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는 이야기

칠월 칠석의 의미와 유래 몇가지

 

 

칠석의 유래
7월 7일을 칠석(七夕)이라 한다. 이 날은 1년 동안 서로 떨어져 있던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 이라고 하는데, 그들의 애틋한 사랑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하여 내려온다.
하늘나라 목동인 견우와 옥황상제의 손녀인 직녀가 결혼하였다. 그들은 결혼하고도 놀고 먹으며 게으름을 피우자 옥황상제는 크게 노하여 견우는 은하수 동쪽에, 직녀는 은하수 서쪽에 떨어져 살게 하였다. 그래서 이 두 부부는 서로 그리워하면서도 건널 수 없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애태우면서 지내야 했다.
이러한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전해 들은 까마귀와 까치 들은 해마다 칠석날에 이들을 만나게 해주기 위하여 하늘로 올라가 다리를 놓아 주었으니 그것이 곧 오작교(烏鵲橋)이다.
그래서 견우와 직녀는 칠석날이 되면 이 오작교를 건너 서로 그리던 임을 만나 1년 동안 쌓였던 회포를 풀고 다시 헤어진다. 그래서 칠석날 세상에는 까치와 까마귀는 한 마리도 없으며, 어쩌다 있는 것은 병이 들어 하늘로 올라갈 수 없는 것들이라고 한다. 또 까마귀와 까치는 이날 다리를 놓느라고 머리가 모두 벗겨지게 된다고 한다. 칠석날 전후에는 부슬비가 내리는 일도 많은데, 이는 견우와 직녀가 서로 타 고 갈 수레 준비를 하느라고 먼지 앉은 수레를 씻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물이 인간 세상 에서는 비가 되어 내리므로, 이 비를 '수레 씻는 비' 즉 '세차우(洗車雨)'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칠석날 저녁에 비가 내리면 견우와 직녀가 상봉하여 흘리는 기쁨의 눈물이라고 하며, 이튿날 새벽에 비가 내리면 이별의 슬픈 눈물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때의 비를 '눈물 흘리는 비', 곧 '쇄루우(灑淚雨)'라고도 한다.
이 이야기는 중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들어 온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 한대(漢代)의 괴담(怪談)을 기록한 책인 《재해기(齋諧記)》에 이러한 이야기가 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7월 7일 저녁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갈라졌던 견우성과 직녀성이 만나는 자연적인 현상에서 성립되었다. 즉 천문학상의 명칭으로 견우성(牽牛星)은 독수리별자리[鷲星座]의 알타이어(Altair)별이고, 직녀성(織女星)은 거문고별자리[琴星座]의 베가(Wega)별을 가리키는 것으로 원래 은하수의 동쪽과 서쪽의 둑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 두 별은 태양 황도상(黃道上)의 운행 때문에 가을 초저녁에는 서쪽 하늘에 보이고, 겨울에는 태양과 함께 낮에 떠 있고, 봄 초저녁에는 동쪽 하늘에 나타나며 칠석 때면 천장 부근에서 보게 되므로 마치 1년에 한 번씩 만나는 것처럼 보인다. 최남선은《조선상식(朝鮮常識)》에서, 견우성과 직녀성이 1년에 한 번씩 마주치게 보이는 것은 일찍이 중국 주대(周代) 사람들이 해마다 경험하는 천상(天象)의 사실이었는데, 여기에 차츰 탐기적(耽奇的)인 요소가 붙어 한대(漢代)에 와서 칠석의 전설이 성립된 것이라고 하였다.

 
칠석의 풍속
칠석날의 가장 대표적인 풍속으로는 여자들이 길쌈을 더 잘할 수 있도록 직녀성에게 비는 것이다. 이 날 새벽에 부녀자들은 참외, 오이 등의 초과류(草菓類)를 상위에 놓고 절을 하며 여공(女 功:길쌈질)이 늘기를 빈다. 잠시 후에 상을 보아 음식상 위에 거미줄이 쳐져 있으면 하늘에 있는 선녀가 소원을 들어주었으므로 여공(女功)이 늘 것이라고 기뻐한다.

혹은 처녀들은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놓은 다음, 그 위에 고운 재를 평평하게 담은 쟁반을 올려놓고 바느질 재주가 있게 해 달라고 비는데, 다음날 재 위에 무엇이 지나간 흔적이 있으면 영험이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풍속은 직녀를 하늘에서 바느질을 관장하는 신격으로 여기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원래는 칠석날 밤에 궁중이나 민가의 부녀자들이 바느질 감과 과일을 마당에 차려 놓고 바느질 솜씨가 있게 해 달라고 널리 행하던 중국 한대(漢代)의 걸교(乞巧)의 풍속을 따른 것이다. 이 풍속은 당대(唐代)에 와서 주변 민족들에 전파되었는데, 우리 나라의 칠석 풍속은 중국의 그것과 는 사뭇 다르다.

이 날 각 가정에서는 밀전병과 햇과일을 차려놓고, 부인들은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놓고 가족의 수명장수와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기도 한다. 또 이북지방에서는 이 날 크게 고사를 지내거나 밭에 나가 풍작을 기원하는 밭제[田祭]를 지내기도 한다. 중부지방에서는 '칠석맞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단골무당에게 자녀의 무사 성장의 기원을 부탁하는 것이다. 무당은 물동이를 타고 기원의 상징인 명다리를 내어 바람에 불리고, 다시금 무사 성장의 기원을 한다. 한편 7월이면 무더위가 한풀 꺾이는 시기이다. 농가에서는 김매기를 다 매고 나면 추수 때까지는 다소 한가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그래서 장마를 겪은 후이기도 한 이때, 농가에서는 여름 장마철 동안 눅눅했던 옷과 책을 내어 말리는 풍습이 있다. 이를 쇄서폭의라 하는데, 이 날은 집집마다 내어 말리는 옷과 책으로 마당이 그득하다.《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7월 7일조에 도 인가에서는 옷을 햇볕에 말린다 하여 이는 옛날 풍속이라 하였는데, 이 날에 내어 말리는 옷 과 책의 수량에 따라 잘살고 못사는 것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최남선의《조선상식(朝鮮常識)》에는 칠석은 원래 중국의 속절(俗節)로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공민왕(恭愍王)은 몽고 왕후와 더불어 내정에서 견우·직녀성에 제사하였고, 또 이날 백관들에게 녹을 주었으며, 조선조에 와서는 궁중에서 잔치를 베풀고 성균관 유생들에게 절일제(節日製)의 과거를 실시하였다고 하였다. 다양한 생활주기와 가치관의 변화 속에서 오늘날 칠석의 풍속은 다만 견우와 직녀의 전설이 동심의 세계에 꿈을 부풀리는 기능을 하고 있을 뿐이다. 

-----------------------------------------------------------------------------------------

 

 

 

 

 

칠월 칠석의 의미와 유래



오늘 법문은 우리 조상들이 즐겼던 명절 가운데 하나인

칠월 칠석에 의미와 유래에 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음력 7월이면 아직 늦더위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여름의 위세가 한풀 꺾인 때입니다.


북두칠성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은하수는 쏟아질 듯 눈부시게 빛나고

그 동쪽에는 수줍어하는 소녀처럼 희미하게 빛나는 직녀성이 있고,

서쪽에는 지칠 줄 모르는 청년처럼 밝게 빛나는 견우성이 있는데 서로 마주보며 정겨워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전설이 생겨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칠석은 견우와 직녀가 1년 만에 만난다는 이야기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기다림의 괴로움과 하룻밤 만났다가 다시 헤어져야만 하는

아쉬움을 표현한 칠석요라는 민요가 전해오고 있습니다.


그밖에도 칠석과 관계가 있는 남녀의 사랑에 얽힌 이야기가

많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북두칠성은

북극 하늘에 7개의 별이 국자모양을 이루고 있는 별자리를 말합니다.


우리나라 민간신앙에서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예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지만

북두칠성에 관한 신앙은 도교의 영향을 받아 일반화 되었다고 합니다.


북두칠성은 하늘을 상징하고 나아가 천체기상을 관장하는 신으로 생각했으며,


또한 하늘을 상징하는 것이 발전되어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으로 받아들여지기에 이르렀다고 봅니다.


그래서 “칠성님께 명을 빈다”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던 것입니다.


오늘날 민속에서 보이는 칠성신의 기능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비를 비는 신앙과 관련되어 물로 상징되고 비를 내리는 신이라고 믿었기에 농경민족인 우리나라에서는 중요한 신으로 받들어졌습니다.


둘째,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으로 믿었기 때문에 수명장수를 바라는 이들의 수호신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입니다.


특히 단명의 운수를 타고난 어린 아이의 수명을 관장한다고 믿었습니다.


셋째, 재물과 재능을 관장하는 신으로 믿었기 때문에 농사나 어업이 잘되기를 빌었고, 재능이 뛰어나서 입신출세하고 과거에 급제하도록 칠성신에게 빌었던 것입니다.


불교적인 칠성신앙의 대상은

북두칠성이 아니며 치성광여래와 일광보살·월광보살을 비롯한 일곱분의 부처님인 것입니다.


그러면 불교의 칠여래와 도교의 칠성신과의 관계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북두칠성의 분류

도교

무속

불교

12띠 인연법

의미

1 천추성

천추

탐랑성군

운의통증여래

쥐띠생과

인연이 있다

자손에 만덕을       가져다준다.

2 천선성

천선

거문성군

광음자재여래

소 돼지띠생과    인연이 있다.

일체장애와 곤란을   없애준다.

3 천기성

천기

녹존성군

금색성취여래

범 개띠생과

인연이 있다.

업장을 소제하여     준다.

4 천권성

천권

문곡성군

최승길상여래

토끼 닭띠생과    인연이 있다.

원하는 바를 모두    얻게 해준다.

5 옥형성

천형

염정성군

광달지변여래

용 잔나비띠생과   인연이 있다.

백가지 장애를

다멸하게 해준다.

6 개양성

개양

무곡성군

법해유희여래

뱀 양때생과

인연이 있다.

복과 덕을 갖추게    해준다.

7 요광성

요광

파군성군

약사유리광여래

말띠생과

인연이 있다

수와 명을 길게      해준다.


우주의 무량한 자비광명이 세상 모든 것에 차별 없이

빛·소리·향기·감촉 등 지·수·화·풍의 원동력을 제공하여

우리들의 인식작용을 가능케 하고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은

낮에는 일광보살(태양)이 담당하고,

밤에는 월광보살(달)이 담당한다고 합니다.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은

좋고 나쁜 곳에 구애받지 않고 쉼없이 베푼다고 하여

무량수여래불이라고 합니다.


견우와 직녀가 일 년에 한 번 만나는 날을 축복하여

치성광여래께서 일광·월광 양대보살과

북두대성칠원성군·자비대제통성·십이군중태을신 등의

호위를 받으며 하강하여

팔정도를 잘 지킨 사람의 소원을 성취케 해준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칠월 칠석을 세시명절로 삼아 기도 했던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