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을 따르는자(saddhānusārī) 법을 따르는 자(dhammānusārī)
눈[眼] 경(S25:1)
Cakkhu-sutta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사왓티에서 제따 숲의 아나타삔디까 원림(급고독원)에 머무셨다. “비구들이여, 눈은 무상하고 변해버리고 다른 상태로 되어간다.
귀는 무상하고 변해버리고 다른 상태로 되어간다. 코는 무상하고 변해버리고 다른 상태로 되어간다. 혀는 무상하고 변해버리고 다른 상태로 되어간다. 몸은 무상하고 변해버리고 다른 상태로 되어간다. 마노[意]는 무상하고 변해버리고 다른 상태로 되어간다. “비구들이여, 이런 법들에 대해서 이와 같이 믿고 이와 같이 확신을 가지는 자를 일러 믿음을 따르는 자라고 한다.
Sāvatthinidānaṃ. “Cakkhuṃ, bhikkhave, aniccaṃ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 sotaṃ aniccaṃ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 ghānaṃ aniccaṃ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 jivhā aniccā vipariṇāmī aññathābhāvī; kāyo anicco vipariṇāmi aññathābhāvi; mano anicco vipariṇāmī aññathābhāvī. Yo, bhikkhave, ime dhamme evaṃ saddahati adhimuccati—ayaṃ vuccati saddhānusārī,
그는 올바른 정해진 행로에 들어가고, 참된 사람의 경지에 들어가고, 범부의 경지를 넘어섰다. 그가 지옥이나 축생계나 아귀의 영역에 태어나게 되는 그런 업을 짓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예류과를 실현하지 못한 채로 임종한다는 것도 있을 수 없다.”
okkanto sammattaniyāmaṃ, sappurisabhūmiṃ okkanto, vītivatto puthujjanabhūmiṃ; abhabbo taṃ kammaṃ kātuṃ, yaṃ kammaṃ katvā nirayaṃ vā tiracchānayoniṃ vā pettivisayaṃ vā upapajjeyya; abhabbo ca tāva kālaṃ kātuṃ yāva na sotāpattiphalaṃ sacchikaroti.
“비구들이여, 통찰지로 충분히 사색하여 이런 법들을 인정하는 자를 일러 법을 따르는 자라 한다. 그는 올바른 정해진 행로에 들어가고, 참된 사람의 경지에 들어가고, 범부의 경지를 넘어섰다. 그가지옥이나 축생계나 아귀의 영역에 태어나게 되는 그런 업을 짓는다는 것은 있을 수 없고, 예류과를 실현하지 못한 채로 임종한다는 것도 있을 수 없다.”
Yassa kho, bhikkhave, ime dhammā evaṃ paññāya mattaso nijjhānaṃ khamanti, ayaṃ vuccati: ‘dhammānusārī, okkanto sammattaniyāmaṃ, sappurisabhūmiṃ okkanto, vītivatto puthujjanabhūmiṃ; abhabbo taṃ kammaṃ kātuṃ, yaṃ kammaṃ katvā nirayaṃ vā tiracchānayoniṃ vā pettivisayaṃ vā upapajjeyya; abhabbo ca tāva kālaṃ kātuṃ yāva na sotāpattiphalaṃ sacchikaroti’.
“비구들이여, 이런 법들을 이와 같이 알고 보는 자를 흐름에 든자[預流者]라 하나니, 그는 [악취에] 떨어지지 않는 법을 가졌고 [해탈이] 확실하며 완전한 깨달음으로 나아간다.”
Yo, bhikkhave, ime dhamme evaṃ pajānāti evaṃ passati, ayaṃ vuccati: ‘sotāpanno avinipātadhammo niyato sambodhiparāyano’”ti.