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9D%BC%ED%9D%90%EB%AF%B8%EA%B3%84_%EB%AC%B8%EC%9E%90
브라흐미계 문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각 지방문자로 나타낸 주별 공용어 브라흐미계 문자(Brahmi系文字), 또는 인도계 문자(印度系文字)는 브라흐미 문자를 시조로 하는 인도 아대륙,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쓰이는 아부기다 꼴 문
ko.wikipedia.org
迦(ka) 佉(kha) 伽(ga) 恒(gha) 我(ṅa)
遮(ca) 車(cha) 闍(ja) 膳(jha) 喏(ña)
吒(ṭa) 佗(ṭha) 茶(ḍa) 祖(ḍha) 拏(ṇa)
多(ta) 他(tha) 陀(da) 彈(dha) 那(na)
波pa) 頗(pha) 婆(ba) 滼(bha) 摩(ma)
蛇(ya) 囉(ra) 羅(la) 和(va)
奢(śa) 沙(sa) 娑(ṣa)
呵(ha)
茶(ḷam) 魯(r) 流(ṛ) 廬(ḷ) 樓(ī)


팔리어의 자음은 33개이며 33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다. • 이에 비해 산스크리트어는 35개의 자음에 35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 다.



훈민정음의 이체자는 pali의 섞인음과 동일하다. y. l. r, v, h, s, 를 위 이체자와 비교해보라.



된소리(센소리적은숨)-거센소리(센소리 많은숨)-예사소리(부드러운소리적은숨)- 생략(부드러운많은숨) -울림소리(콧소리) 위 순서로 발음하면 훈민정음과 빠알리어 발음이 똑같음


















'훈민정음과 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보상절 권6 현대어 해석 (0) | 2022.01.08 |
---|---|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 해석 (0) | 2022.01.06 |
석보상절(釋譜詳節) (0) | 2022.01.05 |
여래십호-브라흐미문자 (0) | 2021.12.25 |
훈민정음 해례본 번역-4개본 (0) |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