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無我)와 비아(非我)의 차이점
부처님은 깟짜야나경(S12:15)에서 세상의 사람들은 대부분 있음(atthita) 또는 없음(natthita)이라는 두 가지 견해(見解)에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있음을 상견(常見) 그리고 없음을 단견(斷見)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외도들이 갖고 있던 견해들이지만 불교를 공부하면서도 바른견해를 갖추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흔하게 발견되는 견해이다. 이 상견과 단견이 중생들의 깊은 병이라는 것은 부처님의 의해서 최초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 두가지 극단을 떠나는 것이 중도의 정견이다.
“세존이시여,‘올바른 견해, 올바른 견해’ 라고 하는데, 세존이시여, 어떠한 점에서 올바른 견해가 있는 것입니까? 깟짜야나여, 세상 사람들은 대부분 있음(atthita) 또는 없음(natthita)이라는 두 가지에 의존한다. 깟짜야나여, 참으로 있는 그대로 올바른 지혜로 세상의 발생을 관찰하는 자에게는 세상에 없음(natthita)은 사라진다. 깟짜야나여, 참으로 있는 그대로 올바른 지혜로 세상의 소멸을 관찰하는 자에게는 있음(atthita)은 사라진다."
있다(atthi) 또는 없다(natthi)는 동사가 ta가 붙어 있음(atthita) 또는 없음(natthita)이라는 추상명사가 된다. 이 두가지 견해에 의존하지 않기 위해서는 세상의 발생과 세상의 소멸을 관찰하여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관찰은 연기의 순관과 역관을 관찰하는 것으로 연기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없다면 단견과 상견에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불교의 핵심인 내가 없다는 무아(無我)도 단견이 아닐까? 외도들은 무아사상을 허무주의로 인식하고 불교를 허무한 종교라고 비판하는 것이 경전에 등장한다.
모든 번뇌 경(M2)에서는 "나의 자아가 있다.(Atthi me attā)"라는 견해와 "나의 자아가 없다.(Natthi me attā)"라는 표현은 모두 견해의 황무지, 견해의 뒤틀림, 견해의 족쇄라고 한다. 한글로 번역하면 ‘나의 자아가 없다.'는 것은 무아(無我)이다. 유아(有我)가 견해의 족쇄라는 것은 이해되지만 무아(無我)가 견해의 족쇄라는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부처님이 가르치신 안아따(anatta)와 모든 번뇌 경(M2)에서 족쇄라고 비판한 안아따(anatta)는 어떻게 다를까?
무아(anatta)의 오해는 뿌리깊다. 무아와 윤회의 문제가 지금도 심심치 않게 거론되는 것을 보면 현대인들에게도 무아가 쉽게 이해되지 않는 듯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부처님은 무아(無我)를 말한 적이 없고 비아(非我)를 말씀하셨다. 부처님이 표현방법인 비아(非我)를 이해한다면 무아(無我)가 갖는 혼란에서 벗어날 수가 있을 것이다. 무아와 비아는 어떻게 다른가? anatta는 부정접두어 an이 '아니다'혹은 '없다'는 두가지로 사용된다. 문법상으로 anatta는 무아(無我)로 번역되거나 비아(非我)로 번역될 수 있다. 영어의 not이 ‘아니다’와 ‘없다’로 번역되는 것과 같다. 그래서 안아따 라는 단어를 놓고 비아와 무아의 논쟁이 시작된다. 문법적으로로는 어떻게 해석하든 해석하든 사람의 마음에 달린 것처럼 보이기때문이다. 그러나 not이 ‘아니다’와 ‘없다’로 나누어지는 것은 not 그 자체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문장의 구조에 따라 결정되듯이 an이 '아니다' 와 '없다'로 결정되는 것도 문장의 구조에 따른다.
예를들어 'He is not korean'이란 문장은 ‘그는 한국인이 아니다’인데 이것을 ‘그는 한국인이 없다’로 번역한다면 절못된 것이다. 그런데 무아는 ‘그는 한국인이 없다’와 같은 오류를 지니고 있다. 부처님은 anatta를 단독으로 사용하신 적이 없고 언제나 문장속에서 사용하셨다. 이 말은 ‘무엇(A)이 자아(B)가 아니다’라는 표현으로 무아(anatta)를 설명하였다. 무아상경(S22:59)에서 부처님은 무아(anatta)를 전부 비아(非我)로 설명한다.
“비구들이여, 그러므로 그것이 어떠한 물질이건, 그것이 과거의 것이건 미래의 것이건 현재의 것이건 안의 것이건 밖의 것이건 거칠건 미세하건 저열하건 수승하건 멀리 있건 가까이 있건‘이것은 내 것이 아니요(netaṃ mama),이것은 내가 아니며(nesohamasmi),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na meso attā)라고 있는 그대로 바른 통찰지로 보아야 한다.”
무아상경에서는 He is not korean이란 문장처럼 ‘이것(A)은 나의 자아(B)가 아니다’는 A와 B가 같은 주격으로 ' ~아니다'라고 해석된다. 부처님은 안아따를 사용할 적에 몸은 자아가 아니다(anattaṃ rūpaṃ) 느낌은 자아가 아니다(anattaṃ vedanaṃ)처럼 두 개의 주격주어 A와 B가 나타나는 문장으로 설명하셨다. 그러므로 몸을 나의 것, 혹은 나의 자아라고 여기던 사람들이 부처님의 질문에 ‘몸은 나의 것이 아니다’, ‘몸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라며 일관되게 ‘~아니다’라고 대답하게 되는 것이다. 부처님의 질문은 내가 아니다(非我)라는 대답만 가능하지 내가 없다(無我)라고 대답할 수 없는 질문들이다. 그래서 무아상경의 ‘이것(A)은 나의 자아(B)가 아니다’는(na meso attā)’는 비난받지 않는 가르침이 되는 것이고, 모든 번뇌 경(M2)에서 ‘나의 자아가 없다.(Natthi me attā)’라는 것은 비난받는 단견이 되는 것이다.
가전연경에서 보았듯이 ‘있다-없다’는 단견과 상견에 떨어져 관념적으로 흘러가게 되어있다. ‘있다-없다’는 ‘우리집에 아빠가 없다’‘수박에 씨가 없다’는 일상적인 생활 영역부터 '기독교적 절대신의 유무' '힌두교의 창조신 브라흐마의 유무'등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존재에 대한 ‘있다-없다’까지 나아간다. 한번도 보지 못한 아트만, 만져보지 못한 아트만이 있느냐 없느냐는 논쟁은 희론이다. ‘있다-없다’라는 관점은 나아가서 '무아인데 윤회하는 주체는 누구냐' 하는 질문을 불러 일으킨다. 무아라는 단어는 끝임없는 망상거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다-아니다'는 단견과 상견에 떨어지지 않으며 몸을 나라고 집착하는 유신견을 극복하도록 돕는다. 이것은 ‘이것이 나의 자아(아트만)가 아니다’라는 문장은 아뜨만의 유무를 알아야 대답할 수 있는게 아니다. 몸은 무상하고 고통스럽고 부서지는 것이므로 영원한 아트만이 있다해도 몸은 아트만이 아니다라고 쉽게 부정 할 수 있는 것이다. 10살 짜리 라훌라 사미도 즉각적으로 ‘몸은 나의 것이 아니다’,‘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라고 대답 할 수 있었던 이유다. ‘무아상경’에서는 비아의 논리와 근거가 날것 그대로 살아 숨 쉬고 있다. 내가 없다(無我)라고 말하면 ‘그럼 이렇게 말하는 것은 무엇이지?’‘그럼 나는 어디있지?’라는 혼란과 두려움이 생겨날 수도 있다. ‘이것은 나의 자아가 아니다’라는 비아(非我)의 표현은 그런 두려움과 혼란을 일으키지 않는다.
부처님은 외도의 주장경(A3:61)에서 육계, 육촉입처, 18가지 마음의 지속적인 고찰, 사성제라는 교리가 누구에게도 비난받지 않는다고 말한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믿음을 필요하는 관념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가르침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설하신 법을 ‘스스로 보아 알 수 있고,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와서 보라는 것이고, 향상으로 인도하며, 지혜로운 이들이 스스로 알 수 있는 것’이라고 선언하였다. 마찬가지로 비아(非我)에 대한 가르침은 현실적이며 논리적이며 실천적이다. 비아(非我)는 누구나 확인할 수 있는 가르침인 것이다.
오래전부터 안아따(anatta)가 무아(無我)라고 번역되어 불교를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많은 오해를 불러 일으켜 왔다. 한문경전에서는 안아따(anatta)를 무아로 번역한 것보다 비아로 번역한 것이 2배정도 많으며 無常苦空無我의 순서로 나타나는 문장도 無常苦空非我로 번역된 것이 3배정도 많다. 각묵스님이 무아의 특장으로 번역한 경전도 한문 번역본에서는 비아경(非我經)이라는 제목이 달려있다. 우리의 선배들은 그나마 부처님이 가르친 의도대로 非我라는 번역을 선호해 왔는데 요즘 니까야를 번역하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무아라고 번역하고 있으니 안타깝다. 무아라는 단어를 선호하게 된 이유는 諸行無常(제행무상) 一切皆苦(일체개고) 諸法無我(제법무아)라고 삼특상이 확정된 탓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그러나 부처님의 가르침이 비난받지 않는 실천적인 가르침이 되려면 비아(非我)로 번역되어야 한다.
아난다경(S44:10)에서 부처님이 자아가 없다(無我)는 것에 대해서 동조하지 않는 장면이 나온다.
한 때에 세존께서 싸밧티의 제따바나에 있는 아나타삔디까 승원에 계셨다.
그 때에 유행자 밧차곳따가 세존께서 계신 곳을 찾았다. 가까이 다가가서 세존께 인사를 드리고 안부를 서로 나눈 뒤에 한쪽으로 물러앉았다. 한쪽으로 물러앉은 유행자 밧차곳따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했다.
[밧차곳따] "세존이신 고따마여, 자아(atta)는 있습니까?" “kiṁ nu kho, bho gotama, atthattā”ti?
이와 같이 묻자 세존께서는 침묵하셨다. Evaṁ vutte, bhagavā tuṇhī ahosi.
두 번째에도 유행자 밧차곳따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했다.
[밧차곳따] "세존이신 고따마여, 자아(atta)는 없습니까?"“Kiṁ pana, bho gotama, natthattā”ti?
두 번째에도 세존께서는 침묵하셨다. Dutiyampi kho bhagavā tuṇhī ahosi.
그러자 유행자 밧차곳따는 자리에서 일어나 그곳을 떠났다. 그런데 유행자 밧차곳따가 떠난 지 얼마되지 않아 존자 아난다는 세존께 이와 같이 말했다.
[아난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는 유행자 밧차곳따의 질문을 받고 왜 대답하지 않으셨습니까?"
“kiṁ nu kho, bhante, bhagavā vacchagottassa paribbājakassa pañhaṁ puṭṭho na byākāsī”ti?
[세존] "아난다여, 내가 유행자 밧차곳따의 '자아는 있는가?' 라는 질문을 받고 똑같이 '자아가 있다' 라고 대답하면 아난다여, 그것은 내가 영원주의자(sassatavādā)인 수행자나 성직자들에 동조하는 것이다.
“Ahañcānanda, vacchagottassa paribbājakassa ‘atthattā’ti puṭṭho samāno ‘atthattā’ti byākareyyaṁ, ye te, ānanda, samaṇabrāhmaṇā sassatavādā tesametaṁ saddhiṁ abhavissa.
아난다여, 내가 유행자 밧차곳따의 '자아는 없는가?' 라는 질문을 받고 똑같이 '자아가 없다' 라고 대답하면 아난다여, 그것은 내가 허무주의자(ucchedavādā)인 수행자나 성직자들에 동조하는 것이다.
Ahañcānanda, vacchagottassa paribbājakassa ‘natthattā’ti puṭṭho samāno ‘natthattā’ti byākareyyaṁ, ye te, ānanda, samaṇabrāhmaṇā ucchedavādā tesametaṁ saddhiṁ abhavissa.
아난다여, 내가 유행자 밧차곳따의 '자아는 있는가?' 라는 질문을 받고 똑같이 '자아가 있다(atthattā)' 라고 대답하면 아난다여, '일체의 법은 무아이다(Sabbe dhammā Anattā)' 라는 지혜의 발현에 순응하는 것인가?"Ahañcānanda, vacchagottassa paribbājakassa ‘atthattā’ti puṭṭho samāno ‘atthattā’ti byākareyyaṁ, api nu me taṁ, ānanda, anulomaṁ abhavissa ñāṇassa uppādāya:‘sabbe dhammā anattā’”ti?
[아난다] "세존이시여, 그렇지 않습니다"“No hetaṁ, bhante”.
[세존] "아난다여, 내가 유행자 밧차곳따의 '자아는 없는가?' 라는 질문을 받고 똑같이 '자아가 없다(natthattā)' 라고 대답하면 아난다여, '예전에 나에게 자아가 있었는데 지금은 그 자아가 더 이상 없다' 라고 혼미한 밧차곳따는 더욱 혼미해질 것이다." “Ahañcānanda, vacchagottassa paribbājakassa ‘natthattā’ti puṭṭho samāno ‘natthattā’ti byākareyyaṁ, sammūḷhassa, ānanda, vacchagottassa paribbājakassa bhiyyo sammohāya abhavissa: ‘ahuvā me nūna pubbe attā, so etarahi natthī’”ti.
여기서도 부처님은 아트만을 인정하는 상주론과 아트만을 인정하지 않는 단멸론을 모두 거부하신다. 그렇치만 당신의 법은 제법은 안아따라고 천명하신다. 어디에서든 외도들이 말하는 안아따는 단독으로 등장한다. 그러므로 없다는 것으로 번역될수 밖에 없다. 그러나 부처님이 설하시는 안아따는 항상 A와 비교대상인 B라는 2개의 주어가 나오며 `~아니다'라고 번역된다. '모든 법(Sabbe dhamma) 자아(atta)가 아니다'.라는 문장도 A와 B가 주격으로 등장하므로 '~아니다'라고 해석해야지 '~없다(無)'라고 해석 되어서는 안된다. 이것은 마치 '그는 한국사람이 아니다'를 '그는 한국사람이 없다'라고 번역하는 꼴이다. 그리고 A는 이미 무상하고 괴로움이라고 설명되어진 것이기에 부처님과 대화를 나누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아가 아니다'라는 대답을 한다. 부처님이 밧차곳따에게 무아라는 것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당신이 안아따(非我)를 당당하게 설하시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비아非我는 중도정견이지만 무아無我는 단견으로 부처님이 동의 하지 않는 것이다.
'초기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마음을 고정시켜야 합니까? (0) | 2019.12.14 |
---|---|
<가슴으로 듣는 경전독송> (0) | 2019.12.09 |
여래는 사후에 대한 것을 설하지 않은 것은 어떠한 이유 때문입니까? (0) | 2019.12.06 |
光明寺経蔵 번역오류 (0) | 2019.12.06 |
중생은 산자나띠(sañjānāti)하고 성인은 아비자나띠(abhijānāti)한다 (0) | 2019.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