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우경(賢愚經)〉은 전체 13권 62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각 품이 모두 개별적으로 서본결의 독립경전의 구성요소를 갖추고 있으므로 62개 경전의 전집이라고 할 수 있다. 원위(元魏) 시대(A.D. 445)에 혜각(慧覺)스님에 의해 번역되었다. 한글대장경 제 18권, 고려대장경 983(29-1002), 대정신수대장경 202(4-349)에 있다. 후대의 것인 송(宋), 원(元), 명(明)의 세 판본은 69품으로 확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에 나오는 에피소드 중 열 가지가 〈찬집백연경(撰集百緣經)〉에도 있는 점은 두 경전의 연관성을 암시한다. 〈현우경(賢愚經)〉은 〈찬집백연경〉, 〈잡보장경(雜寶藏經)〉과 함께 3대 비유 경전으로 꼽힌다. 부처님과 비구, 바라문, 거사(居士), 새와 짐승 등 다양한 인연 이야기로 거룩한 현자[賢聖]과 어리석은 범부[凡愚]를 대비시킴으로써, 현명함과 어리석음에 대한 교훈을 일깨운다. 특히 과거 현재 미래의 원인과 결과가 냉엄하다는 인과응보의 법칙이 중심주제다. 불자라면 누구나 한 번 쯤은 들었을 가난한 여인 난타의 등불[貧女一燈] 이야기는 이 경의 제 3권 제 20, 빈녀난타품(貧女難陀品)에 실려 있다.
현우경은 13권이 있으며, 제3권에 부처님 오신날을 맞아 '貧者一燈(빈자일등)'에 대한 유래를 찾아 보았습니다.
가난한 여인이 켠 등은 지금 처럼 연등이 아니고 기름으로 타는 호롱불이었습니다.
현우경 3권 20.빈녀난타품(貧女難陁品)
貧女難陁品 第二十丹本此品在第十一卷爲五十三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如是我聞: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 그 나라에 난타(難陁)라는 여자가 있었다. 그녀는 가난하고 고독하여 구걸하면서 살아갔다.
그녀는 국왕과 신민의 노소들이 모두 부처님과 스님들께 공양하는 것을 보고 가만히 생각하였다.
‘나는 전생에 무슨 죄로 빈천한 집에 태어나, 복밭을 만났건마는 종자가 없을까?’
못내 괴로워하고 마음 아파하면서 미미한 공양이나마 기약하고, 곧 나가 구걸하기를 늦도록 쉬지 않았으나 겨우 돈 1전을 얻었을 뿐이다.
그는 그것을 가지고 기름집으로 가서 기름을 사려 하였다. 기름집 주인은 물었다.
“1전어치 기름을 사봐야, 너무 적어 쓸 데가 없을 텐데 무엇에 쓰려는가?”
난타는 그 심정을 자세히 이야기하였다.
기름집 주인은 그를 가엾이 여겨 기름(油)을 갑절로 주었다. 그는 그것을 얻고 매우 기뻐하여 등불 하나를 만들어 가지고 절로 갔다. 그것을 부처님께 바친 뒤 부처님 앞에 있는 여러 등불 가운데 두었다. 그리고 서원을 세웠다.(油主憐愍,增倍與油。得已歡喜,足作一燈,擔向精舍,奉上世尊,置於佛前衆燈之中,自立誓願)
‘저는 지금 빈궁하여 이 작은 등불로 부처님께 공양합니다. 이 공덕으로써 저로 하여금 내생에 지혜의 광명을 얻어 일체 중생의 어두움을 없애게 하소서'(我今貧窮,用是小燈,供養於佛。以此功德,令我來世得智慧照,滅除一切衆生垢闇)
이렇게 서원을 세우고는 부처님께 예배하고 떠났다.
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爾時國中,有一女人名曰難陁,貧窮孤獨,乞丐自活。見諸國王臣民大小,各各供養佛及衆僧,心自思惟:“我之宿罪,生處貧賤,雖遭福田,無有種子。”酸切感傷,深自咎悔,便行乞丐,以俟微供。竟日不休,唯得一錢,持詣油家,欲用買油。油家問曰:“一錢買油,少無所逮,用作何等?”難陁具以所懷語之。油主憐愍,增倍與油。得已歡喜,足作一燈,擔向精舍,奉上世尊,置於佛前衆燈之中,自立誓願:“我今貧窮,用是小燈,供養於佛。以此功德,令我來世得智慧照,滅除一切衆生垢闇。”作是誓已,禮佛而去。
밤이 지나 다른 등불은 모두 꺼졌으나 그 등불만은 홀로 켜져 있었다.
그때 목련(目連)은 그 날 당번이 되었다. 날이 밝은 것을 보고 등불을 걷어 치우려다가 그 한 등불만이 홀로 밝게 타면서 심지가 닳지 않은 것이 새로 맨 등불 같은 것을 보았다. 그는 낮에 켜는 것은 아무 소용도 없다고, 그것을 꺼 두었다가 저녁에 다시 켜려고 손으로 끄려 하였다. 그러나 불꽃은 여전하여 흔들리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옷자락으로 부쳤으나 불꽃은 꼼짝도 하지 않았다.
乃至夜竟,諸燈盡滅,唯此獨燃。是時目連,次當日直,察天已曉,收燈摒擋,見此一燈,獨燃明好,膏炷未損,如新燃燈,心便生念:“白日燃燈,無益時用。欲取滅之,暮規還燃。”卽時擧手,扇滅此燈,燈焰如故,無有虧滅;復以衣扇,燈明不損。
부처님께서는 목련이 그 등불을 끄려고 하는 것을 보시고 말씀하셨다.
“지금 그 등불은 너희 성문들로서는 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비록 네가 4해(海)의 물을 거기에 쏟거나 산바람으로 그것을 불더라도 그것은 끌 수 없다. 왜냐 하면 그것은 일체 중생을 두루 건지려고 큰 마음을 낸 사람이 보시한 물건이기 때문이니라.”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자, 난타 여인은 다시 부처님께 나아가 땅에 엎드려 예배하였다. 부처님께서는 곧 그에게 수기를 주셨다.
“너는 오는 세상 두 아승기와 백 겁 동안에 부처가 되어 이름을 등광(燈光)이라 하고, 10호(號)를 완전히 갖출 것이다.”
이에 난타는 수기를 받고 기뻐하여 꿇어앉아 출가하기를 원하였다. 부처님께서는 곧 허락하시어 그는 비구니가 되었다.
佛見目連欲滅此燈,語目連曰:“今此燈者,非汝聲聞所能傾動,正使汝注四大海水,以用灌之,隨嵐風吹,亦不能滅。所以爾者?此是廣濟,發大心人所施之物。”佛說是已,難陁女人,復來詣佛頭面作禮,於時世尊,卽授其記:“汝於來世二阿僧祇百劫之中,當得作佛,名曰燈光,十號具足。”於是難陁,得記歡喜,長跪白佛,求索出家。”佛卽聽之,作比丘尼。
혜명(慧命) 아난과 목련은 그 가난한 여자가 고액을 면하고 집을 떠나 수기 받는 것을 보고 꿇어앉아 합장하고 부처님께 아뢰었다.
“난타 여인은 전생에 무슨 업을 지어 오랫동안 구걸하면서 살아 왔으며, 또 무슨 행으로 말미암아 부처님을 만나 출가하여 네 무리들이 공경하고 우러르면서 다투어 공양하려 합니까?”
慧命阿難、目連,見貧女人得免苦厄出家受記,長跪合掌,前白佛言:“難陁女人,宿有何行,經爾許時,貧乞自活?復因何行,値佛出家,四輩欽仰諍求供養?”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과거에 가섭이라는 부처님이 계셨다. 그때에 어떤 거사의 부인은 몸소 나아가 부처님과 비구 스님들을 청하였다. 그러나 부처님께서는 어떤 가난한 여자에게 공양받기를 먼저 허락하고 계셨다. 그 여자는 이미 아나함의 도를 얻은 여자였다.
그때 장자의 부인은 자기의 재산이 많은 것을 믿고 그 가난한 여자를 업신여겨, 부처님께 먼저 그 청을 받은 것을 불쾌히 여겨 말하였다.
‘세존께서는 어찌하여 제 공양을 받지 않고 저 거지의 청을 먼저 받으셨습니까?’
이렇게 나쁜 말로 성인을 업신여겼다. 그 뒤로 5백 년 동안 그는 언제나 빈천한 거지 집에 태어났다. 그러나 그 뒷날 부처님과 스님들을 공양하고 공경하며 기뻐하였기 때문에 지금 부처님을 만나 집을 나와 수기를 받았고 온 나라가 공경하고 우러르느니라.”
佛言阿難:“過去有佛,名曰迦葉。爾時世中,有居士婦,躬往請佛及比丘僧,然佛先已可一貧女,受其供養,此女已得阿那含道。時長者婦,自以財富,輕忽貧者,嫌佛世尊先受其請,便復言曰:‘世尊云何不受我供,乃先應彼乞人請也?’以其惡言,輕忽賢聖,從是以來,五百世中,恒生貧賤乞丐之家。由其彼日供養如來及於衆僧,敬心歡喜,今値佛世,出家受記,合國欽仰。”
그때 대중들은 부처님의 이 말씀을 듣고 모두 기뻐하였다.
그리고 그 나라 왕과 신민들은 그 가난한 여자가 부처님께 등불 하나를 바침으로써 부처가 되리라는 수기를 받았다는 말을 듣고 모두 흠앙하는 마음을 내어 저마다 훌륭한 의복 등 네 가지 물건을 보시하여 모자람이 없게 하였다.
그리하여 귀천 노소를 막론한 온 나라 남녀들이 향유(香油) 등불을 다투어 준비하여 기원(祇洹)으로 가지고 가서 부처님께 공양하였다. 사람은 너무 많고 등불은 기원 수림의 사방에 가득하여 마치 별들이 공중에 흩어져 있는 것 같았다. 날마다 이리하여 일곱 밤을 지났다.
爾時衆會,聞佛說此已,皆大歡喜。國王臣民,聞此貧女奉上一燈受記作佛,皆發欽仰,竝各施與上妙衣服,四事無乏。合國男女,尊卑大小,競共設作諸香油燈,持詣祇洹,供養於佛。衆人猥多,燈滿祇洹,諸樹林中,四帀彌滿,猶如衆星列在空中,日日如是,經於七夜。
그때 아난은 매우 기뻐하여 부처님의 여러 가지 덕행을 찬탄하고 아뢰었다.
“알 수 없습니다. 세존께서는 과거 세상에 어떤 선(善)의 뿌리를 심었기에 이런 한량없는 등불 공양의 과보를 받습니까?”
爾時阿難,甚用歡喜,嗟歎如來若干德行,前白佛言:“不審,世尊!過去世中,作何善根,致斯無極燈供果報?”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먼 옛날 두 아승기겁의 91겁 전에 이 염부제에, 이름이 파새기라는 큰 나라 왕이 있었다. 그는 이 세계 8만 4천 작은 나라를 맡아 있었다. 그가 태자를 낳았는데 몸은 자주 금빛이요,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과 여든 가지 특별한 모양을 갖추었으며, 그 정수리에는 저절로 된 보배가 있어 여러 가지 빛나는 모양이 사람의 눈을 부시게 하였다.
왕은 관상쟁이를 불러 그 상의 길흉을 점치게 하고, 이름을 지으라 하였다. 관상쟁이는 그 기묘한 상을 보고 손을 들어 외쳤다.
‘아, 훌륭하고 훌륭하여라. 이제 이 태자는 이 세상의 천상과 인간에서 짝할 이가 없습니다. 만일 집에 있으면 전륜성왕이 될 것이요, 집을 떠나면 스스로 깨치는 부처가 될 것입니다.’
관상쟁이는 이어 왕에게 물었다.
‘태자가 날 때에 어떤 이상한 일이 있었습니까?’
왕은 대답하였다.
‘정수리에 빛나는 보배가 저절로 솟아나 있었다.’
그래서 곧 이름을 지어 늑나식기(勒那識祇)―진(晉)나라 말로는 보계(寶髻)라는 뜻이다―라 하였는데, 그는 차츰 장성하여 집을 떠나 도를 배워 부처가 되었다. 그리하여 인민들을 교화하여 많은 사람을 제도하였다.
佛告阿難:“過去久遠二阿僧祇九十一劫,此閻浮提,有大國王,名波塞奇,主此世界八萬四千諸小國土。王大夫人,生一太子,身紫金色,三十二相、八十種好,當其頂上,有自然寶,衆相晃朗,光曜人目。卽召相師,占相吉凶,因爲作字。相師披看,見其奇妙,擧手唱言:‘善哉善哉!今此太子,於諸世閒天人之中無與等者,若其在家,作轉輪聖王,若其出家,成自然佛。’相師白王:‘太子生時,有何異事?’王答之言:‘頂上明寶,自然隨出。’便爲立字字勒那識祇,晉言寶髻。年漸長大,出家學道,得成爲佛,教化人民,度者甚多。
그때 그 부왕은 부처님과 스님들을 청하여 석 달 동안 공양하였는데, 거기에는 이름이 아리밀라(阿梨蜜羅)―진(晉)나라 말로는 성우(聖友)라는 뜻이다―라는 비구가 있었다. 이 비구는 등을 만들어 석 달 동안 공양하는 시주를 구하려고 날마다 성으로 들어가 여러 장자와 거사와 인민들에게 가서 소유(蘇油) 등불의 재료를 구하였다.
爾時父王,請佛及僧,三月供養。有一比丘,字阿梨蜜羅,晉言聖友,保三月中,作燈擅越,日日入城,詣諸長者居士人民,求索蘇油燈炷之具。
그때 그 나라 공주 모니(牟尼)는 높은 다락에 올라 그 비구가 날마다 성에 들어와 무엇을 구하는 것을 보고, 마음으로 공경하고 존중하여 사람을 보내어 물었다.
‘존자는 늘 그처럼 수고하시는데, 무슨 일을 경영하십니까?’
비구는 대답하였다.
‘나는 지금 석 달 동안 부처님과 비구 스님들을 위해 등불을 켜려고 시주를 구합니다. 그래서 성에 들어가 여러 현자들을 찾아다니면서 소유 등불 재료를 구하고 있습니다.’
사신이 돌아가 보고하자 공주는 기뻐하면서 아리밀라에게 말을 전하였다.
‘지금부터는 다니면서 구걸하지 마십시오. 제가 등을 만들 재료를 공급하겠습니다.’
비구는 그리 하라 하였다. 그 뒤로 왕의 딸은 늘 소유 등불의 재료를 절에 보내었다.
時王有女,名曰牟尼,登於高樓,見此比丘日行入城,經營所須,心生敬重,遣人往問:‘尊人恒爾勞苦,何所營理?’比丘報言:‘我今三月,與佛及僧,作燈檀越,所以入城詣諸賢者,求索蘇油燈炷之具,使還報命。’王女歡喜,又語聖友:‘自今已往,莫復行乞,我當給汝作燈之具。’比丘可之。從是已後,常送蘇油燈炷之具,詣於精舍。
아리밀라 비구는 날마다 주선하여 등불을 켜 공양하고 일체 중생을 두루 제도할 서원을 세웠는데, 정성이 지극하고 독실하였다. 부처님께서는 그에게 수기를 주셨다.
‘너는 오는 세상 아승기겁 뒤에 부처가 되어 이름을 정광(定光)이라 할 것이요, 10호(號)를 완전히 갖출 것이다.’
왕의 딸 모니는 아리밀라 비구가 장차 부처가 되리라는 수기를 받았다는 말을 듣고 속으로 생각하였다.
‘부처님께 바치는 등불은 모두 내 소유요, 비구는 그것을 주선만 하였다. 그런데 지금 그 비구는 기별을 받는데 나만 홀로 받지 못하였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부처님께 나아가 자기 심정을 하소연하였다. 부처님께서는 모니에게도 수기를 주시면서 말씀하셨다.
‘너는 오는 세상 두 아승기의 91겁 뒤에 부처가 되어 이름을 석가모니라 할 것이요, 10호를 완전히 갖출 것이다.’
이에 공주 모니는 부처님의 예언을 듣고, 기쁨이 마음 속에서 터져 나오면서 갑자기 남자로 변하였다. 그가 거듭 부처님 발에 예배하고 사문이 되기를 원하자, 부처님께서는 곧 허락하셨다.
그는 용맹스럽게 정진하면서 부지런히 닦기를 쉬지 않았느니라.”
聖友比丘,日日經營,燃燈供養,發意廣濟誠心款著。佛授其記:‘汝於來世阿僧祇劫,當得作佛,名曰定光,十號具足。’王女牟尼,聞聖友比丘授記作佛,心自念言:‘佛燈之物,悉是我有,比丘經營,今已得記,我獨不得。’作是念已,往詣佛所,自陳所懷。佛復授記,告牟尼曰:‘汝於來世二阿僧祇九十一劫,當得作佛,名釋迦牟尼,十號具足。’於是王女,聞佛授記,歡喜發中,化成男子,重禮佛足,求爲沙門。佛便聽之,精進勇猛,勤修不息。”
부처님께서는 이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그때의 아리밀라 비구는 다른 사람이 아니라 과거의 정광부처님이 바로 그 이요, 공주 모니는 다른 사람이 아니라 이 내 몸이니라.
나는 옛날에 등불을 보시함으로 해서 그때부터 수없는 겁 동안에 천상과 인간에서 저절로 복을 받았고, 몸은 특별하여 다른 사람보다 뛰어났으며, 지금에 부처가 되었으니 그 등불의 과보를 받은 것이니라.”
佛告阿難:“爾時比丘阿梨蜜者,豈異人乎?乃往過去定光佛是。王女牟尼,豈異人乎?我身是也。因由昔日燈明布施,從是已來,無數劫中,天上世閒受福自然,身體殊異超絕餘人,至今成佛,故受此諸燈明之報。”
그때 대중들은 부처님 말씀을 듣고 초과(初果)에서 4과(果)까지 받은 이도 있고, 연각(緣覺)의 선근을 심은 이와 위없는 바르고 참된 도의 마음을 낸 이도 있었다.
혜명(慧命) 아난과 대중들은 모두 땅에 엎드려 예배하고 기뻐하면서 받들어 행하였다.2)
時諸大會聞佛所說,有得初果乃至四果,或種緣覺善根之者,有發無上正眞道意。慧命阿難,及諸衆會,咸共頂戴,踊躍奉行。
賢愚經卷第三
乙巳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를 사랑하기에 너를 떠난다. 이것이 내 사랑 법이다? (0) | 2023.05.28 |
---|---|
부처님 오신 날에 왜 연등을 달까? (0) | 2023.05.26 |
윤석렬 퇴진 설문조사에 응답한 스님들이 보내온 문자전체 (0) | 2023.05.11 |
朝鮮獨立에 對한 感想槪要-한용운 스님 (1) | 2023.05.09 |
윤석열 퇴진 범불교도 시국선언문 (1)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