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신문에 실린 방장,조실스님들의 해제 법문을 보다가 깜짝 놀랐다.
미국으로 계룡산 무상상 조실스님인 대봉스님의 기사가 종정 방장 스님들의 해제법문과 나란히 실려있는 것이다. 드디어 한국에서도 외국인 조실스님의 해제법문을 듣게 된것이다.
그래서 종정스님과 보성스님과 설정스님과 대봉스님의 법문을 비교해 보기로 했다.
“해제후에도 ‘자가보장’을 제대로 챙겨라”
법전 종정예하 동안거 해제법어
군왕의 보물을 누가 흥정 하는가
흥화존장(興化存獎) 선사에게 후당(後唐)의 장종(莊宗)황제가 물었습니다,
“짐이 중원을 평정하고 보물을 한 개 얻었는데, 아무도 값을 매기지 못합니다.”
“폐하의 보물을 잠깐 보여 주소서.”
황제가 두 손으로 복두건(幞頭巾)의 끈을 들어 보였더니 선사가 말했습니다.
“군왕의 보물을 누가 감히 흥정하겠습니까?”
달마대사가 양나라 무제를 찾아간 것은 조사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을 전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염관(鹽官)선사와 선종(宣宗)임금이 서로가 서로를 알아본 것은 함께 안목을 갖추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이처럼 해와 달이 때를 맞추어 뜨고 진다면 광채가 있는 곳의 따스한 바람결은 꽃과 나무를 서로 감화시킵니다. 이처럼 인왕(人王)과 법왕(法王)이 서로 만날 때엔 서로의 위치에서 걸 맞는 문답이 있어야 제격인 법입니다. 어쨌거나 전륜성왕의 상투 속에 있는 구슬을 경솔하게 남에게 함부로 보여줄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래서 숭산혜안(崇山慧安)선사는‘여하시조사서래의(如何是祖師西來意)’를 묻는 납자들에게 “자신의 서래의(西來意)는 묻지 않고 왜 남의 서래의(西來意)만 묻고 있느냐?”고 도리어 힐난했던 것입니다. 마조선사 역시 “자기 집에 있는 보물창고는 돌아보지도 않고서 더욱이 그 집마저 버리고서 밖으로 바쁘게 뛰어다니고 있으니 도대체 뭐하는 짓이냐?”고 일갈했던 것입니다.
보물을 보여 달라는 흥화선사의 질문에 장종황제는 두 손으로 복두건(幞頭巾)의 끈을 들어보였을 뿐입니다. 그러자 선사는 ‘어느 누구도 군왕의 보물을 흥정할 수가 없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법문에서 흥화선사는 황제의 공부경지를 긍정한 것입니까? 긍정하지 않은 것입니까?
만일 인정했다면 흥화의 안목이 제대로 된 것입니까?
만약 인정하지 않았다면 흥화의 허물은 어디에 있는 것입니까?
해제 이후에도 만행하면서 동안거 한 철 동안 챙겼던 ‘자가보장(自家寶藏)’을 제대로 챙기기만 한다면 그 해답을 바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진불엄위(眞不揜僞)하고
곡불장직(曲不藏直)이라
참은 거짓을 가리지 않고
굽음은 곧음을 감추지 못한다.
2553(2009)년 동안거 해제일에
조계총림 방장 보성스님 동안거 해제법어
“간단없는 화두로 끊임없이 공부하라”
2553년 동안거 해제 법어
지난 결제(結制) 구십일(九十日) 동안 정진(精進) 대중(大衆)은 나름대로 열심(熱心)히 공부(工夫)했다고 산승(山僧)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깨치는 것이 빠르고 더딘 것은 사람마다 인연(因緣) 시절(時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중국에 영운선사(靈運禪師)는 三十年(삼십년)을 공부(工夫)해서 깨치고 고봉선사(高峰禪師)는 칠일(七日)만에 깨쳤습니다. 영운선사(靈運禪師)의 오도송(悟道頌)을 소개(紹介)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삼십년래심검객(三十年來尋劒客)이여 기도락엽기추지(幾度落葉幾抽枝)요
자종일견도화후(自從一見桃花後)로 직지여금갱무의(直至如今更無疑)로다.
삼십년(三十年)동안 애써 정진(精進)하는 동안 새싹이 돋는 봄과 낙엽(落葉)이 지는 가을을 몇 번이나 겪었던고...
복숭아꽃이 활짝 핀 것을 한 번 보고 나서
이렇게 모든 의심이 한꺼번에 없어졌네 하였다.
봄은 공부가 잘 될 때요 가을은 공부가 안 될 때를 가르치는 말입니다.
공부(工夫)하는 사람은 화두(話頭)만 열심(熱心)히 할 뿐 빨리 깨치겠다는 욕심(欲心)은 업어야 된다. 속효심(速效心)을 가지고 공부(工夫)하는 병(病)만 생기고 사견(邪見)도 일어나서 바로 깨치기 어렵고 깨친다 하더라도 정력(定力) 없는 건혜(乾慧)일 뿐이니 건혜(乾慧)로써 어찌 생사를 해탈(解脫)하겠는가?
부설거사송(浮雪居士頌)에
가사설법여운우(假使說法如雲雨)하야 감득천화석점두(感得天花石點頭)라도
건혜미능면생사(乾慧未能免生死)하니 사량야시처부부(思量也是處浮浮)로다하였다.
설사 법문을 구름 피듯 비 내리듯 잘 해서
하늘이 감동해서 꽃비가 내리고 돌이 고개를 끄덕인 다해도
간혜로운 생사(生死)를 면할 수 없으니
생가해 보면 허무하고 부질없는 짓이로다 하였다.
금일(今日) 대중(大衆)은 남이 알아 주기도 바라지 말고 깨치기도 바라지 말고 결제(結制) 해제(解制) 상관없이 간단(間斷) 없는 화두(話頭)로 끊임 없이 공부(工夫)하면 자연(自然)히 시절인연(時節因緣)이 도래하여 얼음 눈 녹듯 의심(疑心)이 사라지고 공안(公案)에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송풍한(松風寒)하니 사면(四面) 청산(靑山)이요
추월명(秋月明)하니 일천여수(一天如水)로다
솔바람이 차니 사면이 모두 푸른 산이요
가을달이 밝으니 온 하늘이 물처럼 맑도다.
주장자(拄杖子)를 세 번 구르고 하좌(下座)하다. 2010-02-25 오후 6:02:05 / 송고 | |
|
덕숭총림 방장 설정스님 동안거 해제 법어
“진로에 살더라도 정법수행하면 불제자”
고무신도 흰색이고 운동화도 흰색이다
계룡산 무상사 동안거 해제 현장
무상사 조실 대봉스님(왼쪽)과 주지 대진스님.
대봉스님은 1977년, 대진스님은 1979년에 숭산스님을 만났다. “미쳤다는 것은 무엇이며, 미치지 않았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만일 당신이 무언가에 많이 집착하면 많이 미친 것이요, 조금 집착하면 조금 미친 것이다. 그리고 아무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미치지 않은 것이다.”대봉스님은 “이 한 마디로 수년간 심리학을 공부하고도 해결하지 못한 난제를 풀었다”고 말했다. 숭산스님의 교지(敎旨)는 ‘오직 모를 뿐’으로 집약된다. ‘생각은 고통을 만들어낸다. 잡다한 생각 따윈 쓰레기통에 던져버려라. 탐욕과 분노, 어리석음을 떨쳐낸 본래 마음자리로 돌아와 다시 시작하라.’ 오직 모르니 ‘오직 할 뿐’이다. ‘어떻게 지금 이 순간 중생의 잠을 깨워 이 세상을 도울 것인가에 몰입하라.’
결제와 해제의 의미에 대해 묻자 “배고프면 먹고 졸리면 잔다”는 대봉스님의 대답. 아무리 별미라도 자꾸 먹으면 질린다. 귀가 닳도록 들어 식상할 만도 싶은 선어(禪語)에 달달한 ‘팁’이 얹힌다.
“그리고, 배고픈 자에겐 먹을 것을 주고, 고통 받는 자에겐 실질적인 보탬을 준다.”
스님은 1992년 스승에게서 전법게를 받았다. 깨달았음을 인정받은 것이다. 인가의 배경과 내막에 관한 ‘정치적인’ 질문은 한칼에 쳐냈다. “고무신도 흰색이고 운동화도 흰색이다.” 1997년 역시 지도법사의 자격을 얻은 대진스님이 해석을 거들었다. “고무신이든 운동화든 얼마나 발을 잘 보호하느냐는 기능과 역할에 의미가 있는 거지, 색깔은 중요하지 않다.” 본질(本質)은 실존(實存)에 의해 드러난다는 결론이다. 깨달아야 잘 사는 게 아니다. 잘 살아야 깨닫는다.
계룡=장영섭 기자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불자의 결혼식 (0) | 2010.03.12 |
---|---|
법정스님을 기리며 (0) | 2010.03.11 |
종교 왜 믿나? (0) | 2010.03.01 |
두 스님의 고뇌 (0) | 2010.02.23 |
인도 불자들과 성지순례 예정 (0) | 2010.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