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性 (1) 썸네일형 리스트형 般若心經 번역본 9개 비교 아래 9가지 반야심경을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照見五蘊皆空을 다른 번역본에서는 어떻게 본역 했는가를 알 수 있다. 이 모든 번역본의 원본이 되는 Sanskrit text 에서는 照見五蘊自性皆空임을 알 수있다. [pañca-skandhāḥ(五蘊) tām(그것에) ca svabhāva(自性)-śūnyān(空) paśyati(照見)] 그리고 현장과 구마라즙과 반야를 제외하고 모두 五蘊自性皆空으로 번역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法月, 智慧輪 , 法成, 施護 ,Edward Conze가 스와바하(svabhāva)를 自性,體性, own-being으로 번역한 것이다.반야심경은 오온에 自性이 없음을 천명하는 초기불교의 無我와 같은 선상에서 五蘊自性皆空을 말하고 있다. 그러므로 반야심경을 해석할 때 五蘊=空으로 해석하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