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니까야

(7)
법보신문-니까야 친설 논쟁 +평가(11개의 논문) 법보신문---니까야 친설 논쟁정리 (11개의 논문) + 2개의 종합평가 글의 순서는 제1.권오민-제2.마성-제3.권오민-제4.마성-제5.권오민-제6.전재성-제7.권오민-제8.황순일-제9.권오민-제10.조성택-제11.안성두 논쟁에 대한 법보신문 설명 초기불교 경전이라는 아함이나 니까야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권오민 경상대 철학과 교수의 주장과 팔리문헌연구소장 마성 스님의 반론이 본지에 이어지면서 교계의 지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근 남방불교 경전인 니까야와 남방수행법인 위빠사나가 국내에 급격히 확산되는 가운데 이번 논쟁이 단순한 ‘경전관’을 넘어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논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이들 두 학자의 주장과 반론을 게재하고 있는 법보신문 홈페이지(..
승가교육은 백지에 새로 짜야 합니다. 승가교육은 백지에 새로 짜야 합니다. 존경하는 대덕스님들께. 종단을 이끄시는 존경하옵는 여러 대덕스님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저는 미국에 살고 있는 비구니 일아입니다. 미국에서 공부를 시작한지도 18년이 됩니다. 총무원장님과 교육원장님이 새롭게 바뀌었고 이 분들은 능히 남..
돈황본단경 조계 단경과 불교 1 qwes51 2009.06.24 06:56 답변 3 | 조회 73 혜능대사가 거주하였던 산이 조계산이었어요. 오늘날 한국불교 선종의 대표종단의 이름의 하나로 되었지요? 그리고 조계종의 소의경전으로는 금강경이지요? 덕이본 법보단경은 혜능대사의 설법이 편집된 거라고 알려져 있지요? 앞으로 주로 단경..
니까야에 화엄경이 있다. 니까야에 화엄경이 있다. 소승과 대승이 이제는 초기불교와 대승불교라는 틀로 나누어져 대립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니까야가 붓다의 직설이고 '법과율'에 비교하여 정법과 사법을 판단하라는 붓다의 유지를 받들 때 그 '법과율'이란 니까야와 빠알리 율장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치만..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각묵스님 불교 TV 강의자료 불교 TV 강의자료-각묵스님 초기불교의 교학과 수행 제1: 왜 초기불교인가? 첫째, 초기불교는 불교의 시작점이다. 모든 나무에 뿌리가 있듯이 불교 2600년의 전개에도 그 뿌리가 있다. 뿌리를 거부하고 나무가 살아남을 수 없듯이 뿌리를 모르는 불교는 역사를 아는 이 시대의 외면을 받게 될 것이다. 둘..
부처님 원음 초기불교를 쉽게 공부하려면? [正法正見] 부처님원음 쉽게 공부하려면? snimjoa 2009.04.11 16:22 답변 1 | 조회 51 제가 오랫동안 대승경전만 읽어왔었는데, 근본불교 초기불교 아함경 위빠사나를 알게 되면서 석가모니부처님의 원음이 있고, 대승경전은 부처님의 원음이 아니라 대승논사들이 쓴 것이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대승경전은..
빠알리초기경전 번역 8가지 이유(각묵스님) 빠알리초기불전번역불사 8가지이유(각묵스님-BBS초대석) 이 글은 네이버 지식인 snimjoa님이 쓰신 글입니다. 부처님의 원음은 니까야와 아함경이라고 합니다. 빠알리니까야의 한글번역불사를 하시는 분들은 초기불전연구원의 각묵스님과 대림스님, 그리고 팔리성전협회의 전재성거사님이 계십니다. 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