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기불교

사분율 중학법(100)과 빨리율 중학법(75) 비교

사분율 중학법(100)과     빨리율 중학법(75) 비교

사분율 중학법(100)

빨리율 중학법(75) 
 2개
1) 속옷을 단정하게 입어라. 

2) 삼의를 단정하게 입어라.
옷  2개
1.
아랫가사를 너무 헐렁하거나 하여 단정치 못하게 입어서는 안 된다

2. 윗가사를 단정치 못하게 입어서는 안 된다.

 25개   
3) 옷을 걷어 부치고 신도 집에 가지 말라.

 4) 옷을 걷어 부치고 신도 집에 앉아 있지 말라.
5) 옷으로 목을 둘러싸고 신도 집에 들어가지 말라.
6) 옷으로 목을 둘러싸고 신도 집에 앉아 있지 말라.
7) 머리를 덮고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8) 머리를 덮고 신도의 집에 앉아 있지 말라.
9) 뜀박질하면서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10) 뜀박질하여 가서 신도의 집에 앉아 있지 말라.
11) 쪼그리고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12 뒷짐지고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13) 뒷짐지고 신도의 집에 들어가서 앉아 있지 말라.  
14) 몸을 흔들면서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15) 몸을 흔들면서 신도의 집에 앉아 있지 말라.
16) 팔을 흔들면서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17) 팔을 흔들면서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18) 몸을 잘 가리고 신도의 집에 들어가라.
19) 몸을 잘 가리고 신도의 집에 앉거라.
20) 좌우를 두리번거리면서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21) 좌우를 두리번거리면서 신도의 집에 앉아 있지 말라.
22) 조용히 신도의 집에 들어가라.
23) 조용히 신도의 집에 앉거라.
24) 희롱해 웃으면서 신도의 집에 들어가지 말라.
25) 희롱해 웃으면서 신도의 집에 앉아있지 말라.
마을  24개  +1
3. 
다리, 무릎이나 가슴을 가리지 않고 마을로 나가서는 안 된다.

4. 다리, 무릎이나 가슴을 가리지 않고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5. 팔과 다리를 휘젓거나 주저주저하면서 마을에 가서는 안 된다.
6. 팔과 다리를 휘젓거나 주저주저하면서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7. 눈을 두리번거리면서 마을에 가서는 안 된다.
8. 눈을 두리번거리면서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9. 가사를 너무 추켜올리고 마을에 가서는 안 된다.
10. 가사를 너무 추켜올리고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11. 비구는 너무 크게 웃으면서 마을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
12. 너무 크게 웃으면서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13. 날카로운 비명소리 같은 큰 소리를 내면서 마을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
14. 날카로운 비명소리 같은 큰 소리를 내면서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15. 몸을 너무 흔들면서 마을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
16. 몸을 너무 흔들면서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17. 팔을 너무 흔들면서 마을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
18. 팔을 너무 흔들면서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19. 머리를 흔들면서 마을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
20. 머리를 흔들면서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21. 비구는 팔꿈치를 굽혀 손을 허리를 대고 마을에 가서는 안 된다.
22. 팔꿈치를 굽혀 손을 허리를 대고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23. 머리를 덮고 마을에 가서는 안 된다.
24. 머리를 덮고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25. 발뒤꿈치나 발가락 끝으로만 걸어서 마을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
26. 양 무릎을 양팔로 껴안거나 천으로 묶어서 마을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23개  
 26) 오관(五觀)을 하면서 밥을 먹어라.

 27) 발우 안에 골목하게 밥을 받아라.    
 28) 발우 안에 골목하게 국을 받아라.
 29) 국과 밥을 함께 받아라.
 30) 밥을 차곡차곡 먹어라.
 31) 밥을 한 복판에서 파서 먹지 말라.
 32) 자기가 먹기 위하여 국과 밥을 달라고  하지 말라.
 33) 밥으로 국을 덮고 다시 받으려 하지 말라.
 34) 곁에 발우를 보고 혐의를 내지 말라.
 35) 발우를 관념 하면서 먹어라.
 36) 밥을 크게 뭉쳐서 먹지 말라.
 37) 입을 벌리고 밥을 먹지 말라.
 38) 밥을 머금고 말하지 말라.
 39) 밥을 입에 던져 먹지 말라.
 40) 밥을 비벼 먹지 말라.
 41) 볼을 볼록거리면서 먹지 말라.   
 42) 밥을 씹되 소리 내어 먹지 말라.
 43) 밥을 빨아드리면서 먹지 말라.
 44) 혀로 핥아먹지 말라.
 45) 손으로 밥을 털면서 먹지 말라.
 46) 손으로 밥을 잡아 헤치면서 먹지 말라.
 47) 더러운 손으로 식기를 잡지 말라.
 48) 발우 씻은 물을 신도의 집에 함부로 버리지 말라.
 

탁발공양 30개  -7
27. 공양 물에 sati를 두지 않고 산란한 마음으로 탁발을 가서는 안 된다.
28. 
공양 물에 sati를 두지 않고 산란한 마음으로 탁발에서의 공양 물을 받 아서는 안 된다. 눈은 발우에 맞추거나 8뼘이 못 미치는 곳에 시선을 둔다.

29. 밥에 비하여 많은 양의 카레를 받아서는 안 된다. 허용된 비율은 밥 4에 카레는 1이다.
30. 발우 가장자리가 넘치도록 음식을 받아서는 안 된다.
31. 비구는 산란한 마음으로 공양을 해서는 안 된다. Sati를 두고 고마운 마 음으로 먹어야 한다.  -오관계
32. 두리번거리면서 공양을 해서는 안 된다. 눈은 발우에 맞추어야 한다.
33. 좌차순으로 공양하여야 한다.마음대로 음식을 퍼서는 안 된다.
34. 밥보다 많은 카레를 먹어서는 안 된다.  4에 카레는 1이다.
35. 밥을 발우에 담아두고 가운데부터 먹으면 안 된다.가장자리에서부터 먹 어야 한다.
36. 카레를 밥으로 덮어두고 더 많은 카레를 먹어서는 안 된다.
37. 배당량 보다 많은 음식을 요구해서는 안된다. 아픈 비구는제외한다.
38. 남의 결점을 찾기위해 다른 비구의 발 우를 들여다봐서는 안 된다.
39. 한 입에 너무 많은 밥을 넣어서는 안 된다. 닭의 알과 공작의 알 사이의 크기가 적당하게 한 입에 넣을 수 있는 양()이다.
40. 한 입 분량에 맞게 둥글게 만들어 먹어야 한다.
41. 음식을 입 가까이 가져오기도 전에 입을 크게 벌려서는 안 된다.
42. 먹고 있는 동안에 손가락을 입 속에 넣어서 는 안 된다.
43. 음식을 입에 넣고 말을 해서는 안 된다.
44. 음식을 입 속으로 던져 넣으면서 먹어서는 안 된다.
45. 베어먹어서는 안 된다. 5가지 음식 외에 과일샐러드와 색다른 음 식은 잘라서 먹을 수는 있다.
46. 음식을 양 볼까지 가득 넣어 먹어서는 안 된다.
47. 손을 흔들면서 먹으면 안 된다.
48. 밥알을 흘리면서 먹으면 안 된다.
49. 혀를 밖으로 날름거리면서 먹으면 안 된다.
50. 먹을 때 쩝쩝 소리내면서 먹으면 안 된다.
51. 비구는 빨아먹는 소리를 내면서 공양해서는 안 된다. 합1
52. 공양하면서 밥 넣는 손을 핥아서는 안 된다.
53. 공양하면서 손가락으로 발우를 박박 긁어서 먹으면 안 된다.
54. 공양하면서 혀로 입술을 핥아서는 안 된다.
55. 먹는 손으로 물 잔을 잡아서는 안 된다.
56. 밥알이 있는 발우 씻은 물을 마을에 버려서는 안 된다.

 
20개  
49) 환자를 제외하고 옷 걷어붙인 이에게 설법해 주지 말라.

50) 환자를 제외하고 옷을 목을 두른 이에게 설법하지 말라.
 51) 환자를 제외하고 머리를 덮은 이에게 설법하지 말라.
 52) 환자를 제외하고 머리를 둘러싼 이에게 설법하지 말라.
 53) 환자를 제외하고 뒷짐 짚은 이에게 설법하지 말라.
 54) 환자를 제외하고 가죽신 신은 이에게 설법하지 말라.  -샌달
 55) 환자를 제외하고 나막신 신은 이에게 설법하지 말라.  -신발
 56) 환자를 제외하고 말을 타고 있는 이에게 설법하지 말라.
-------
 57)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자는 않고 자기는 서서 설법하지 말라.  
 58)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자는 누웠는데 자기는 안아서 벌법하지 말라.
59)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자는 자리에 있고 자기는 비좌(非座)에 있으면서 설법하지 말라.
 60)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자는 윗자리에 있고 자기는 아래에 있으면서 설법하지 말라
61)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자는 앞서가고 자기는 뒤따라가면서 설법하지말라. 
 62)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자는 높은 경행처에 있고, 자기는 낮은 경행처에  있으면서  설법하지 말라.
 63)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자는 길에 있고 자기는 길 아닌 데 있으면서 설법하지 말라.
 64) 두 사람이 손을 마주 잡고 길 복판으로 다니지 말라.
 65) 부득이한 때를 제외하고 나무에 올라가되 한 길 이상 오르지 말라.
66) 주머니에 발우를 담아 지팡이 끝에 걸어서 어깨에 메고 다니지 말라.
67)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사람이 지팡이를 가졌거든 설법해 주지 말라.
 68)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사람이 검을 가졌거든 설법해 주지 말라.
69)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사람이 창을  가졌거든 설법해 주지 말라.
 70)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사람이 칼을 가졌거든 설법해 주지 말라.
71) 환자를 제외하고 청법 할 사람이 일산을 받았거든 설법해 주지 말라.
설법  16개   +4
57. 
우산을 쓰고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58. 지팡이를 쥔 사람에게는 설법해서는 안 된다.
59. 칼 종류를 가진 사람에게는 설법해서는 안 된다.
60. 활이나 무기를 가진 사람에게는 설법해서는 안 된다.
61. 비구는 샌달을 신고 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62. 신발을 신고 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63. 수레 등 탈것을 타고 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64. 벤치나 침대에 누워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65. 손으로 무릎을 감싸거나 천으로 묶어서 앉아 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66. 머리카락이 들어나지 않게 머리를 덮은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67. 담요나 천으로 머리를 감싼 사람에게는 설법해서는 안 된다.
68. 스님은 땅에 앉았는데 설법을 듣고자 하는 사람은 보다 높은 곳에 앉아 있으면 설법해서는 안 된다.
69. 스님보다 높은 곳에 앉아 있는 사람에게 설법해서는 안 된다.
70. 스님은 서있는데 듣고자 하는 사람이 앉아 있으면 설법해서는 안 된다.
71. 걸어가면서 설법해서는 안 된다.
72. 스님은 길가에나 길이 아닌 곳으로 걸어가는데 듣는 사람이 길에 있으 면 설법해서는 안 된다.

3개
192) 환자를 제외하고 풀 위에 대소변을 보거나 코 풀고 침 뱉지 말라.

 193) 환자를 제외하고 깨끗한 물에 대소변을 보거나 코 풀고 침 뱉지 말라.
 194) 환자를 제외하고는 서서 대소변을 보지 말라.
대소변 3개
73. 
서서 대소변을 보아서는 안 된다.

74. 풀 위에 대소변을 보거나 침을 뱉어서는 안 된다.
75. 물에 대소변을 보거나 침을 뱉어서는 안 된다.
한 길 넘게 나무에 오르지 않는다(上過人樹戒)    1        0 -1
불탑 26개
 203) 수호함을 제외하고 탑 안에서 자지 말라.

 204) 견뢰히 함을 제외하고 탑 안에 재물을 간직하지 말라.
 205) 가죽신을 신고 탑 안에 들어가지 말라.
 206) 가죽신을 들고 탑 안에 들어가지 말라.
 207) 가죽신을 신고 탑을 돌지 말라.
 208) 목 짧은 가죽신을 신고 탑 안에 들어가지 말라.
 209) 목 짧은 가죽신을 들고 탑 안에 들어가지 말라.
 210) 탑 아래에서 밥 먹고 풀고 휴지 등을 버려 지저분하게 하자 말라.
 211) 시체를 메고 탑 아래로 지나가지 말라.
 212) 탑 아래에 시체를 묻지 말라.
 213) 탑 아래에서 화장하지 말라.
 214) 탑 쪽으로 향하여 화장하지 말라. 
 215) 탑 주위에서 화장하지 말라.
 216) 죽은 이의 물건을  가지고 탑 아래로 지나가지 말라.
 217) 탑 아래에서 대소변을 보지 말라.
 218) 탑을 향하여 대소변을 보지 말라.
 219) 탑 주위에서 대소변을 보지 말라.
 220) 불상을 모시고 대소변을 보지 말라. 
 221) 탑 아래에서 양치질을 하지 말라.
 222) 탑을 향하여 양치질을 하지 말라.
 223) 탑 주위에서  양치 지을 하지 말라.
 224) 탑 아래에서 코 풀고 침 뱉지 말라. 
 225) 탑을 향하여 코 풀고 침 뱉지 말라.
 226) 탑 주위에서 코풀고 칩 뱉지 말라.
 227) 탑을 향하여 다리를 뻗지 말라.
 228) 불상은  아래에 모시고 자기는 상방에 있지 말라.
0+ 26



* 평가:

사분율이 빠알리율보다 25개가 더 많은데 그것은 탑과 불상에 관련된 조항이 첨가되었기 때문이다. 탁발공양 조항이 빠알리율은 30개인데 사분율이 23개인것은 밥먹는 자잘한 조항이 통합정리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조항을 줄이는 유연한 태도와 안목은 탑과 불상을 첨가한 것과 더불어 장아함경을 전한 법장부의 특징이다. 탑과불상을 뒤에 첨가하였으면 맨뒤에 배치해야 하는데 설법에 관련된 조항 중간에 26개를 집어 넣은 것은 특이하다. 탑과 불상에 관련된 조항에 육군비구들의 인연담을 붙인 것도 특이하다. 불탑과 불상은 불멸후 500년 뒤에 나타난것인데 육근비구들과의 시대간극이 너무 크다. 빠알리율에는 지금까지 불탑에 관련된 조항이 없다. 15부파에서 유독 사분율만이 탑과불상에 관련된 조항을 가지고 있는것을 보면 법장부에 속한 승려들은 시대와 환경에 유연한 종파였을 것이다. 대승불교를 탄생시킨 자들의 유연성이 보인다.  

 

 

빠알리 율장과 사분율의 비교

1. 빠알리 율장과 사분율(법장부 소속)

  1) Mahavibhanga 대분별(大分別)=비구분별(比丘分別): 227 戒
    (1) Parajika 바라이법(波羅夷法) …… 4 戒
    (2) Sanghadisesa 승잔법(僧殘法) …… 13 戒
    (3) Aniyata 부정법(不定法) …… 2 戒
    (4) Nissaggiya pacittiya 사타법(捨墮法) …… 30 戒
    (5) Pacittiya 바일제법(波逸提法) …… 92 戒 +2
    (6) Patidesaniya 제사니법(提舍尼法) …… 4 戒
    (7) Sekhiya 중학법(衆學法) …… 75 戒
    (8) Adhikaranasamatha 멸쟁법(滅諍法) …… 7 戒

 

1) Mahavibhanga 대분별(大分別) = 비구분별(比丘分別): 250 戒
    (1) Parajika 바라이법(波羅夷法) …… 4 戒
    (2) Sanghadisesa 승잔법(僧殘法) …… 13 戒
    (3) Aniyata 부정법(不定法) …… 2 戒
    (4) Nissaggiya pacittiya 사타법(捨墮法) …… 30 戒
    (5) Pacittiya 바일제법(波逸提法) …… 90 戒
    (6) Patidesaniya 제사니법(提舍尼法) …… 4 戒
    (7) Sekhiya 중학법(衆學法) …… 100 戒   +25
    (8) Adhikaranasamatha 멸쟁법(滅諍法) …… 7 戒


 2) Bhikkhuni-vibhanga 비구니분별(比丘尼分別): 311 戒
    (1) Parajika 바라이법(波羅夷法) …… 8 戒
    (2) Sanghadisesa 승잔법(僧殘法) …… 17 戒
    (3) Nissaggiya pacittiya 사타법(捨墮法) …… 30 戒
    (4) Pacittiya 바일제법(波逸提法) …… 166 戒
    (5) Patidesaniya 제사니법(提舍尼法) …… 8 戒
    (6) Sekhiya 중학법(衆學法) …… 75 戒
    (7) Adhikaranasamatha 멸쟁법(滅諍法) …… 7 戒

 

Bhikkhuni-vibhanga = 비구니분별(比丘尼分別): 348 戒
    (1) Parajika 바라이법(波羅夷法) …… 8 戒
    (2) Sanghadisesa 승잔법(僧殘法) …… 17 戒
    (3) Nissaggiya pacittiya 사타법(捨墮法) …… 30 戒
    (4) Pacittiya 바일제법(波逸提法) …… 178 戒
    (5) Patidesaniya 제사니법(提舍尼法) …… 8 戒
    (6) Sekhiya 중학법(衆學法) …… 100 戒
    (7) Adhikaranasamatha 멸쟁법(滅諍法) …… 7 戒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