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 말걸기

토론의 달인 유시민 야권 대선후보 1위

 

 

유시민 주가 급등
각종 지지율 조사 야권후보중 1위 올라서
한겨레 이유주현 기자
» 정세균 민주당 대표와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이 5일 오전 경남 김해시 봉화산 정토원에서 열린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49재 중 두번째 재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왼쪽부터 문 전 실장, 정 대표,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이해찬 전 국무총리. 김해/연합뉴스
‘리틀 노무현’으로 통하는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주자·서울시장 후보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친노 인사’들이 재평가되고 있는 사회 분위기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3일 벌인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유 전 장관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30%)에 이어 16.1%를 얻어 2위를 차지했다. 2007년 민주당 대선후보 정동영 의원(9.7%)을 3위로 따돌리며 야권 최고의 유력 후보로 떠오른 것이다.

 

<중앙선데이>의 지난달 27~28일 차기 서울시장 후보 조사에서도 그는 1위 오세훈 시장(27.8%) 다음으로 높은 16.5%를 기록했다.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은 9.2%, 한명숙 전 국무총리는 7.7%였다. 지난 2월 <한겨레21>의 차기 서울시장 후보 적합도 조사에선, 오 시장은 22.1%, 강 전 장관은 9.5%로 각각 1, 2위를 차지한 바 있다. ‘현직 프리미엄’을 누리고 있는 오 시장이나 2006년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했던 강 전 장관의 지지율은 큰 변화가 없는 반면에 유 전 장관은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런 흐름을 타고, 정치권에서는 유 전 장관의 정치활동 재개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그와 가까운 한 의원은 “유 전 장관은 최근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충격을 받고 마음을 추스르고 있는 중이라 아직 정계 복귀에 대해 왈가왈부할 처지가 아니다”라면서도 “유 전 장관은 누구보다 노 전 대통령의 철학과 가치를 가장 잘 이해하는 정치적 동지로서, 참여정부 재평가와 함께 그에 대한 재평가 작업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 친노 인사도 “노 전 대통령은 유 전 장관에게 ‘정치하지 말라’고 말렸지만 이제 대통령의 죽음으로 ‘사정 변경’이 생기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민주당에선 10월 재보선이나 내년 지방자치선거에서 복당까지는 아니라도 ‘반이명박 전선’을 통해 힘을 합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민주당의 한 핵심 당직자는 “민주당의 약한 고리인 영남권에서 유 전 장관 등 친노 인사만큼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없다”며 “선거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반이명박 전선’에 동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에서는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1위 자리를 지켰으나, 지난주(35.2%)보다 5.2%p 하락한 30%에 그쳤다.
특히 이번주 처음 조사대상에 포함된 유시민 전 의원이 정동영(9.7%, 3위) 전 장관을 제치고 16.1%로 2위로 조사되면서 박근혜 전 대표의 지지율에도 영향을 미쳤다.
4위는 정몽준 의원(8.8%)으로 조사됐고,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7.4%), 손학규 전 지사(5.5%), 오세훈 서울시장(5.3%), 김문수 경기도지사(2.7%) 순으로 나타났다.

 

...................

 

‘토론의 달인’ 1위는 유시민

 

우리 국민들은 ‘유시민’ 전 장관이 가장 토론을 잘하는 논객이라고 응답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MBC 시사토론 프로그램 ‘100분 토론’ 논객들의 토론 능력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 유시민 전 장관이 15.6%의 지지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나경원 한나라당 의원이 14.1%로 뒤를 이었고 다음으로 홍준표(12.2%)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진중권 교수(12.2%)가 공동 3위에 올랐다. 이어 가수 신해철(10.0%), 전병헌 의원(2.0%), 전원책 변호사(1.2%) 순으로 조사됐다.

유시민 전 장관은 특히 대전/충청(27.8%) 지역에서 압도적 1위를 차지했고, 대구/경북(21.0%), 전북(14.3%) 지역에서도 높은 지지를 얻었다. 반면 나경원 의원은 서울 지역에서 21.5%로 1위로 꼽혔으며, 부산/경남 지역에서는 신해철(24.0%)씨가, 전남/광주 지역에서는 진중권(27.4%) 교수가 각각 1위로 선정됐다.

한편, 남성은 22.5%가 유시민 전 장관을 꼽아 2위 진중권(16.4%) 교수와 큰 격차를 보인 반면, 여성 응답자는 나경원(16.0%) 의원과 신해철(15.5%)씨를 비슷하게 지지했다.

<손봉석기자 paulsohn@khan.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