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래- Tathāgata

응공(應供)-Arahaṃ


정변지(正遍知)-Saṁmāsaṁbuddha

명행족(明行足)-Vijjā caraṇasaṃpanna

선서(善逝)-Sugata


세간해(世間解)- Lokavidū

무상사(無上士)- Anuttara

조어장부(調御丈夫)-Puruṣadamyasārathī


천인사(天人師)-Satthā devamanussānaṃ

불세존(佛世尊)-buddho bhagavā


728x90
'훈민정음과 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보상절 권6 현대어 해석 (0) | 2022.01.08 |
---|---|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 해석 (0) | 2022.01.06 |
브라흐미문자와 훈민정음 비교 (0) | 2022.01.05 |
석보상절(釋譜詳節) (0) | 2022.01.05 |
훈민정음 해례본 번역-4개본 (0) |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