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법인과 삼특상
이제 이글에서 설명 하고자 하는 일체개고의 뜻을 설명할 차례이다. 먼저 많은 사람들이 삼법인이나 삼특상의 구별을 하지 못한 체 사용하고 있는데 삼특상과 삼법인은 분명히 구별되어야 한다. 삼특상과 삼법인의 유래와 차이를 설명하는 다음과 같은 글을 인용한다.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을 삼법인이라 불러야하고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는 삼특상(三特相)이라 구분해 불러야합니다. 삼법인은 설일체유부로 대표되는 북방불교에 나타나며 삼특상은 상좌부로 대표되는 남방불교에서 사용하는 술어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무상.고.무아의 가르침은 아함경등의 북방불교에도 무수히 나타나지만 이를 삼특상이라는 술어로는 부르지 않습니다. 삼특상은 “세 가지 특징”이란 의미이며 빠알리어 tilakkhana의 역어인데 아비담마와 주석서에서는 삼특상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삼법인(三法印)이라는 용어는 초기경이나 상좌부 아비담마나 주석서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습니다. 법인이라는 말은 산스끄리뜨 dharmamudra의 번역어인데 삼법인은 설일체유부의 율장과 아비달마법온족론과 같은 설일체유부 논장에서 제일 먼저 사용한 술어이며 이것이 반야부의 대지도론 등에서도 채용되었고 후대의 많은 중국 주석가들이 이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입니다. 이처럼 삼법인과 삼특상의 출처는 서로 다릅니다.
그러면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먼저 삼특상은 위에서도 밝혔지만 오온으로 대표되는 유위법의 세 가지 보편적 특징[共相]을 밝힌 것입니다. 삼특상이 중요한 이유는 일체유위법이 무상,고,무아임을 철견할 때 해탈열반은 실현된다고 초기경에서 부처님께서 고구정녕하게 설하시기 때문입니다. 삼특상은 수행에 관한 강한 메시지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유위법(제행)의 세 가지 특징을 말하는 삼특상에서는 당연히 무위법인 열반은 언급하지 않습니다. 북방의 설일체유부에서는 삼법인에 열반을 포함시키는데 여기서 법은 유위무위를 모두 포함한 광범위한 개념으로 사용한 것입니다. 그들의 입장에서는 ‘제행개고’ 보다는 열반을 포함시켜 법의 도장(직인)을 만들어 부처님 가르침과 외도의 가르침을 분명하게 구분하고자 했습니다. 삼법인은 삼특상이 전하고자 하는 수행에 관한 강한 메시지보다는 불교 전반의 가장 큰 특징을 정리한 것이라 보입니다. ‘불교는 무상을 가르친다. 불교는 무아를 가르친다. 불교는 열반을 가르친다’는 의미로 법의 도장이라 이름 지었고, 이런 무상.무아.열반의 도장이 찍힌 것은 불교고 그렇지 않은 것은 불교가 아니라고 하는 것입니다.1)
이러한 설명처럼 삼특상과 삼법인이란 용어들은 처음부터 그 용어가 나오게 동기도 다르고 출처도 다르다. 삼법인은 북방불교에서 불교의 특징을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무상,무아, 열반이라는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 없지만 남방불교의 용어인 삼특상이란 법문에서 무상,고,무아의 순서는 절대로 바뀌면 안된다. 그런데 이 차이를 구분하지 않고 우리나라에서는 삼특상을 삼법인으로 설명하기도 하고 삼법인에서 일체개고를 더하여 사법인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러한 혼란은 이제까지 불교를 역사와 더불어 배우지 못한 한계일 것이다. 왜 삼특상에서 순서가 바뀌면 안되는지는 이 법문이 애초에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알면 이해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법문이 삼특상(三特相)이라 불리어지는 법문의 원형이다. 이러한 형태의 법문은 니까야에 수 없이 나타난다.
Bandhasuttaṃ
라훌라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육체는 영원한가 무상한가?
세존이시여, 무상합니다.
그러면 무상한 것은 괴로운 것인가 즐거운 것인가?
세존이시여, 괴로운 것입니다.
무상하고 괴롭고 변화하는 법을 '이것은 내 것이고 이것이야말로 나이며 이것은 나의 자아다' 라고 하는 것은 옳은 것인가?
세존이시여, 그렇지 않습니다.2)
이러한 삼특상의 원형이 되는 법문에서 붓다가 이렇게 무상,고,무아의 순서로 묻는 이유는 제자들에게 무아를 납득시키기 위함이었다. 이 법문에서 후대에 정리된 삼특상의 마지막 문장처럼 제자들은 ‘무아입니다(제법무아).’라고 대답하지는 않는다. 붓다는 이 무아 부분만큼은 간접적인 질문으로 제자들의 동의를 이끌어내고 있다. 즉, “무상하고, 고통이고 변화 하는 법에서 나와 나의 것과 나의 자아라고 할 만한 것이 있겠는가?” 라고 유도 질문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삼특상 법문을 하시는 목적이 무아를 납득시키기 위한 목적이란 것을 의미하고 이렇게 유도질문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무아라 사실은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결국은 이 무아라는 법문을 하고 싶어서 붓다는 無常과, 苦라는 상식을 동원하여 결론적으로 ‘나의 자아라고 할 만한 것이 있겠는가’라고 무아의 법문을 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삼특상의 원형이 되는 형식의 경전을 쌍윳따 니까야 전체를 살펴본 결과 무상, 고, 무아로 말해지는 대상은 언제나 5온과 12처와 18계와 6계로 나타나고 있다. 즉, 제행무상에서의 무상한 주제인 제행(Sabbe saṅkhārā)은 5온과 12처와 18계와 6계로 한정하여 이해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는 항상 제행이 무상하기 때문에 고라고 성명된다. 이렇게 ‘무상하기 때문에’라는 전제조건이 붙어서 설명되는 고를 무조건 제행=고라는 말로 이해 하면 안된다.
‘무상하기 때문에’ 괴로움이라는 것은 무슨 말일까?
무상하기 때문에 괴로움이라는 말을 들으면 어떤 사람들은 무상하기 때문에 행복이라고 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일견 그 말은 맞다. 그러나 여기서 혼동하지 말아야 할 것은 무엇을 두고 무상하기 때문에 괴로움이라고 하는가 하는 것이다.
삼특상에서 말하는 무상하기 때문에 괴로움이다 라는 설명은 “너의 눈이 무상하다면 그 무상한 눈은 자신에게 즐거움인가 괴로움인가?” 하는 물음이다. 즉, 무상하다고 말해지는 대상은 질문을 받는 자신, 나라고 혹은 나의 것이라고 생각해온 것들을 가르킨다.
그러므로 이 말은 나와 나의 것이라고 생각해온 몸과 마음이, 항상 머물러 주길 바래온 나와 나의 것이 파괴되고 소멸하고 변화하게 되면 그것은 나에게 괴로움이 된다는 뜻이다. 여기에서의 제행은 괴로움의 대상이 된다는 의미에서의 제행개고 인 것이다. 이렇게 붓다가 설하신 5온과 12처와 18계와 6계라는 이 법수들은 모두 인간을 ,나를 설명하는 용어들이다. 즉, 5온은 인간을 분석하여 어느 것에도 나라고 할게 없음(무아)을 드러내기 위해, 12처는 나라는 관념이 생기는 바탕 즉, 인간의 의식이 발생하는 영역(바탕)을 설명하기 위해, 18계는 12처에서 발생한 식을 낱낱이 보여주기 위해(이것을 세계(loka)의 발생이라고도 부른다), 6계는 5온의 수온,상온,행온, 식온을 간단히 識온으로 정리하고 色온을 더욱 자세히 분석하여 地水火風空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법수들은 다만 인간을 해체하고 해석하여 무아와 연기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인용한 붓다와 라훌라의 대화는 다른 경전에서는 그 대상을 오온과 6입과18계와 6계로 넓혀가며 그 하나 하나가 무상하냐? 무상한 것은 고냐? 라고 붓다가 질문한다. 라훌라와 다른 제자들은 그때마다 ‘무상합니다‘ ‘고통입니다’ 라고 한결같이 대답한다. 십대 초반의 어린 라훌라가 이렇게 ‘무상합니다’ ‘고통입니다‘ 라고 하는 대답이 과연 일체 유위법(우주만물)은 그 자체가 고통이다 라는 대답이었을까?
라훌라는 5온과 12처와 18계와 6계라고 지칭되는 법들이 모두 나를 가리키고 있다는 것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그래서 몸도 무상하고 마음도 무상하고 그 무상함은 인간의 기본적인 기대와 바램과는 어긋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무상한 것은 고통’이라고 대답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들의 대화가 모든만물 =고이기에 책상이나 돌맹이도 그 자체로 고라는 식으로 이해 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붓다가 던지는 ‘色이 무상한가? 무상한 色이 고통인가 줄거움 인가?’ 라는 물음은 ‘너의 몸이 때로 병들고 상처 받는 일이 있는가? 그렇게 사랑스럽고 소중한 몸이 병이 들거나 상처를 입을 때 그것이 너에게 고통스럽겠는가? 즐겁겠는가?’라는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에 누가 ‘고통입니다’라고 대답하지 않을 것인가?
다음에 인용하는 경전은 고통이 어떤 경우에 일어나게 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Bhadrakasuttaṃ
[세존] ....."촌장이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 우루벨라깝빠 마을에서 어떤 사람들이 살해, 포박, 몰수, 모략을 당하면 그대에게 우울, 슬픔, 고통, 불쾌, 절망이 생겨납니까?"
또한 촌장이여, 이 우루벨라깝빠 마을에서 어떤 사람들이 살해, 포박, 몰수, 모략을 당하면 그대에게 우울, 슬픔, 고통, 불쾌, 절망이 생겨나지 않습니까?"
[촌장] "세존이시여, 이 우루벨라깝빠 마을에서 어떤 사람들이 살해, 포박, 몰수, 모략을 당하면 저에게 우울, 슬픔, 고통, 불쾌, 절망이 생겨납니다.그것은 제가 그들에게 집착과 탐욕이 있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이 우루벨라깝빠 마을에서 어떤 사람들이 살해, 포박, 몰수, 모략을 당하면 저에게 우울, 슬픔, 고통, 불쾌, 절망이 생겨나지 않습니다. 그것은 제가 그들에게 집착과 탐욕이 없기 때문입니다........
촌장이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대가 예전에 찌라와씨의 어머니(촌장 자신의 아내)를 만나 보지 못했고 그녀에 대해 듣지 못했을 때에도 그대에게 찌라와씨의 어머니(촌장의 아내)에 대한 집착이나 탐욕이나 사랑이 생겨났었습니까?"
[촌장] "세존이시여, 생겨나지 않았습니다."
[세존] "촌장이여 그녀를 만나 보고 나서, 그녀에 대한 것을 듣고 난후에, 찌라와씨의 어머니(촌장의 아내)에 대해서 집착이나 탐욕이나 사랑이 생겨납니까?"
[촌장] "세존이시여, 그렇습니다." ......
[세존] "촌장이여, 그대는 이와 같이 '어떠한 괴로움이 일어나더라도 그 모든 것은 집착을 뿌리로 하고 집착을 인연으로 하고 생겨난 것이다. 집착이야말로 괴로움의 뿌리이다' 라고 알아야 합니다."3)
같은 지구에 살면서, 같은 나라에 살면서도 어떤 사람의 죽음은 우리에게 슬픔을 가져다주지 못하고 어떤 사람의 죽음은 우리에게 커다란 슬픔을 가져다 준다. 이것은 촌장의 증언처럼 그 사람들이 우리가 아는 사람, 만난사람, 그래서 사랑과 우정과 집착이 생긴 사람들에게만 우리는 고통을 느끼게 된다. 같은 마을에 사는 사람일지라도 그들에 대해 집착과 사랑이 있을 경우에만 고통이 생겨난다고 촌장은 대답하고 있다. 붓다는 이와 같이 보여지고 들려지고 경험되어 집착하고 사랑하게 된 것들에 대해서 괴로움이 생겨난다고 설하고 있다. 한번도 만나지도 본 일도 없는 사람에 대해서 고통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결혼하기 전에 자신의 아내가 될 사람을 본 일도 없고, 소문을 들은 일도 없다면 그 처녀에 대해서 집착이나 사랑하는 마음은 당연히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 처녀에 대한 집착이나 사랑은 그녀를 보고 난후에 소문을 듣고 난후에 생기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행무상, 일체개고라고 할 때 제행은 나에게 경험 되어진 것이어야 하고 그 경험되어진 제행을 대상으로 나에게 집착과 갈애가 일어나고 고통이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제행무상과 일체개고의 일체(제행)는 구체적으로 나에게 경험되어지는 대상이어야 한다. 그런고로 일체(제행)개고란 ‘제행’을 대상으로 하여 나에게 생겨나는 바램과 집착이 있을 때 고가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이것을 붓다고사의 언어를 빌려 설명하자면 ‘일체개고’란 무상한 육체등에 취착하게 되면 괴로움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제행은 ‘고통의 대상’된다는 것이다.
1) 초기불전 연구원. 각묵스님
2)Taṃ kimmaññasi rāhula, rūpaṃ niccaṃ vā aniccaṃ vā'ti? 'Aniccaṃ bhante'. Yampanāniccaṃ dukkhaṃ vā taṃ sukhaṃ vā'ti? Dukkhaṃ bhante. Yampanāniccaṃ dukkhaṃ vipariṇāmadhammaṃ, kallannu taṃ samanupassituṃ ''etaṃ mama, esohamasmi, eso me attā''ti? No hetaṃ bhante. (s.n.2.p249.Bandhasuttaṃ)
3) Konu kho gāmaṇi hetu kho paccayo yena te ekaccānaṃ uruvelakappiyānaṃ manussānaṃ vadhena vā bandhena vā jāniyā vā garahāya vā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Ko pana gāmaṇi hetu ko paccayo yena te ekaccānaṃ uruvelakappiyānaṃ manussānaṃ vadhena vā bandhena vā jāniyā vā garahāya vā nū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ti.? Yesaṃ me bhante uruvelakappiyānaṃ manussānaṃ vadhena vā bandhena vā jāniyā vā garahāya vā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atthi me tesu chandarāgo. Yesaṃ me bhante uruvelakappiyānaṃ manussānaṃ vadhena vā bandhena vā jāniyā vā garahāya vā uppajjeyyuṃ sokaparidevadukkhadomanassupāyāsā atthi me tesu chandarāgo. .....Taṃ kimmaññasi gāmaṇi yadā te ciravāsissa mātā adiṭṭhā āsi assutā, ahosi ciravāsissa mātuyā chando vā rāgo vā pemaṃ vāti. No hetaṃ bhante. Dassanaṃ vā te gāmaṇi āgamma savanaṃ vā te gāmaṇi āgamma evante ahosi: ... Imināpi kho etaṃ gāmaṇi pariyāyena veditabbaṃ yaṃ kiñci dukkhaṃ uppajjamānaṃ uppajjati sabbantaṃ chandamūlakaṃ chandanidānaṃ, chandohi mūlaṃ dukkhassāti. (s.n.4.p330.Bhadrakasuttaṃ)
'후기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정도와 6바라밀의 차이 (0) | 2008.02.02 |
---|---|
[스크랩] 공의 의미와 진제속제 (0) | 2008.01.29 |
[스크랩] 여래장 사상(如來藏 思想 ) (0) | 2007.08.24 |
[스크랩] 김호성님의 글을 읽고..... (0) | 2007.08.23 |
[스크랩] ‘방편’ 쓰지 말고 ‘붓다의 언어’로 말해야 - 허정스님(불교신문) (0) | 2007.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