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기불교

[스크랩] 이해에 대하여

 

이해란 무엇인가?

(불교란 무엇인가)                                                         후박나무


1. 우리는 어떤 상태인가?

2. 피해야 할 기준

3. 이해를 해 나가는 기준

4. 맺는 말



1. 우리는 어떤 상태에 있는가?


인간은 무엇을 보든, 듣든 ,생각하든. 희망하든...그것이 나에게 의미가 있으려면 그것이 나에게 이해 되어야 합니다.

이해보다 감정적인 판단이 앞서거나 성급히 움켜쥐려는 욕망을 일으키게 되면 그러한 행동들은 고통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후회하게 됩니다.


붓다의 가르침이란 나 자신과 세상을 이해하는 길입니다.


   “ 단 지 이 해 하 라 ”  그것 뿐 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어떠한 꼴을 하고 지금 이 세상에 서 있는지 붓다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깟짜야아여! 이세상 사람들은 대부분 있다(常見)는 견해와 없다(短見)는 견해에 의존해 있다. 그러나 깟짜야나여! 참으로 올바른 지혜로서 있는 그대로 세상의 발생을 관찰한다면 없다(短見)는 견해는 있을 수 없다.  올바른 지혜로서 있는 그대로 세상의 소멸을 관찰한다면 있다(常見)는 견해는 있을 수 없다.]


우리의 인간의 대부분이 이런 有와 無의 관념에 깊숙이 놓여 있습니다. 영원주의常見 의 역사는 인류가 지구에서 생활하기 시작 할때 부터 시작되어 인간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인도에서 살펴보면 고대 베다와 우파니샤드로 이어져 내려오는 바가바드기타의 사상등에서 찾아볼 수 있고 유대교, 기독교, 회교, 쟈이나교는 신이나 신과 비슷한 것들을 상정하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칸트와 같은 위대한 철인들은 영혼을 영원한 실체로서 인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허무주의 短見는 단멸론, 우연론 이라고 불리우는 사상은 붓다시대의 신흥 사문들을 비롯해서 현재의 유물론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사상들을 전부 붓다는 62가지로 설명하고 있기도 한데 그것을 간추리면 역시 常見과 短見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두 가지 태도를 취하는 것은 인간의 자연스런 현상입니다. 이것은 말 그대로 너무도 자연스러워서, 아무런 노력 없이도 우리에게 다가오는 관념입니다. 그것은 인간의 사유의 한계에서 발견되거나 욕망의 부추김에서 일어나는 생각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두 가지를 부수어 버리는 바른 이해(정견)와 바른 길(중도)을 제시한 붓다는 정말 희유한 인물로 기록 되고 있습니다.



2. 피해야 할 기준


그러나 바른 이해란 노력없이 자연스럽게 얻어지지 않습니다.

바른이해를 얻기위해 우선 어떤 것들이 바르지 못한 것인지 알아야 합니다.

붓다는 이러한 有와 無의 견해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10가지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전해들은 이야기에 의존하지 마십십요.

둘째: 그 사회의 전통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셋째: 오래된 전설과 신화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넷째: 각 종교성전이 가진 권위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다섯째: 그럴듯한 논리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여섯째: 추론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일곱째: 피상적인 사고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여덟째: 사변적인 지식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아홉째: 가능성이 있는 가설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열째: “이분은 나의 스승이다“라는 믿음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이러한 이유,근거로 이해의 기준을 삼지 말라는 가르침입니다.

곰곰히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점검해 보십시요.

이 10가지에 포함되는 것들에 의해 판단하고 믿고 이해 하는것은 아닌지...

 


3. 이해를 해 나가는 기준


이어서 붓다는 객관적인 이해를 위해서 5가지의 기준을 제시 합니다.

진리를 받아들이는 기준 또는 자유탐사 헌장이라 불리우는 가르침입니다. 


어떠한 사상이든 원리이든 견해이든

첫째: 괴로움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어야 합니다.

둘째: 결함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상이어야 합니다.

셋째: 지혜로운 사람들에게 인정되는 것이어야 합니다.

넷째: 이러한 사상을 받아들여 경험해 보고 난 뒤에 나 자신과 이웃에게 유익하다

는 것을 알았을 때 그것을 받아들이십시오.

다섯째: 이러한 사상을 받아들여 경험해 보고 난 뒤에 나 자신과 이웃에게 행복을

준다는 것을 알았을 때 그것을 받아들이십시오.


위에서 말한 [지혜로운 사람]이란 앞에서 말한 피해야 할 10가지 기준을 가지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가지지 않은 사람입니다.


자 그러면 이러한 피해야할 기준과 선택해야할 기준으로 받아들인 이해는 어떠한 것이어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언어문자는 알음알이요 이해는 하는 것만으로는 별 이익이 없다고 말합니다. 이해가  힘이 없다고요?

보십시요.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이해의 힘입니다.


첫째: 이렇게 살아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살아야 한다는 확신이 생기게 합니다.

 더 이상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어떤 것이 올바른 길인가? 하는 의문을 갖지  않게 됩니다.

둘째: 영원한 나라는 생각이나 나를 있게 하는 외부의 절대적인 힘이 있다는 생각에      서 벗어나게 됩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바깥의 어떤 힘에 매달리고 구원을 청하는 행위를 그만 두게 됩니다.

셋째: 그리하여 결국에는 자유와 평화를 얻게 됩니다.



4. 맺는 말


처음에 언급 했듯이 인간은 이해 하지 못한 것에는 만족할 수 없고 행복해 할수도 없습니다.

그러한 행복은 다가올 때는 기쁨을 주지만 떠나갈 때는 크나큰 아픔을 남깁니다.

그리고 지금 여기에서 이해 될수 없는 사상들이란 항상 사람들의 시선을 과거나 미래로 데려 갑니다. 이들은 죽은후나 미래를 위해서 살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현실을 파악할수 없게 만들고 지금 여기에 살수 없도록 합니다.


그러나 지금, 여기가 아니라면 그대는 그대 일수 없습니다.

지금, 여기가 아니라면 그대의 과거와 미래는 무의미 합니다.


그리고 지금 여기에서

이해 하지 못하면 그대는 용서 할 수 없습니다.

이해 할 수 없으면 사랑할 수도 없습니다.

우리가 자신과 세상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 맘껏 생각하고 추측하고 행동해 보아도 남는 것은 후회와 허무 뿐입니다.


우리는 이해 한 만치 딱 그 만큼만 우리는 말하게 됩니다.

우리는 이해 한 만큼 딱 그 만큼만 우리는 행동하게 됩니다.

그래서 자신의 안목이 유일한 자신의 감옥입니다.

세상은 이해하는 만큼 보이고 내가 세상을 이해하는 만큼

나는 세상 속으로 들어 가게 됩니다.






출처 : 차맛어때
글쓴이 : 후박나무 원글보기
메모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