 수행자 각자의 문제만으로 인식하는 것은 전도몽상이다. 승려들 각자의 의견이 반영되는 평등한 승가, 정의가 살아나고 차별이 사라지는 당당하고 화합하는 승가는 '승가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끝-
'초기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사에 관련된 경 (0) | 2022.06.14 |
---|---|
네가지 단계의 깨달음과 족쇄 (0) | 2022.06.08 |
부처님 생애로 본 사성제 (0) | 2022.06.02 |
미륵 하생시기 56억 7천만 년? 5억 76만 년? (0) | 2022.05.25 |
미륵 부처님의 출현 (0) |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