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두가 가장 중요한 가르침이다. 2. 가르침이 라는 것도 결국은 텅빈 것이다.
이런식으로 말씀해주시지 않으셧으면 좋겠습니다.
그냥 머리속에 번뜩이며, 떠오르는, 아무생각없이 여러분께 영감같이 떠오르는, 무심으로 그냥 떠오르는,
의식이 깃들지 않은?
순수한 답변을 기대할께요.
감사합니다. ~ ~ ~ ~ ~ re: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가르침을 말씀해주세요. |
|
---|
저는 우리 불자들이 가슴깊이 새겨야 할 부처님의 ‘마지막 유언’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 Vayadhammā saṅkhārā. Appamādena sampādetha."
“형성된 것들은 소멸하기 마련이다. 방일하지 않음으로서 성취하라.”
[대반열반경]
방일하지 않음은 마음 챙김의 현전입니다. [주석서]
방일하지 않음은 지혜를 수반하는 마음 챙김입니다.[복주서]
방일하지 않음은 사념처(四念處)의 실천을 의미합니다.
방일하지 않음은 사정근(四正勤)의 실천을 의미합니다.
방일하지 않음은 사신족(四神足)의 실천을 의미합니다.
방일하지 않음은 오근(五根)의 실천을 의미합니다.
방일하지 않음은 오력(五力)의 실천을 의미합니다.
방일하지 않음은 칠각지(七覺支)의 실천을 의미합니다.
방일하지 않음은 팔정도(八聖道)의 실천을 의미합니다.
이 모든 법은 진리의 눈을 생기게 하고 지혜를 주고 적정, 탁월한 지혜, 완전한 깨달음, 열반으로 이끄는
중도(majjhimāa patipadāa)입니다.
이것은 계정혜 三學입니다.
그래서 [주석서]에서는 "45년 동안 말씀하신 것을 가르침을 모두 이 불방일 이라는 단어에 담아 주셨다." 라고 설명합니다.
여기서는 "모든 가르침이 이 한마디" 이기에
"모두가 가장 중요한 가르침이다." 라는 말을 하게 되는 군요.^^
[참고]
4념처, 4신족, 5근, 5력, 7각지, 8정도(A.N.Ⅰ.295~298)의 37가지의 깨달음에 도움이 되는법(三十七助道品, 三十七菩提分品)을 중도 라고 설명 하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1. 네가지새김의토대(四念處cattaro satipatthana) :
(1) 몸에대한관찰(身隨觀kaya anupassana)
(2) 감수에대한관찰(受隨觀vedananupassana)
(3) 마음에대한관찰(心隨觀cittanupassana)
(4) 법에대한관찰(法隨觀dhammanupassana)
2. 네가지바른노력(四正勤cattaro sammappadana)
(1) 방지의노력(律儀勤samvarappadhana)
(2) 버림의노력(斷勤pahanappadhana)
(3) 수행의노력(修勤bhavanappadhana)
(4) 수호의노력(守護勤anurakkhanappadhana)
3. 네가지신통력의기초(四神足, 四如意足cattaro iddhipada)
(1) 의욕의신통력의기초(欲神足chanda iddhipada)
(2) 노력의신통력의기초(勤神足viriya iddhipada)
(3) 마음의신통력의기초(心神足citta iddhipada)
(4) 관찰의신통력의기초(觀神足vimamsa iddhipada)
4. 다섯가지정신적능력(五根panca indriya)
(1) 믿음의정신적능력(信根saddha indriya)
(2) 정진의정신적능력(精進根viriya indriya)
(3) 새김의정신적능력(念根sati indriya)
(4) 집중의정신적능력(定根samadhi indriya)
(5) 지혜의정신적능력(慧根panna indriya)
5. 다섯가지힘(五力panca balani)
(1) 믿음의힘(信力saddha balani)
(2) 정진의?精進力viriya balani)
(3) 새김의힘(念力sati balani)
(4) 집중의힘(定力samadhi balani)
(5) 지혜의힘(慧力panna balani)
6. 일곱가지깨달음고리(七覺支satta bojjhanga)
(1) 새김의깨달음의요소(念覺支satisambojjhanga)
(2) 탐구의깨달음의요소(擇法覺支dhammavicayasambojjhanga)
(3) 정진의깨달음의요소(精進覺支viriyasambojjhanga)
(4) 경이의깨달음의요소(喜覺支pitisambojjhanga)
(5) 안온의깨달음의요소(輕安覺支passaddhisambojjhanga)
(6) 집중의깨달음의요소(定覺支samadhisambojjhanga)
(7) 평정의깨달음의요소(捨覺支upekhasambojjhanga)
7. 여덟가지성스러운길(八聖道ariya atthangika magga)
(1) 올바른견해(正見sammaditthi)
(2) 올바른사유(正思惟sammasankappo)
(3) 올바른언어(正語sammavaca)
(4) 올바른행위(正業sammakammanto)
(5) 올바른생활(正命sammaajivo)
(6) 올바른정진(正精進sammavayamo)
(7) 올바른새김(正念sammasati)
(8) 올바른집중(正定sammasamadhi)
'naver 지식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 편향이란게 뭔지유? (0) | 2008.09.05 |
---|---|
믿음이란 무엇인가? (0) | 2008.09.02 |
니까야에서 어느 책을 봐야 연기법에 대하여 많이 알수 있는지요. (0) | 2008.08.18 |
숫타니파타는 성불보다 열반을 말하는데 소승경전일까요 (0) | 2008.08.18 |
숫타니파타 5.3. 학인 띳싸 멧떼이야의 질문에 대한 경. (0) | 200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