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사김정희

희술하여 모납에게 주다[戲述贈某衲]

 

 

희술하여 모납에게 주다[戲述贈某衲]

 
묘희(妙喜)가 편집한 《정법안장(正法眼藏)》 환기(幻寄)가 각(刻)한 《지월록(指月錄)》의 이 두 서는 약간의 법칙이 되는 공안(公案)을 채취하여 후학들에게 보여준 것인데, 다만 어구(語句)가 첨신(尖新)하고 기봉(機鋒)이 민첩한 것만을 숭상하였으며 관문을 뚫는 안목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염제(拈提)한 것이 스스로 먼저 잇점을 상실하여 진종(眞宗)에 합치되지 못한 것이다.
무릇 이 불료(不了)의 언구(言句)에 대하여 역대의 명안(明眼)과 선지식(善知識)들은 그것이 제일의 의체(義諦)가 아니라는 것을 모르는 바 아니나 혹은 조ㆍ부(祖父)가 물려준 것으로서 단지 전해 내려온 가보로 삼기도 했고 혹은 제방(諸方)의 점검(點撿)으로 인하여 다투는 꼬투리를 일으킬까 해서 곡호(曲互)함이 없지 않으며, 비단 분명히 지척(指斥)하려 들지 않을 뿐 아니라 우선 단점을 버리고 장점만 취하여 부합하고 염제(拈提)하여 방촌(方寸)의 나무를 가져다 솟겨 올려 잠루(岑樓)와 높이를 같이한 것이니, 역시 어찌할 수 없어 애오라지 문전(門前)에서 감돌고 선뜻 나가지 못한 것이지 어찌 진실로 조사(祖師)의 전법(傳法)이 이에 있다 여겼으리오. 초기(初機)와 후학(後學)들은 사람마다 생지(生知)의 혜안(慧眼)을 갖추지 못했은즉 사람을 그르치는 일도 없지 않았다. 이를테면 부대사(傅大士)라든가 대주해(大珠海)라든가 단하천연(丹霞天然)이라든가 영운근(靈雲勤)이라든가 덕산감(德山鑒)이라든가 흥화장(興化獎)이라든가 장경릉(長慶綾)이라든가 풍혈소(風穴沼)라든가 분양소(汾陽昭)라든가 단사자(端師子)라든가 대혜종고(大慧宗杲)라든가 홍각범(弘覺範)이라든가 고봉묘(高峯妙) 같은 이들은 다 종문(宗門)에서 역대로 추앙하여 후학을 제지(提持)하는 종장(宗匠)으로 삼았는데도 어쩐지 그 기연(機緣)과 시어(示語)가 하나도 뽑을 만한 것이 없다.
애오라지 두어 끝을 들어 그 지(旨)를 보이는 바이다. 부대사의 이른바,
밤마다 부처를 안고 졸며 / 夜夜抱佛眠
아침이면 도로 함께 일어나곤 하네 / 朝朝還共起
일어나나 앉으나 늘 서로 따르며 / 起坐鎭相隨
말을 하건 안하건 거처를 함께 하네 / 語黙同居止
능히 만상의 주가 되고 / 能爲萬象主
사시를 따라 시들지 아니하네 / 不逐四時凋
의 글귀들이며, 장경릉이 당(堂)에 올라 말하기를 “도반(道伴)을 붙들어 어깨를 어울리고 일생을 지내며 학에 참(參)하는 일을 끝마쳤다.” 한 것과 중[僧]이 흥화장에게 묻되 “사방 팔면에서 올 때는 어떻게 하겠는가? “하니, 흥화는 “중간을 타(打)한다.”라 한 이와 같은 어구는 모두 단지 한낱 조조(照照)하고 영령(靈靈)함을 해득했을 뿐이다. 곧 부대사가 이른바,
빈 손으로 호미를 쥐고 / 空手把鉏頭
걸어가며 수우를 탔네 / 步行騎水牛
사람은 다리 위에서 지나가니 / 人從橋上過
다리는 흘러도 물은 흐르지 않네 / 橋流水不流
라는 것도 역시 범정(凡情)의 집착한 소견을 벗어나는 데 도달했을 따름이며, 보화(普化) 같은 이는 “밝은 데로부터 오면 밝은 데를 향하고 어두운 데로부터 오면 어두운 데를 향하고 사방 팔면으로부터 오면 선풍(旋風)을 향하고 허공으로부터 오면 연가(連架)로 향한다.” 했는데, 이 말은 비록 구경(究竟)은 아니나 흥화의 “중간으로 향한다.”는 말에 비교하면 하늘과 땅뿐이겠으며 방거사(龐居士)의 “한 입으로 서강(西江)의 물을 다 들이마신다. [一口吸盡西江水]”와 같은 것은 바로 종래에 전해 내려 극칙(極則)으로 삼은 자가 많으나 다만 한낱 “빛이 만 형상을 삼킨다. “는 것을 알았을 따름이며 어찌 일찍이 발뿌리가 땅에 붙었겠는가. 때문에 오조(五祖)는 부연한 바,
한 입으로 서강 물을
다 들이마시니 / 一口吸盡西江水
만 길의 깊은 못이
다 되어 바닥이 났네 / 萬丈深潭窮到底
약약하여 조주의 교와
같지 않으니 / 略約不似趙州橋
밝은 달 맑은 바람에
어찌 비할까본가 / 明月淸風安可比
라고 한 이 송(頌)은 가위 방온(龐縕)의 결함을 보충했다 할 것이며, 방파(龐婆)의 “백초의 머리 가에 조사의 뜻[百草頭邊祖師意]”이라는 글귀는 더욱 추솔(粗率)하고 천박한데 무지(無知) 광참(狂參)들은 일컬어 구경(究竟)의 설로 삼고 있다. 분양소(汾陽昭) 같은 이도 십지동진(十智同眞)을 제외하면 기타의 어구(語句)는 하나도 취할 만한 것이 없으니 이와 같은 견지라면 십지동진의 설도 역시 해로(解路) 속에서부터 얻어 온 것이라 할 수 밖에 없다. 만약 이와 같이 추연(推演)하고 부포(敷布)하려 한다면 어찌 한정이 있겠으며, 십지동진이라는 것도 역시 무엇이 그다지 중하다 하리오. 만약 초학의 의심나는 점을 열어주기로 한다면 어찌 꼭 이와 같이 말이 많아야 하겠는가. 한갓 진참(眞參)과 실오(實悟)의 사람으로 하여금 견련(牽連)되어 해로(解路)로 들어가게 할 뿐이다.
덕산(德山) 같은 이는 바로 종래 역대의 추숭(推崇)하는 고추(古錐)이지만 자세히 수구(搜求)하여 보면 수시(垂示)한 기연(機緣)은 도리어 한 칙(則)도 채택할 만한 것이 없고 한낱 ‘본래 언설이 없다[本無言說]’는 이치를 획득한 데 지나지 아니하며, 천하의 늙은 화상(和尙)들의 혀 끝으로 지위를 속이는 일을 입지 않았을 뿐이요, 향상의 일착(一着)은 밟아 가지 못했던 것이다. 때문에 위산(潙山)의 말이 진흙 속에 가시가 있어 “덕산(德山)이 뒤로 고봉정상(孤峯頂上)을 향하여 초막을 얽어놓고 부처를 비웃고 조(祖)를 꾸짖으러 갔다.”라 하였으니, 가위 덕산을 들어 두어 마디 말로 판가름을 다한 것이다. 그 탁발(托鉢)의 공안 같은 것은 역시 초학의 의심난 점을 계발(啓發)할 만한 정도이며 본분(本分)과 더불어는 털끝만큼도 교섭(交涉)이 없는데 하물며 무슨 기이하고 특별한 것이 있어서 곧장 수백천년의 제창(提唱)을 얻었겠는가. 자못 이해가 되지 않으며 암두(巖頭)ㆍ설봉(雪峯) 같은 이는 실로 사(師)에 비해 나은 점을 보였지만 그러나 역시 원통(圓通)의 곳에는 이르지 못하여 그 법사(法嗣) 현사(玄沙)와 비교하면 오히려 백 보나 모자란다. 대주해(大珠海)의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같은 것은 초기(初機)를 제창한 것에 불과하며 오로지 정문(頂門)의 정안(正眼)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그 마조(馬祖)의 상탄(賞歎)하였다는 말은 반드시 확실한 것이 아니다. 묘희(妙喜) 같은 이는 바로 수백 년 동안 명망이 해내(海內)에 중했던 사람이지만 그 《무고전록(武庫全錄)》은 상세히 뒤져보니 그 시어(示語) 기연(機緣) 속에서는 한 가지도 취할 만한 것이 없으며, 그 고덕(古德)을 염제(拈提)한 것도 또한 간간이 투탈(透脫)의 논은 있으나 지리(支離)하고 오류(誤謬)한 곳이 매우 많은 것을 보면 참다운 지견을 갖춘 자는 아니고 역시 한낱 본래의 미광(微光)을 인식하여 식해(識解)와 학문을 써서 면강(勉强)하고 확충한 소치이며 실지로 관을 뚫은 반려(伴侶)는 아니다.
영운근(靈雲勤)의 “청산은 원래 움직이지 않는데 흰 구름은 자유로이 가고 오누나[靑山原不動 白雲任去來]”라는 글귀 같은 것은 역시 일류(一流)에 속하지만 풍혈소(風穴沼)의 기록 속에 기재된 것에 이르러서는 삼현지요(三玄指要)를 묵오(黙悟)한 데에 불과하며, 그 어구로 노승(老僧)ㆍ도리(闍黎)와 조사(祖師)ㆍ교의(敎意) 같은 것은 다 좌우로 양쪽을 치는 설이니 가국(家國)이나 야로(野老)나 노승이나 도리가 어찌 두낱이 있으리오. 비록 좌우 양박(兩拍)을 가져 해로(解路)를 분식(粉飾)하여 같은 속에서도 다른 점이 있고 다른 속에서도 같은 점이 있는 것 같이 하였으나 그 빈축(顰蹙)과 안첩(安貼)이 두 토막으로 이루어졌으니 어떻게 그를 덮어갈 수 있겠는가. 수연불변(隨緣不變)을 답(答)하면서는 “도롱이를 펼치고 비스듬히 일천 봉(峯) 밖에 서서 물을 끌어 오로봉(五老峯) 남새밭을 적셔 준다.[披簑側立千峰外 引水澆蔬五老峯]”라는 것이며, 또 이를테면 “벽(壁)이 천 길을 높이 솟으니 뉘 감히 정안(正眼)으로 넘겨다 보랴.”라는 글귀는 현요(玄要)의 속으로부터 지해(知解)하여 온 것임을 묻지 않아도 알 수 있으니 비단 제일 의가 아닐 뿐만 아니라 우선 후학과 불법에 그르침을 끼쳐 줄 뿐이어서 털끝만큼도 비익(稗益)될 게 없다. 이 진위(眞僞)의 분변은 만약 눈 밝은 사람을 만난다면 단연코 그림자도 도망하지 못할 것이다.
단하(丹霞)가 목불(木佛)을 태운 것 같은 것은 그 어록을 살펴보면 견지(見地)가 단지 무심에 그칠 뿐이니 단하의 소견에 의거하면 목불의 밖에 별도로 부처가 있단 말인가. 단하에 있어서는 불견(佛見)을 제외하고서 기(奇)를 세우고 상(相)을 쓸어버렸다 여긴 것이지만 온몸을 통한 흙탕물은 스스로 알지 못한 것이다.
이를테면 한 고덕(古德)이 전(殿) 앞에서 부처를 등지고 앉고 또 한 고덕이 전에 들어가 부처를 향해 침을 뱉으니 곁에 중이 말하기를 “왜 부처를 등지고 앉고 부처를 향해 침을 뱉는가? “ 하자, 대답이 “부처 없는 곳에 오면 아무개와 더불어 침을 뱉고 부처 없는 곳을 지적해 오면 아무개와 더불어 등지고 앉는다.”라는 이 등(等)의 견해는 단하와 더불어 마찬가지여서 다만 소월(掃月)하기 이전의 한 상(像)만 알 뿐이요, 도리어 스스로 천상 만상을 잡은 것을 깨닫지 못한 것이다.
홍각범(弘覺範)으로 말할 것 같으면 《지월록》 중에서 그 염제를 채택한 곳이 몹시 많은데 그 지리(支離)하고 유망(謬妄)한 곳은 환기(幻寄)와 더불어 동일하여 가위 동병상련(同病相憐)이라 하겠으니 재론(再論)이 필요치 않은 것이다.
심지어 삼끽시자(三喫侍者) 파자소암(婆子燒庵) 끽유자(喫油糍) 야호(野狐) 참묘(斬猫) 서우선(犀牛扇) 대산파자(臺山婆子) 자호구(子湖狗) 향엄상수(香嚴上樹) 운문선자(雲門扇子)와 화산고(禾山鼓), 그리고 자명방(慈明榜)의 등속 같은 공안은 다 예나 이제나 총림(叢林) 속에서 나날이 들어 보여주는 것이니 역시 다 취하지 않는다.
대개 언어로는 말할 수 없다지만 초기(初機)를 계발하는 데 지나지 아니하며 이것이 구경은 아니다. 다만 이 등의 공안으로 해서 오히려 향상의 일로(一路)가 진무(楱蕪)한 데 이르지 않은 것이다.
총이논지(總以論之)하면 이 일은 따가운 해가 빛나는 것 같고 큰 불이 모인 것 같아서 제(提)하면 오로지 제하고 인(印)하면 오로지 인하는데 마침내 너무도 부처의 정지(正旨)를 통달하지 못하고 다 정(精)을 탈롱(奪弄)하는 데에 속하고 말았으니, 그 말이 비록 다 수천백 년 이래에 사람마다 제창하는 바요, 그 사람이 비록 다 수천백 년 이래로 다 추숭(推崇)하는 바이지만 다 두어두고 논하지 않는다.
대개 역대로 그 이름에 떨어서 지적해 낸 사람이 없었는데 후학이 어찌 능히 다 참방(參方)의 안목을 갖추었으리오. 그 눈빛이 팥만한 자는 반드시 금인지 놋쇠인지 구별이 없고 흰지 검은지 분별을 못할 것이며 이 지위에 이르면 스스로 생각하기를 이미 어떤 고덕의 이르러 간 경지에 이르렀다 하며 망령되이 참학(參學)의 일을 끝냈다고 하니 이 어찌 ‘구주의 철을 다 모아서 저 하나의 착도를 만들다 못 만들었다.’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런 등의 어구는 비록 초기를 제철(提掇)하고 사람의 정신(淨信)을 일으키는 데에는 당초에 공이 되지 않은 것은 아니나, 그러나 그 공이 매우 적어서 능히 진정으로 마음을 일으켜 참학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화성(化城)에 중지하게 하는 것은 허물이 이로 말미암아 만들어진 것이니 그 과실이 너무도 크다 하겠다.
 
 
 

戱述贈某衲 a301_135c

[DCI]ITKC_MO_0614A_0080_080_0030_2009_A301_XML DCI복사 URL복사
妙喜所輯正法眼藏。幻寄所刻指月錄二書。採取若干則公案。以示後學。祗尙語句尖新。機鋒敏捷。未具透關眼。所以拈提。自先失利。未契眞宗者。夫此不了言句。歷代明眼善知識。非不知其爲非第一義諦。或以祖父所遺。只得傳爲家珍。或因諸方撿點。恐起爭端。不無曲互。不但不肯明以指斥。且棄短取長。附合拈提。將方寸之木聳。令高於岑樓。亦不過無奈。聊作門前之繞。豈寔謂祖師在玆也。初機後學。未能人人具生知慧眼。則不無悞人。如傅大士。如大珠海。如丹霞天然。如靈雲勤。如德山鑒。如興化奬。如長慶稜。如風穴沼。如汾陽昭。如端師子。如大慧杲。如
弘覺範如高峰妙。皆宗門中歷代推爲提持後學之宗匠。奈其機緣示語。無一可選者。聊擧數端。以見其旨。如傅大士夜夜抱佛眠。朝朝還共起起坐鎭相隨。語點同居止。及能爲萬象主。不逐四時凋之句。長慶上堂曰。撞着道伴。交肩過一生。參學事畢。僧問興化。四方八面來時如何。化曰。打中間的。如此語句。皆是祗識得個照照靈靈耳。卽傅大士所云空手把鉏頭。步行騎水牛。人從橋上過。橋流水不流。亦祗到得脫凡情執着見耳。如普化云明頭來明頭打。暗頭來暗頭打。四方八面來旋風打。虛空來連架打。此語雖亦非究竟。較興化打中間語。奚啻霄壤。如龐居士一口吸盡西江水。乃從來多傳爲極則者。却不知但只會得個光呑萬象而已。豈曾脚跟點地。所以五祖演云一口吸盡西江水。萬丈深潭窮到底。畧約不似趙州橋。明月淸風安可比。此頌可謂補龐縕之欠缺也。如龐婆百草頭邊祖師意之句。尤爲粗淺。而無知狂參。亦稱爲究
竟之說。如汾陽昭。除十智同眞之外。其他語句。無一可取。似此見地。則十智同眞之設。亦從解路中得來耳。若欲如是推演敷布。豈有底止。十智同眞。亦奚足重。若爲啓初學之疑情。何必如此多言。徒使眞參實悟之人。牽連入於解路耳。如德山。乃從來歷代推崇之古錐。詳細搜求其垂示機緣。却無一則可採。不過會得個本無言說之理。不被天下老和尙舌頭瞞地位耳。未踏向上一着在。所以潙山之語。泥裏有刺。道德山向後孤峰頂上。盤結草庵。呵佛罵祖去在。可謂將德山數語判盡也。如托鉢公案。亦只可啓發初學疑情。與本分毫無交涉。况亦有何奇特。直得數千百年提唱。殊不可解。如巖頭雪峯。寔乃見過於師。然亦未到圓通處。較伊法嗣玄沙。猶欠百步在。如大珠頓悟入道要門論。不過提唱初機。全未具頂門正眼。其馬祖賞歎之說。未必確實。如妙喜。乃數百年望重海內之人。其武庫全錄。詳細披閱。其示語機緣中。一無可取。其拈
提古德處亦間有透脫之論。而支離謬誤處甚多。則非具眞知見者。亦乃認得個本來微光。用解識學問。勉强擴充之所致。非實透關之侶。如靈雲靑山原不動白雲任去來之句。亦屬一流。至風穴錄中所載。不過點悟三玄指要。其語句如老僧闍黎祖師敎意。皆左右兩拍之說。家國與野老。老僧與闍黎。豈有兩個。雖將左右兩拍解路粉飾。似同中有異。異中有同者。其顰蹙安貼。話成兩橛。如何盖覆。如答隨緣不變云披簑側立千峰外。引水澆蔬五老峯。又如壁立千仞誰敢正眼覷着之句。皆從玄要中知解得來。不問可知。不但非第一義。而且貽悞後學。與佛法毫無稗益。此眞僞之辨。若遇眼明人。斷不能逃影。如丹霞燒木佛。觀其語錄。見地只止無心。據丹霞之見。木佛之外。別有佛耶。在丹霞以爲除佛見。立奇掃相。而通身泥水。自不知也。如一古德。殿前背佛坐。又一古德入殿向佛唾。傍僧云何得背佛坐向佛唾。答云將無佛處來。與某甲
唾。指無佛處來。與某甲背。此等見解。與丹霞同。但知掃月前一像。却不覺自執千像萬像矣如弘覺範。指月錄中。採其拈提處甚多。其支離謬妄。與幻寄同。可謂同病相憐。更不必論者。至如三喫侍者,婆子燒庵,喫汕糍,野狐,斬猫,犀牛扇,臺山婆子,子湖狗,香巖上樹,雲門扇子,禾山皷,慈明榜等公案。皆古今藂林中日日擧似者。亦悉不取。盖雖言語道斷。不過啓發初機。非是究竟。但此等公案。尙不至榛蕪。向上一路耳。總之此事。如杲日光。如大火聚。提則全提。印則全印。丕乃不達佛之正旨。盡屬奪弄精。其言雖皆數千百年以來人人之所提唱。其人雖皆數千百年以來人人之所推崇。皆置之不論。盖歷代震於其名。無人指出。後學豈能盡具參方眼。其目光如豆者。必致金鍮莫辨。皁白不分。到此地位。自以爲已造某古德所造之境。妄爲參學事畢。豈不是盡九州鐵。鑄成這一大錯。此等語句。雖於提掇初機。發人淨信。未始爲功。然其功甚小。
能令眞正發心參學之人。中止化城。過由伊造。其過甚大。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