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훈민정음과 범어

훈민정음 해례본 번역-4개본

 

   
訓民正音
 
2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 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3    
나랏말미 中國에 달아 文字와로 서르 디 아니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4    
(강신항:1974 역)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서 한문자와 서로 통하지 않으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펼 수 없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5    
(박창원:2005 역) 국어가 중국어와 달라서 (중국의) 문자로 서로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한자를 배우지 못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결국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이가 많다.
6    
(조규태:2007 역) 나라말이 중국[말]과 달라서 한문과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바가 있어도, 끝내 제 뜻을 펴지 못할 사람이 많다.
7    
(국립국어원:2008 역) 한국어의 음운체계가 중국과 달라서 중국어나 한국어를 기록하는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 백성들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한자로는 제 뜻을 펼 수 없는 사람이 많다.
 
8    
予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 易習便於日用耳
9    
내 이 爲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安킈 고져  미니라
 
10    
(강신항:1974 역) 내가 이를 딱하게 여기고,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들어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나날이 쓰기에 편토록 하고자 할 뿐이다.
11    
(박창원:2005 역) 내가 이것을 안타깝게 여겨 새로 28자를 만들어, (이것은) 백성들이 (문자를) 쉽게 익히게 하여 일상 생활을 편하게 하고자 한다.
12    
(조규태:2007 역) 내가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 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씀에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13    
(국립국어원:2008 역) 그래서 내가 이를 딱하게 여기고 새로 스믈여덟 글자를 만들었다. 이것은 사람들이 쉽게 익히고 나날이 편하게 쓰도록 하기 위함이다.
 
14    
ㄱ牙音如君字初發聲 並書如虯字初發聲
15    
ㄱ 엄쏘리니 君ㄷ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虯()ㅸ字 처 펴아 나 소리니라
 
16    
(강신항:1974 역) ㄱ는 엄소리니 ‘군’자의 처음 나는 처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17    
(박창원:2005 역) ‘ㄱ’는 연구개음이니 ‘군;군(현대한자음;동국정운식한자음)’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규;’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18    
(조규태:2007 역) ‘ㄱ’은 어금닛소리이니, ‘군’자 첫소리와 같다. 나란히 쓰면 ‘’자 첫소리와 같다.
19    
(국립국어원:2008 역) ㄱ는 어금닛소리(연구개음)이니 ‘군’자의 처음 나는 소리(‘군’자의 음을 발음할 때의 첫소리)와 같다. 나란히 쓴 ㄲ은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20    
ㅋ牙音如快字初發聲
21    
ㅋ 엄쏘리니 快ㆆ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22    
(강신항:1974 역) ㅋ는 엄소리니 ‘쾡’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23    
(박창원:2005 역) ‘ㅋ’는 연구개음이니 ‘쾌;쾡’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24    
(조규태:2007 역) ‘ㅋ’은 어금닛소리이니, ‘쾡’자 첫소리와 같다.
25    
(국립국어원:2008 역) ㅋ는 어금닛소리(연구개음)이니 ‘쾡’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26    
ㆁ牙音如業字初發聲
27    
ㆁ 엄쏘리니 業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28    
(강신항:1974 역) ㆁ는 엄소리니 ‘업’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29    
(박창원:2005 역) ‘ㆁ’는 연구개음이니 ‘업;’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30    
(조규태:2007 역) ‘ㆁ’은 어금닛소리이니, ‘’자 첫소리와 같다.
31    
(국립국어원:2008 역) ㆁ는 어금닛소리(연구개음)이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32    
ㄷ舌音如斗字初發聲 並書如覃字初發聲
33    
ㄷ 혀쏘리니 斗()ㅸ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覃(땀)ㅂ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
 
34    
(강신항:1974 역) ㄷ는 혓소리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땀’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35    
(박창원:2005 역) ‘ㄷ’은 설음(설첨음)이니 ‘두;’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병서하면 ‘담;땀’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36    
(조규태:2007 역) ‘ㄷ’은 혓소리이니, ‘’자 첫소리와 같다. 나란히 쓰면 ‘땀’자 첫소리와 같다.
37    
(국립국어원:2008 역) ㄷ는 혓소리(설단음)이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나란히 쓴 ㄸ는 ‘땀’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38    
ㅌ舌音如呑字初發聲
39    
ㅌ 혀쏘리니 呑ㄷ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
 
40    
(강신항:1974 역) ㅌ은 혓소리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41    
(박창원:2005 역) ‘ㅌ’은 설음이니 ‘탄;’자가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42    
(조규태:2007 역) ‘ㅌ’은 혓소리이니, ‘’자 첫소리와 같다.
43    
(국립국어원:2008 역) ㅌ는 혓소리(설단음)이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44    
ㄴ舌音如那字初發聲
45    
ㄴ 혀쏘리니 那ㆆ字처 펴아나 소리 니라
 
46    
(강신항:1974 역) ㄴ는 혓소리니 ‘낭’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47    
(박창원:2005 역) ‘ㄴ’은 설음이니 ‘나;낭’자가 처음 발음되는 소리와 같으니라.
48    
(조규태:2007 역) ‘ㄴ’은 혓소리이니, ‘낭’자 첫소리와 같다.
49    
(국립국어원:2008 역) ㄴ는 혓소리(설단음)이니 ‘낭’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50    
ㅂ脣音如彆字初發聲 並書如步字初發聲
51    
ㅂ 입시울쏘리 彆字 처 펴아나 소리 니 쓰면 步(뽕)ㆆ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
 
52    
(강신항:1974 역) ㅂ는 입술소리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뽕’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53    
(박창원:2005 역) ‘ㅂ’은 순음이니 ‘별;’ 자가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병서하면 ‘보;뽕’자가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54    
(조규태:2007 역) ‘ㅂ’은 입술소리이니, ‘’자 첫소리와 같다. 나란히 쓰면 ‘뽕’자 첫소리와 같다.
55    
(국립국어원:2008 역) ㅂ는 입술소리(양순음)이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나란히 쓴 ㅃ는 ‘뽕’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56    
ㅍ脣音如漂字初發聲
57    
ㅍ 입시울쏘리니 漂ㅸ字처 펴아나 소리 니라
 
58    
(강신항:1974 역) ㅍ는 입술소리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59    
(박창원:2005 역) ‘ㅍ’은 순음이니 ‘표;’자가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60    
(조규태:2007 역) ‘ㅍ’는 입술소리이니, ‘’자 첫소리와 같다.
61    
(국립국어원:2008 역) ㅍ는 입술소리(양순음)이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62    
ㅁ脣音如彌字初發聲
63    
ㅁ 입시울쏘리니 彌ㆆ字 처 펴아나 소리니라
 
64    
(강신항:1974 역) ㅁ는 입술소리니 ‘밍’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65    
(박창원:2005 역) ‘ㅁ’은 순음이니 ‘미;밍’자가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66    
(조규태:2007 역) ‘ㅁ’은 입술소리이니, ‘밍’자 첫소리와 같다.
67    
(국립국어원:2008 역) ㅁ는 입술소리(양순음)이니 ‘밍’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68    
ㅈ齒音如卽字初發聲 並書如慈字初發聲
69    
ㅈ 니쏘리니 卽字 처 펴아나 소리 니 쓰면 慈ㆆ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
 
70    
(강신항:1974 역) ㅈ는 잇소리니 ‘즉’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71    
(박창원:2005 역) ‘ㅈ’은 치음이니 ‘즉;즉’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자;’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72    
(조규태:2007 역) ‘ㅈ’은 잇소리이니, ‘즉’자 첫소리와 같다. 나란히 쓰면 ‘’자 첫소리와 같다.
73    
(국립국어원:2008 역) ㅈ는 잇소리(치음)이니 ‘즉’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나란히 쓴 ㅉ는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74    
ㅊ齒音如侵字初發聲
75    
ㅊ 니쏘리니 侵ㅂ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
 
76    
(강신항:1974 역) ㅊ는 잇소리니 ‘침’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77    
(박창원:2005 역) ‘ㅊ’은 치음이니 ‘침; 침’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78    
(조규태:2007 역) ‘ㅊ’은 잇소리이니, ‘침’자 첫소리와 같다.
79    
(국립국어원:2008 역) ㅊ는 잇소리(치음)이니 ‘침’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80    
ㅅ齒音如戌字初發聲 並書如邪字初發聲
81    
ㅅ 니쏘리니 戌()字 처 펴아나 소리 니 쓰면 邪(썅)ㆆ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
 
82    
(강신항:1974 역) ㅅ는 잇소리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썅’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83    
(박창원:2005 역) ‘ㅅ’은 치음이니 ‘술;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사; 썅’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84    
(조규태:2007 역) ‘ㅅ’은 잇소리이니, ‘’자 첫소리와 같다. 나란히 쓰면 ‘썅’자 첫소리와 같다.
85    
(국립국어원:2008 역) ㅅ는 잇소리(치음)이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나란히 쓴 ㅆ는 ‘썅’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86    
ㆆ喉音如挹字初發聖
87    
ㆆ 목소리니 挹()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
 
88    
(강신항:1974 역) ㆆ는 목구멍소리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89    
(박창원:2005 역) ‘ㆆ’은 후음이니 ‘읍;’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90    
(조규태:2007 역) ‘ㆆ’은 목구멍소리이니, ‘’자 첫소리와 같다.
91    
(국립국어원:2008 역) ㆆ는 목구멍소리(성문음)이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92    
ㅎ喉音如虛字初發聲 並書如洪字初發聲
93    
ㅎ 목소리니 虛ㆆ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쓰면 洪()ㄱ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94    
(강신항:1974 역) ㅎ는 목구멍소리니 ‘헝’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95    
(박창원:2005 역) ‘ㅎ’은 후음이니 ‘허;헝’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쓰면 ‘홍;’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96    
(조규태:2007 역) ‘ㅎ’은 목구멍소리이니, ‘헝’자 첫소리와 같다. 나란히 쓰면 ‘’자 첫소리와 같다.
97    
(국립국어원:2008 역) ㅎ는 목구멍소리(성문음)이니 ‘헝’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나란히 슨 ㆅ는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98    
ㅇ喉音如欲字初發聲
99    
ㅇ 목소리니 欲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100    
(강신항:1974 역) ㅇ는 목구멍소리니 ‘욕’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101    
(박창원:2005 역) ‘ㅇ’은 후음이니 ‘욕;욕’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으니라.
102    
(조규태:2007 역) ‘ㅇ’은 목구멍소리이니, ‘욕’자 첫소리와 같다.
103    
(국립국어원:2008 역) ㅇ는 목구멍소리(성문음)이니 ‘욕’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104    
ㄹ半舌音如閭字初發聲
105    
ㄹ 半혀쏘리니 閭ㆆ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
 
106    
(강신항:1974 역) ㄹ는 반혓소리니 ‘령’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107    
(박창원:2005 역) ‘ㄹ’은 반설음이니 ‘려;령’자의 처음 소리와 같으니라.
108    
(조규태:2007 역) ‘ㄹ’은 반혓소리이니, ‘령’자 첫소리와 같다.
109    
(국립국어원:2008 역) ㄹ는 반혓소리(탄설음)(음절 말에서는 /l/음)이니 ‘령’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110    
ㅿ半齒音如穰字初發聲
111    
ㅿ 半니쏘리니 穰()ㄱ字 처 펴아나 소리 니라
 
112    
(강신항:1974 역) ㅿ는 반잇소리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113    
(박창원:2005 역) ‘ㅿ’은 반치음이니 ‘양;’자의 처음 소리와 같으니라.
114    
(조규태:2007 역) ‘ㅿ’은 반잇소리이니, ‘’자 첫소리와 같다.
115    
(국립국어원:2008 역) ㅿ는 반잇소리(유성치마찰음)이니 ‘’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116    
ㆍ如呑字中聲
117    
ㆍ 呑()ㄷ字 가온소리 니라
 
118    
(강신항:1974 역) ㆍ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19    
(박창원:2005 역) ‘ㆍ’는 ‘탄;’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20    
(조규태:2007 역) ‘ㆍ’는 ‘’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21    
(국립국어원:2008 역) ㆍ는 ‘’자의 가운데 소리(‘’자의 음을 발음할 때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22    
ㅡ如卽字中聲
123    
ㅡ는 卽字 가온소리 니라
 
124    
(강신항:1974 역) ㅡ는 ‘즉’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25    
(박창원:2005 역) ‘ㅡ’는 ‘즉;즉’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26    
(조규태:2007 역) ‘ㅡ’는 ‘즉’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27    
(국립국어원:2008 역) ㅡ는 ‘즉’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28    
ㅣ如侵字中聲
129    
ㅣ 侵ㅂ字 가온소리 니라
 
130    
(강신항:1974 역) ㅣ는 ‘침’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31    
(박창원:2005 역) ‘ㅣ’는 ‘침;침’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32    
(조규태:2007 역) ‘ㅣ’는 ‘침’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33    
(국립국어원:2008 역) ㅣ는 ‘침’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34    
ㅗ如洪字中聲
135    
ㅗ 洪()ㄱ 字 가온소리 니라
 
136    
(강신항:1974 역) ㅗ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37    
(박창원:2005 역) ‘ㅗ’는 ‘홍;’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38    
(조규태:2007 역) ‘ㅗ’는 ‘’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39    
(국립국어원:2008 역) ㅗ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40    
ㅏ如覃字中聲
141    
ㅏ 覃(땀)ㅂ字 가온소리 니라
 
142    
(강신항:1974 역) ㅏ는 ‘땀’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43    
(박창원:2005 역) ‘ㅏ’는 ‘담;땀’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44    
(조규태:2007 역) ‘ㅏ’는 ‘땀’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45    
(국립국어원:2008 역) ㅏ는 ‘땀’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46    
ㅜ如君字中聲
147    
ㅜ 는 君ㄷ字 가온소리 니라
 
148    
(강신항:1974 역) ㅜ는 ‘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49    
(박창원:2005 역) ‘ㅜ’는 ‘군;군’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50    
(조규태:2007 역) ‘ㅜ’는 ‘군’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51    
(국립국어원:2008 역) ㅜ는 ‘군’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52    
ㅓ如業字中聲
153    
ㅓ는 業字 가온소리 니라
 
154    
(강신항:1974 역) ㅓ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55    
(박창원:2005 역) ‘ㅓ’는 ‘업;’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56    
(조규태:2007 역) ‘ㅓ’는 ‘’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57    
(국립국어원:2008 역) ㅓ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58    
ㅛ如欲字中聲
159    
ㅛ 欲字 가온소리 니라
 
160    
(강신항:1974 역) ㅛ는 ‘욕’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61    
(박창원:2005 역) ‘ㅛ’는 ‘욕;욕’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62    
(조규태:2007 역) ‘ㅛ’는 ‘욕’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63    
(국립국어원:2008 역) ㅛ는 ‘욕’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64    
ㅑ如穰字中聲
165    
ㅑ 穰() 字 가온소리 니라
 
166    
(강신항:1974 역) ㅑ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67    
(박창원:2005 역) ‘ㅑ’는 ‘양;’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68    
(조규태:2007 역) ‘ㅑ’는 ‘’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69    
(국립국어원:2008 역) ㅑ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70    
ㅠ如戍字中聲
171    
ㅠ는 戍() 字 가온소리 니라
 
172    
(강신항:1974 역) ㅠ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73    
(박창원:2005 역) ‘ㅠ’는 ‘술;’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74    
(조규태:2007 역) ‘ㅠ’는 ‘’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75    
(국립국어원:2008 역) ㅠ는 ‘슐(戌)’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76    
ㅕ如彆字中聲
177    
ㅕ는 彆字 가온소리 니라
 
178    
(강신항:1974 역) ㅕ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79    
(박창원:2005 역) ‘ㅕ’는 ‘별;’자의 중성과 같으니라.
180    
(조규태:2007 역) ‘ㅕ’는 ‘’자의 가운뎃소리와 같다.
181    
(국립국어원:2008 역) ㅕ는 ‘’자의 가운데 소리와 같다.
 
182    
終聲復用初聲
183    
乃終ㄱ 소리 다시 첫소리 니라
 
184    
(강신항:1974 역) 종성에는 다시 초성(글자)를 쓴다.
185    
(박창원:2005 역) 종성은 다시 초성을 쓴다.
186    
(조규태:2007 역) 끝소리는 첫소리를 다시 쓴다.
187    
(국립국어원:2008 역) 종성 표기에는 다시 초성 글자를 쓴다.
 
188    
ㅇ連書脣音之下 卽爲脣輕音
189    
ㅇ 입시울쏘리 아래 니 쓰면 입시울 가야 소리 외니라
 
190    
(강신항:1974 역) ㅇ을 입술소리 아래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191    
(박창원:2005 역) ‘ㅇ’을 순음 아래 이어 쓰면 순경음이 된다.
192    
(조규태:2007 역) ‘ㅇ’을 입술소리 아래 이어 쓰면 입술가벼운소리가 된다.
193    
(국립국어원:2008 역) ㅇ을 입술소리 아래 이어 쓰면 입술 가벼운 소리가 된다.
 
194    
初聲合用 則並書 終聲同
195    
첫소리 어울워  디면 쓰라 乃終ㄱ소리도 가지라
 
196    
(강신항:1974 역) 초성(글자)을 어울려 쓰려면 나란히 써야 하니 종성도 같다.
197    
(박창원:2005 역) 첫소리를 합하여 쓸 것이면 나란히 쓰라. 종성도 한가지이다.
198    
(조규태:2007 역) 첫소리를 합해 쓰려면 나란히 쓴다. 끝소리도 마찬가지다.
199    
(국립국어원:2008 역) 초성 글자를 아울러 쓰려면 나란히 써야 하니 종성도 같다.
 
200    
ㆍㅡㅗㅜㅛㅠ 附書初聲之下
201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와란 첫소리 아래 브텨 쓰고
 
202    
(강신항:1974 역) ㆍㅡㅗㅜㅛㅠ는 첫소리 아래 붙여 쓰고,
203    
(박창원:2005 역) ‘ㆍ’와 ‘ㅡ’와 ‘ㅗ’와 ‘ㅜ’와 ‘ㅛ’와 ‘ㅠ’는 초성 아래 붙여 쓰고,
204    
(조규태:2007 역) ‘ㆍㅡㅗㅜㅛㅠ’는 첫소리 아래에 붙여 쓰고,
205    
(국립국어원:2008 역) ㆍㅡㅗㅜㅛㅠ는 첫소리 글자의 아래에 붙여 쓰고
 
206    
ㅣㅏㅓㅑㅕ 附書於右
207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와란 올녀긔 브텨쓰라
 
208    
(강신항:1974 역) ㅣㅏㅓㅑㅕ는 오른쪽에 붙여 쓰라.
209    
(박창원:2005 역) ‘ㅣ’와 ‘ㅏ’와 ‘ㅓ’와 ‘ㅑ’와 ‘ㅕ’는 오른쪽에 붙여 쓰라.
210    
(조규태:2007 역) ‘ㅣㅏㅓㅑㅕ’는 (첫소리) 오른편에 붙여 쓴다.
211    
(국립국어원:2008 역) ㅏㅓㅑㅕ는 첫소리 글자의 오른쪽에 붙여 쓴다.
 
212    
凡字必合而聲音
213    
믈읫 字ㅣ 모로매 어우러 소리 이니
 
214    
(강신항:1974 역) 무릇 글자란 합해서만 소리를 이루니
215    
(박창원:2005 역) 무릇 글자는 모름지기 어우러져야 소리가 이루어진다.
216    
(조규태:2007 역) 무릇 글자는 반드시 합해져야 소리를 이룬다.
217    
(국립국어원:2008 역) 무릇 훈민정음(한글)은 반드시 아울러 써야만 하나의 소리(음절)을 이룬다(음절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 단위가 된다).
 
218    
左加一點 則去聲
219    
왼녀긔  點을 더으면 노 소리오
 
220    
(강신항:1974 역) 왼쪽에 한 점을 더하면 거성이요,
221    
(박창원:2005 역) 왼쪽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이고,
222    
(조규태:2007 역) 왼편에 한 점을 더하면 거성이요,
223    
(국립국어원:2008 역) (음절 단위로 표기 된 글자의) 왼쪽에 한 점을 더하면 거성이요,
 
224    
二則上聲 無則平聲
225    
點이 둘히면 上聲이오 點이 업쓰면 平聲이오
 
226    
(강신항:1974 역) 둘이면 상성이요, 없으면 평성이요,
227    
(박창원:2005 역) 점이 둘이면 상성이고, 점이 없으면 평성이고,
228    
(조규태:2007 역) 두 점을 더하면 상성이요, 없으면 평성이요,
229    
(국립국어원:2008 역) 점이 둘이면 상성이요, 없으면 평성이요,
 
230    
入聲加點同而促急
231    
入聲은 點 더우믄 가지로 니라
 
232    
(강신항:1974 역) 입성은 점을 더하기는 같으나 촉급하다.
233    
(박창원:2005 역)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같되, 빠르다.
234    
(조규태:2007 역) 입성은 점을 더함은 같으나 (소리의 끝남이) 빠르다.
235    
(국립국어원:2008 역) [종성이 ㄱ, ㄷ, ㅂ인] 입성은 점을 더하기는 같으나 빠르다.
 
236    
해례본 없는 내용
237    
中國소리 옛니쏘리 齒頭와 正齒왜 요미 잇니
 
238    
해례본 없는 내용
239    
ᅎᅔᅏᄼᄽ字 齒頭ㅅ 소리예 고 ᅐᅕᅑᄾᄿ字 正齒ㅅ 소리예 니
 
240    
해례본 없는 내용
241    
엄과 혀와 입시울와 목소리 옛 字 中國소리예 通히 니라 訓民正音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