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기불교

바른견해(正見)는 지금 여기에서 시작되어야...

맛지마 니까야의 대사십경Mahācattārīsaka sutta(M117)에서는 왜 정견이 8정도에서 가장 먼저 나오고 정견이 왜 그토록 강조 되는지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비구들이여, 바른삼매(正定)를 생기게 하는 원인(saupanisam)과 요소(saparikkhāram)들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른견해(正見), 바른사유(正思惟), 바른말(正語), 바른행위(正業), 바른생계(正命), 바른정진(正精進), 바른마음챙김(正念)이다.

 

 

 

마음을 한곳에 집중되고 앞의 7가지가 있을 때 그것을 성스러운 바른삼매(正定)라고 부른다.

 

그곳에는 바른견해(正見)가 선두에 있다. 왜 바른견해(正見)가 선두에 나오는가?

 

 

 

잘못된 견해가 있을 때 그것이 잘못된 견해라는 것을 알고 바른견해가 있을 때 그것이 바른견해라는 것을 알면

 

그 것이 바른견해(正見)가 된다.

 

잘못된 견해란 무엇인가?....생략

 

 

 

바른견해(正見)란 무엇인가?

 

두 종류의 바른견해(正見)가 있다.

 

유루(有漏)의 바른견해(正見)와 무루(無漏)의 바른견해(正見)이다.

 

 

 

유루의 바른견해(正見)란 공덕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여전히 번뇌와 힘께하고 집착과 함께 하는 정견이다.

 

무루의 바른견해(正見)란 성스럽고 번뇌와 힘께 하지 않고 출세간의 것으로 8정도의 한 요소이다.

 

 

 

무엇이 공덕을 가져오기는 하지만 여전히 번뇌와 힘께 하고 집착과 함께 하는 바른견해(正見)인가?

 

atthi, bhikkhave, sammādiṭṭhi sāsavā puññabhāgiyā upadhivepakkā;

 

 

 

1.보시하고 공양하고 제사지내는 것에 효과가 있다는 견해이다. [因果應報]

 

 

 

2. 좋은 일과 나쁜 일을 행할 때 그에 해당하는 과보가 있다고 하는 견해이다.[善因善果 惡因惡果]

 

 

 

3.이세상도 존재하지만 다음세상도 존재한다고 보는 견해이다.[윤회]

 

 

 

4.부모에게서 태어나는 존재도 있고 스스로 태어나는 존재도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육도의 세계]

 

 

 

5.이 세상에 깨달은 수행자나 브라흐만이 있고 , 이 세상과 다음 세상에 대하여 스스로 최상의 지혜를 성취하고

 

 

 

우리를 이끌어 줄 수 있는 스승들이 있다고 보는 견해이다. [진리와 스승에 대한 믿음]

 

 

 

‘Atthi dinnaṁ, atthi yiṭṭhaṁ, atthi hutaṁ,

 

atthi sukatadukkaṭānaṁ kammānaṁ phalaṁ vipāko,

 

atthi ayaṁ loko, atthi paro loko,

 

atthi mātā, atthi pitā, atthi sattā opapātikā,

 

atthi loke samaṇabrāhmaṇā sammaggatā sammāpaṭipannā ye imañca lokaṁ parañca lokaṁ sayaṁ abhiññā sacchikatvā pavedentī’ti

 

 

 

󰡒비구들이여, 어떤 것이 번뇌에 물들 수 있고 공덕의 편에 있으며 재생의 근거를 가져오는 바른 견해인가?

 

비구들이여, 1보시도 있고 공물도 있고 제사(헌공)도 있다. 2선행과 악행의 업들에 대한 결실도 있고 과보도 있다. 3이 세상도 있고 저 세상도 있다. 4어머니도 있고 아버지도 있다, 화생하는 중생도 있고 5이 세상과 저 세상을 스스로 최상의 지혜로 알고 실현하여 선언하는, 덕스럽고 바른 도를 구족한 사문바라문들도 이 세상에는 있다.󰡑라고 하는 것이 번뇌에 물들 수 있고 공덕의 편에 있으며 재생의 근거를 가져오는 바른 견해이다.󰡓(초기불전)

 

 

 

비구들이여, 출세간도에 속하는 성스러운 무루의 정견(正見)란 무엇인가?

 

그것은 거룩한 8정도를 수행하고 있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지혜이며 오근의 하나인 慧根이며, 오력의 하나인 慧力이며, 7각지의 하나인 택법각지이며 8정도의 하나인 정견이다. 비구들이여 이것이 출세간도에 속하는 성스러운 무루의 정견이다.Katamā ca, bhikkhave, sammādiṭṭhi ariyā anāsavā lokuttarā maggaṅgā?

 

󰡒비구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출세간의 것이고 도의 구성요소인 성스러운 바른 견해인가?

 

비구들이여, 성스러운 마음을 가졌고 번뇌 없는 마음을 가졌으며 성스러운 도를 구족하여 성스러운 도를 닦는 자가 있으니, 그가 가진 통찰지, 통찰지의 기능, 통찰지의 힘, 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 바른 견해, 도의 구성요소 이것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출세간의 것이고 도의 구성요소인 성스러운 바른 견해이다.󰡓(초기불전)

 

 

 

 

 

 

........이상에서본것처럼바른견해(正見)는번뇌와함께하는바른견해(正見)와번뇌와함께하지않는바른견해(正見)2가지로설명되는데이렇게2가지로설명되는이유는참으로중요하다.

 

 

 

번뇌와 함께하는 바른견해(正見)5가지의 견해를 말하는데 정리하자면

 

[因果에 대한 이해][진리와 스승에 대한 믿음]으로 줄일 수 있다.

 

적어도 이런 정도의 이해와 믿음이 있어야 수행이 가능하기에 8정도에서 정견이 가장 먼저오고 정견 중에서도[유루의 정견]을 먼저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루의 정견]을 바탕으로 수행을 하다보면 [무루의 정견]이 생기게 되고 비로서 그때 성스러운 8정도를 닦게 되는 것이다.

 

[유루의 정견]이 의미하는 바는 8정도는 지금 여기에서 시작될 수 있고 ,시작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번뇌가 없는 삶은, 번뇌가 있는 지금 이 자리에서 출발하고 실현되는 것임을 이 경전은 가르쳐 주고 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