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구경 25번 게송
1법정역 - 2전재성역 – 3支謙역(224년) – 4了參역(1953년) - 5빠알리본 – 6Fronsdal영어본 – 7인연담 – 8해설
항상 힘써 게으르지 않고 스스로를 자제할 줄 아는 지혜있는 사람은 홍수로도 밀어낼 수 없는 섬을 쌓는 것과 같다.
힘써 노력하고 방일하지 않고 자제하고 단련함으로써
지혜로운 님은 거센 흐름에 난파되지 않는 섬을 만들어야 하리.
發行不放逸 約以自調心 慧能作錠明 不返冥淵中
발행불방일 약이자조심 혜능작정명 불반명연중
奮勉不放逸,克己自調御,智者自作洲,不為洪水沒。
uṭṭhānen' appamādena saṃyamena damena ca
dīpaṃ kayirātha medhāvī yaṃ ogho n'ābhikīrati
(DhP 25)
By exertion, conscientiousness, self-control and moderation,
a wise should make an island, that a flood can not overwhelm.
[인연담]
바보 쭐라빤타까 이야기
라자가하에 사는 한 부유한 은행가에게는 손자 둘이 있었다. 큰 손자의 이름은 마하빤타까였고, 막내 손자의 이름은 쭐라빤타까였다. 큰 아들 마하빤타까는 할아버지를 따라서 수도원에 가서 부처님의 설법 듣는 것을 매우 즐겨 하여 출가하였다. 그는 열심히 수행했고,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예리하게 관찰한 결과 깨달음을 성취하여 아라한이 되었다. 동생인 쭐라빤타까는 매우 둔한 사람이었다. 쭐라빤타까도 형이 출가한 것을 보고 마침내 가정을 떠나 비구가 되었다. 그러나 머리가 둔했던 탓으로 빅쿠가 된 지 넉 달이 되도록 부처님의 게송 한 편도 제대로 외지 못했다. 그래서 그는 실망하여 큰 고뇌에 빠졌다. 그런 동생을 본 마하빤타까는 동생이 수행을 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신자들의 존경을 받을 수도 없으리라 판단하여, 차라리 가정으로 돌아가는 게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럴 즈음 당시 유명한 의사였던 지와까가 부처님과 비구들을 자기 집으로 초청하여 공양을 올리게 되었다. 이 행사에는 마하빤타까가 여러 가지 진행 실무를 맡아 보았는데, 그는 신자들의 공양을 받을 비구 명단에서 동생인 쭐라빤타까를 제외시켜 버렸다. 그는 동생이 신자들의 공양을 받을 만한 수행력과 덕행이 없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런 형의 행동은 쭐라빤타까에게는 매우 심각한 타격이었다. 그는 분한 마음에 이제 빅쿠 생활을 그만두고 집으로 돌아가리라 결심했다. 이때 부처님께서는 그들 두 빅쿠 형제의 사정을 살펴 아시고 쭐라빤타까를 부르시었다. 부처님은 쭐라빤타까를 마루에 앉게 하신 다음 그에게 깨끗하고 부드러운 수건을 주시면서 이렇게 이르시었다.
「쭐라빤타까야, 너는 지금부터 동쪽으로 앉아서 이 수건으로 마루를 닦아라. 그러면서 수건을 밀고 당길 적마다 라조 하라낭(더러운 것을 닦아 낸다)라고 외도록 하여라.」
이렇게 이르신 다음 부처님께서는 다른 빅쿠들과 함께 공양을 받으시기 위해 지와까의 집으로 가시었다. 쭐라빤타까는 부처님의 배려에 용기 백배하여 열심히 마루를 닦기 시작했다. 그는 열심히 마루를 문지르면서 라조하라낭을 외었다. 그러다 얼마 후에 보니 마루의 때가 묻어 수건이 뻣뻣해져 있는 것이었다. 그 같은 수건의 변화는 그에게, 모든 조건지어진 것은 변한다는 진리를 깨닫게 해주엇다. 그는 마음속으로 매우 신기하게 생각하며 부처님께 감사드렸다. 이때 부처님께서는 공양을 받으시면서 천안(天眼)으로 이 같은 사실을 살펴 아시었다. 부처님께서는 지와까의 집에 계시면서 광명을 놓아 쭐라빤타까 앞에 모습을 나투시어 이렇게 설법하시었다.
「쭐라빤타까여, 비단 수건만이 그러한 것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에도 때가 끼느니라. 그 때란 무엇인가. 욕망ㆍ갈망ㆍ탐심ㆍ증오ㆍ악심ㆍ진심ㆍ무지ㆍ어두움이 바로 그것이니라. 그것들이 가득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성스러운 네 가지 진리를 바로 보지 못하게 되고, 그러한 무지의 때가 낌으로 해서 사람들의 마음도 때가 낀 걸레처럼 뻣뻣해지며 사악해지는 것이니라. 쭐라빤타까여, 이러한 때를 완전히 제거하면 수행의 목표를 달성되나니, 그때 그는 아라한이 되느니라.」
쭐라빤타까는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나서 용기를 얻어 더욱 현상 관찰에 마음을 집중시켰다. 그리하여 오래지 않아서 아라한을 성취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둔한 상태가 사라져 아주 지혜롭고 분석력도 뛰어난 사람이 되었다.
한편 자와까의 집에서는 공양이 끝나서 공양 공덕수를 땅에 부으려 하는데 부처님께서 그것을 제지하시었다. 그리고 부처님께서는 비구들에게 지금 수도원에 누가 남아 있지 않은지 물으시었다. 그러자 아무도 없다는 대답이었다. 이에 부처님께서는 「그렇지 않을 것이니라. 지금 수도원에 빅쿠 한 사람이 있을 테니 가서 데리고 오도록 하여라.」
그래서 심부름꾼 한 사람이 수도원에 파견되었다. 심부름꾼은 돌아와서 사뢰었다.
「지금 수도원에는 일천 명이나 되는 빅쿠들이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그에게 이르시었다.
「그러면 다시 가서 <쭐라빤타까 빅쿠가 누구신지요?> 하고 물어 보아라. 그래서 쭐라빤타까를 찾아내어 이리로 데리고 오도록 하여라.」
그리하여 심부름꾼은 다시 수도원으로 갔다. 그는 부처님이 이르신 대로 일천 명의 비구들에게 「쭐라빤카까 빅쿠가 누구신지요? 모시러 왔습니다.」
하고 소리쳤다. 그러자 일천 명의 빅쿠들은 일제히
「내가 쭐라빤타까다!」
하고 대답하는 것이었다. 이에 크게 당황한 그는 다시 부처님께 돌아와 이같은 사실을 사뢰었다.
그러자 부처님께서는 다시 그를 수도원으로 보내시면서, 이번에는 대답하는 쭐라빤타까 일천 명 중에서 제일 먼저 대답하는 사람의 가사를 꽉 붙잡아 그를 데리고 오라고 이르셨다. 그래서 마침내 심부름꾼은 쭐라빤타까를 찾아낼 수가 있었는데, 그가 쭐라빤타까의 가사자락을 잡는 순간 다른 빅쿠들은 순식간에 사라져 보이지 않았다.
이리하여 심부름꾼은 쭐라빤타까와 함께 부처님 앞에 나타났고, 부처님께서는 그에게 공양 공덕을 찬탄하는 설법을 하라고 이르시었다. 그러자 그는 부처님으로부터 들었던 법문을 다시 되풀이함으로써 당당히 설법을 마쳤다.
그런 일이 있는 지 얼마 후에 빅쿠들이 법당에 모여서 여러 가지 토론을 하다가 쭐라빤타까 이야기가 나왔다. 한 비구가 말했다.
「형제들, 쭐라빤타까는 비구가 된 지 넉 달이 되도록 게송 한 편도 제대로 외지 못했었소. 그런데 그 자신 방일하지 않고 부지런히 노력하여 마침내 아라한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혜로운 사람이 되었으니, 그는 이제 더 이상 바보가 아닌 것이오.」
이때 부처님께서 들어오시어 물으시었다.
「비구들이여,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었는가?」
비구들이 사실대로 사뢰자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비구가 자신의 모든 힘과 의지력을 다해 스승의 가르침을 따라 실천 노력하면 자신을 세상에서 으뜸가는 지혜의 보고(寶庫)로 만드느니라.」
그리고 부처님께서는 25번 게송을 읊었다.
[해설]
바보 쭐라빤타까 이야기는 매우 유명하다. 그렇게 아둔한 사람도 아라한이 되었는데...라는 용기를 갖게한다.
이 게송에서 다른이들은 모두 디빠(dīpa)를 섬으로 번역하였는데 지겸만은 정명(錠明)으로 번역하고 있다. 이것은 “비구들이여, 자신을 섬으로 삼고(自洲) 자신을 귀의처로 삼아 머물고 남을 귀의처로 삼아 머물지 말라. 법을 섬으로 삼고(法洲) 법을 귀의처로 삼아 머물고 다른 것을 귀의처로 삼아 머물지 말라(S22:43)”는 경에 비추어 볼 때 번역의 오류이다. “거센 흐름에 난파되지 않는 섬을 만들어야 하리.”라는 문맥을 보더라도 디빠(dīpa)는 섬으로 번역되어야 한다.
'법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구경 28번 게송 (0) | 2020.12.10 |
---|---|
법구경 26번 27번 게송 (0) | 2020.12.10 |
법구경 24번 게송 (0) | 2020.12.02 |
법구경 21번 22번 23번 게송 (0) | 2020.12.02 |
법구경 19번 20번 게송 (0) | 202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